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환자 전문간호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학 발전과 전문간호사의 필요성
1.2. 전문간호사 제도 도입 배경
2. 전문간호사의 정의와 분야
2.1. 전문간호사의 정의
2.2. 전문간호사 분야
3. 마취 전문간호사
3.1. 마취 전문간호사의 정의와 역할
3.2. 마취 전문간호사 제도 도입 배경
3.3. 마취 전문간호사의 현실과 전망
4. 응급 전문간호사
4.1. 응급 전문간호사의 정의와 역할
4.2. 응급 전문간호사 제도 도입 배경
4.3. 응급 전문간호사의 현실과 전망
5. 중환자 전문간호사
5.1. 중환자 전문간호사의 정의와 역할
5.2. 중환자 전문간호사 제도 도입 배경
5.3. 중환자 전문간호사의 현실과 전망
6. 전문간호사 제도의 문제점
6.1. 전문간호사 업무 범위의 법적 명시 부족
6.2. 전문간호사에 대한 대우 및 처우 미흡
7. 전문간호사 제도 발전을 위한 제언
7.1. 전문간호사 업무 범위 및 책임 명시 법제화
7.2. 전문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처우 개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학 발전과 전문간호사의 필요성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의료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래의 간호사가 될 우리는 이러한 의료의 성장에 맞추어 좀 더 높은 수준의 지식을 갖추고 그에 따라 보다 나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이 되어야 한다.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토대로 의료기관 또는 지역사회 내에서만의 간호사 역할을 넘어 교육자, 연구자 등의 여러 분야에서의 발전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전문간호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2. 전문간호사 제도 도입 배경
전문간호사 제도 도입 배경은 다음과 같다.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의료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 높은 수준의 지식을 갖추고 보다 나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마취과, 응급실, 중환자실 등 특수 분야의 전문 간호 인력이 요구되었다.
마취 전문간호사의 경우, 1963년 마취를 담당할 전문의 시험이 처음 실시되었지만 당시 젊은 의사들의 지원이 적었기 때문에 마취전문의 수가 부족하였다. 이에 정부는 1973년 마취과 전문의의 부족과 무면허 마취기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의료법 제56조를 제정하고, 보사부령 제426호로 한국의 마취 전문간호사 제도를 도입하였다.
응급 전문간호사의 경우, 재해, 재난 등의 응급상황 발생에 따라 응급의료서비스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그에 따라 응급실 내원 환자의 수와 중증도가 더해가고 응급실 과밀화 현상이 심해졌지만, 전공의 수의 전반적인 감소로 특히 응급의학과와 외과계 전공의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에 국내 의료계에서는 전공의들의 업무를 대체할 수 있는 고급 인력에 대한 요구, 특히 전문간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간호사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이러한 배경 하에 2006년 첫 시험을 통해 응급 전문간호사 제도가 도입되었다.
중환자 전문간호사의 경우, 오늘날 첨단의료기기의 발전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중증도가 높은 환자에 대한 간호가 더욱 전문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2006년 자격시험을 통해 국내 최초로 중환자 전문간호사들이 배출되었다.
이처럼 의료계의 변화와 함께 더욱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전문간호사 제도가 도입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전문간호사의 정의와 분야
2.1. 전문간호사의 정의
전문간호사란 "간호사 면허증을 소지하고 최근 10년 이내에 해당 분야의 간호 실무 3년 이상의 경력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시행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 또는 외국의 해당 전문간호사 자격소지자로서 인증받은 자"를 의미한다. 즉, 전문간호사는 간호사 면허를 소지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3년 이상의 실무 경험을 가지고 있고, 지정된 교육기관에서 전문과정을 이수하고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2006년에 전문간호사의 영역을 총 13개 분야로 세분화하였고, 이를 통해 전문간호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전문간호사 제도는 환자 간호의 실무수준을 향상시키고, 일반 간호사에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여 실무에 적용하게 함으로써 간호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2.2. 전문간호사 분야
우리나라는 2006년, 전문간호사의 영역을 총 13개 분야 - 가정, 감염관리, 노인, 마취, 산업, 보건, 아동, 응급, 임상, 정신, 종양, 중환자, 호스피스 – 로 세분화하였다.
이는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의료환경이 복잡해지고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요구되면서 간호사의 전문화와 세분화된 역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전문간호사는 환자 간호의 실무수준을 향상하고, 일반 간호사에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여 실무에 적용하게 함으로써 간호사의 업무를 더욱 보완해주며, 효과적인 간호계획을 수립하는 등 간호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전문간호사는 간호사 면허증을 소지하고 최근 10년 이내에 해당 분야의 간호 실무 3년 이상의 경력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 또는 외국의 해당 전문간호사 자격소지자로서 인증받은 자를 의미한다. 이들은 각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자, 연구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의료기관과 지역사회 내에서 일반 간호사의 역할을 넘어선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취 전문간호사는 수술실, 회복실에서 의사의 협력과 지도 하에 마취 행위를 수행하며 환자의 반응에 대처하고 적절한 마취 간호를 제공한다. 응급 전문간호사는 급성질환이나 손상으로 인한 신체의 이상에 대한 응급간호를 전문적으로 담당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신속한 회복을 돕는다. 중환자 전문간호사는 순환, 호흡, 신경계 등 복합적 문제를 가진 중증 ...
참고 자료
김상림(2014). 한국 마취전문간호의 태동과 변천.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김소선, 유옥수, 권인각, 문성미, 성영희(2005). 중환자 전문간호사의 세부영역 분류체계 및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 개발. 임상간호연구. 11(1)
설미이, 신용애, 임경춘, 임초선, 최정화, 정재심(2017)
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간호학의 지평. 14(1)
안숙희, 이은남, 송라윤, 박진희, 김복자, 성미혜, 이은자, 김민주, 김성숙(2015)
국내 응급전문간호사의 업무 수행빈도, 중요성, 자율성 및 지각된 수행능력. 중환자 간호학회지, 8(1)
이정희, 성영희, 이영희, 조용애, 권인각(2007)
중환자실 간호사 및 중환자 전문간호사의 역할 규명을 위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13(3)
고신성. ‘계륵’돼버린 전문간호사, 꼬인 실타래 풀릴까. 메디칼업저버. 2017년12월4일
김선경. 마취전문간호사 허용 요구.. 의협, ‘고소’ 등 강력 대응 예고. 의협신문.
박성은. 마취전문간호사와 마취업무 수행 일반간호사 ‘구분’ 필요. 데일리메디. 2019년10월24일
이승우. 골든 타임 내 응급 환자 35% 불과 대책은?. 의협신문. 2020년4월27일
정규숙. ‘전문간호사 업무범위’ 법적 근거 명시.. 의료법 개정안 국회 통과. 간호사신문. 2018년3월7일
정규숙. 마취전문간호사 역할 정립 국회토론회. 간호사신문, 2019년11월12일
허지윤. ‘전문간호사 위기’ 대학원생 계속 미달. 데일리메디. 2016년3월11일
중환자실 전문간호사의 전문간호행위 분류와 수행분석,(DBpia)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41548
중환자실,(생명과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2494&cid=60261&categoryId=60261
전문간호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1281&cid=50305&categoryId=50305
중환자실 전문간호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51202&cid=42117&categoryId=42117
중환자실 간호사의 이론적 정의,(Korean Nurse Association,2001)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장애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53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