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소설『심청전』에 대하여
『심청전』은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소설 중 하나로 오랜 기간 대중들에게 사랑받으며 널리 읽혀진 작품이다. 『심청전』의 작자와 창작 시기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송나라 말기나 조선시대 무렵으로 추정된다.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대략 80여 개에 달하며, 크게 판소리계 창본인 '심청가'와 판소리계 소설인 '심청전'으로 구분된다. 이처럼 많은 판본이 존재하는 이유는 오랜 기간 구전되며 전해져 왔기 때문에 시대와 배경,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구성 등이 조금씩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수많은 판본들은 모두 『심청전』이라는 큰 틀을 벗어나지 않는다. 만약 이 틀을 벗어나게 된다면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렇기에 이 판본들은 작가들이 자신만의 특색을 적절하게 가미하여 만든 '타협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작가들의 열망은 현대에도 이어져, 『심청전』은 영화, 오페라, 뮤지컬 등 다양한 모습으로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다. 이번에 필자가 참고한 『심청전』은 '장철문 시인'의 작품으로, 원전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현대인들이 읽기 좋게 새롭게 내놓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전통적인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도 지나치게 현대적인 시각을 넣지 않고 균형을 잡아내고자 한 작가의 노력이 돋보인다.
1.2. 『심청전』의 시대적 배경
『심청전』의 시대적 배경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대체로 조선시대로 추정된다. 『심청전』의 정확한 저자와 집필 시기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 소설이 어느 시기에 쓰였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심청전』이 송나라 말기에 작성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대다수의 연구자들은 『심청전』이 조선시대에 형성되고 전승되었다고 보고 있다. 『심청전』에 등장하는 역사적 인물과 사건, 사회 문화적 모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 작품은 대략적으로 조선 후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심청전』은 현재 전해지는 판본만 해도 80여 종에 달할 정도로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어 왔다. 이렇듯 많은 판본이 존재하는 이유는 오랜 시간 동안 구전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각 전승자의 개성과 해석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시대와 지역에 따라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나 사건의 전개 등이 조금씩 달리 나타나는데, 이는 『심청전』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재창작되고 재해석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현재 전해지는 『심청전』의 판본들을 분석해 보면, 일부 작품들은 송나라 시기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반면 대다수의 판본들은 조선시대의 모습을 담고 있다. 특히 조선 후기에 이르러 보편적으로 알려지게 된 『심청전』은 당시 사회의 가치관과 규범, 신분제도 등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종합해 보면, 『심청전』은 정확한 저자와 집필 시기를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오랜 기간 동안 구전을 통해 전승되면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변형되어 온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2. 『심청전』의 줄거리
2.1. 등장인물 분석
심청이는 『심청전』의 주인공으로, 심학규(심봉사)와 곽씨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효녀이다. 심청이는 어려서부터 효심이 돈독하며 아버지를 지극정성으로 봉양한다. 또한 타고난 미모와 지혜로움을 겸비한 인물로 묘사된다. 심청이는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인당수에 자신을 제물로 바치지만, 용왕의 보호를 받아 살아남는다. 이후 심청이는 중국 왕의 부인이 되고 아버지를 찾아 상봉하게 된다. 이처럼 심청이는 순종적이면서도 결단력 있는 인물로, 여성성과 능동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이다.심봉사는 『심청전』의 또 다른 주요 인물로, 맹인이지만 착한 성품의 소유자이다. 심봉사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딸 심청을 정성껏 길러내며, 딸을 위해 공양미 삼백 석을 내놓는다. 그러나 자신의 처지를 고려하지 않고 무리한 약속을 한 탓에 심청이 인당수에 빠지는 일이 벌어진다. 이후 심봉사는 뺑덕이네와 재혼하지만 재산을 모두 탕진하고 다시 가난한 생활로 돌아가게 된다. 결국 맹인 신세임에도 불구하고 심봉사는 심청의 노력으로 눈을 뜨게 되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심봉사는 무능하고 어리석어 보이지만, 딸에 대한 사랑과 효심을 갖춘 인물로 볼 수 있다"이다.
2.2. 배경분석
『심청전』의 배경은 시대적으로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개 송나라 말기 또는 조선시대로 추정된다. 전해지는 판본이 약 80여 개에 이를 만큼 오랜 기간 동안 구전되어 왔으며, 각 판본마다 시대와 배경, 등장인물의 성격 등이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심청전의 주요 배경이 되는 황주 지역은 중국 황주일 수도 있고, 조선시대의 황해도 황주일 수도 있다. 중국 황주로 보는 견해는 『심청전』의 작성 시기를 송나라 말기로 보기 때문이며, 조선시대 황해도 황주로 보는 견해는 작성 시기를 조선시대로 추정하기 때문이다.
한편 인당수의 위치 또한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는 없지만, 조선시대 청나라와의 국경 지대인 서해안 일대로 알려져 있다. 백령도 인근의 장산곶에 물살이 세기로 유명한 곳이 인당수로 여겨지고 있다.
이처럼 『심청전』의 배경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으며, 이는 오랜 기간 동안 구전되어 왔기 때문에 명확히 특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다만 대체로 송나라 말기 또는 조선시대의 황해도 일대를 배경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2.3. 공양미 삼백석의 가치
공양미 삼백석은 당시로서는 엄청난 금액이었다. 공양미 삼백석을 현대시대의 쌀값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1억 8천만 원 정도에 해당한다. 삼백석의 석이라는 단위를 현대의 kg으로 환산하면 1석이 144kg이므로, 쌀 300석은 총 43,200kg이 된다. 당시 쌀 한 가마니가 80kg이었으므로 총 540가마니에 해당한다. 현대시대에 20kg 기준 쌀 한 포대의 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