소개글
"활동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웃음의 개념
2.1. 웃음의 정의
2.2. 웃음의 효과
2.3. 웃음의 필요성
3. 웃음치료
3.1. 웃음치료의 개념
3.2. 웃음치료의 역사
3.3. 웃음치료의 방법
4. 웃음치료의 이론적 배경
4.1. 우월성 이론
4.2. 부조화 이론
4.3. 놀람 이론
4.4. 반대감정 병존 이론
4.5. 구성 이론
5. 웃음치료의 효과
5.1. 신체적 효과
5.2. 정서적 효과
5.3. 사회적 효과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웃음은 감정적으로 마음속에 기쁨을 표현하는 모양과 소리를 말하며 과학적으로는 뇌의 측두엽과 전두엽의 신 피질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감정이 횡경막, 후두부, 인두, 안면근육을 통하여 일어나는 반응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웃음이 나타나는 매커니즘은 감정적인 자극이 필요하며 이러한 자극으로 정서적인 반응인 즐거움, 기쁨, 명랑함 등을 느끼게 되고 결과적으로 행동 반응인 웃음이 나타나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만이 다양한 웃음을 표현하는 존재라고 하였으며 이것은 지구상에서 인간만이 유일하게 웃을 수 있는 동물이라는 것이다. 즉, 웃음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본성이라고 할 수 있다. 웃음은 사람과 사람 간의 긴장감을 해소시키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하지만, 사회 경제적으로 발달한 요즘의 사람들은 하루에 6분밖에 웃는 시간이 없다고 한다. 웃음의 효과에 대하여 수많은 과학자가 입증을 하였지만 웃음으로 즐겁고 멋있는 인생을 사는 사람들을 찾아볼 수가 없다. 이는 무한 경쟁 사회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이 많은 스트레스와 삶의 압박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웃는 방법을 잊어버린 것 같은 느낌을 준다.
2. 웃음의 개념
2.1. 웃음의 정의
웃음은 기쁨을 표현하는 것으로 즐거움을 수반하게 되는 신체적인 자극, 기쁨, 우스꽝스러운 현상이다. 웃음을 유발하게 되는 요인은 신체적 감정이 자발적인 감정표현을 하는 것으로 자신의 심리상태와 신체적으로 나타나는 유쾌한 정신활동 작용으로 발생하게 되는 감정적 산물이다. 또한 웃음에 대한 다른 정의로는 쾌적한 정신 활동에 수반되어지는 감정의 반응 또는 여유 있는 마음에서 발생하는 행복감과 결과물로 정의된다"
2.2. 웃음의 효과
웃음은 불행한 상황을 벗어나는 유용한 대처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이고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며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치료제이다. 웃음은 호르몬의 분비를 원활하게 하여 면역력을 증가시켜 준다. Lee S. Berk(1989)는 웃음이 일부 스트레스 관련호르몬을 감소시키고 자연면역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을 변화시켜서 면역력을 증강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캐나다 워털루 대학에서 실시한 연구에서는 웃음이 면역 글로불린 IgA와 IgG의 수치를 높인다는 실험결과가 나왔다. 노만 커즌스(1992)도 웃음이 질병차단제의 역할을 한다고 설명한다.
웃음은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조망을 제시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생리적으로 유익하게 한다. 첫째, 웃음은 좌절을 겪었으면서도 웃을 수 있는 사람에게 두려움, 낙담, 실망과 같은 감정에서 벗어나게 해주어 다시 일어서는 용기와 힘을 준다. 둘째, 웃음은 에너지를 다른 곳에 쓰이도록 하여 스트레스가 쌓이는 많은 일들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한다. 셋째, 웃음은 중요 장기를 자극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 넷째, 웃음은 문제의 심각성을 줄여 혼란을 없애며 절망적인 상태까지 가기 전 빠져나갈 길을 열어준다.
이처럼 웃음은 심리적 이점, 대처능력의 향상, 생리적 이점, 조망의 제시와 균형의 유지 등 다양한 긍정적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2.3. 웃음의 필요성
웃음은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의 완화, 억제,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필요하다. 웃음을 만들어내는 데에는 유머감각이 효과적이며, 스스로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한 마음과 즐거운 태도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선천적이라기보다는 연습과 훈련을 통해 더 많이 얻을 수 있는 감각적 기술이다.
현대인들은 하루에 6분밖에 웃지 못한다고 한다. 이는 무한 경쟁 사회에서 오는 많은 스트레스와 삶의 압박 때문에 웃는 방법을 잊어버린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웃음은 스트레스...
참고 자료
우리가 몰랐던 웃음 치료의 놀라운 기적 (2017) 후나세스케 저, 이요셉 외 1명 역. 중앙생활사
유머심리학-통합적 접근(2008). 마틴 저. 신현정 옮김. 박학사.
유머전략(2007). 미하엘 티체 외. 곽병휴 옮김. 학지사.
웃음임상치료의 실제(2011). 정해성 외. 도서출판 맑은생각.
배기효 외(2009), 『웃음치료학 개론』, 창지사.
이임선 (2008), 『웃음, 나를 치유하는 힘』, 랜덤하우스.
이임선 (2010), 『몸과 마음을 치유해 주는 웃음치료』, 하남출판사.
고혜진 (2009), 「웃음치료가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증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미경 (2010), 「일회성 웃음요법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명봉호, 「치료 레크리에이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8.
임덕수 외 3명, 「웃음치료가 화상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화상학회지, 2014.
이임선, 「웃음 치료, 하남출판사」, 2010.
박형우, 「웃음요법 프로그램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硏究, 2010.
서승유 외 1명, 「레크리에이션의 이론과 실제」, 한경사, 2003.
이광재, 「웃음치료 개론」, 엘맨출판사, 2019.08.20.
임덕수 외 3명, 「웃음치료가 화상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화상학회지, 2014.
정해성 외 4명, 「웃음임상치료의 실제」, 맑은 생각, 2011.02.01.
박형우, 「웃음요법 프로그램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硏究, 2010.
이임선, 「웃음 치료」, 하남출판사, 2010.11.15.
웃음임상치료센터 홈페이지
http://www.hahaclinic.co.kr/index.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