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방어기제의 이해
1.1. 방어기제의 정의
방어기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방어기제란 심리 내적 또는 외적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불안감을 처리하고 심리 내부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자아의 무의식 영역에서 일어나는 심리기제이다. 자아가 불안한 상황에서 심리적으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부정적인 감정이나 충격적인 상황에 직면한 경우,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이러한 감정을 완화하거나, 혹은 무시하고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렇듯 방어기제는 취약한 인간으로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심리적 기제라고 할 수 있다."
1.2. 방어기제의 유형
1.2.1. 억압
억압은 정의 상 "불쾌한 감정, 생각, 사건, 인물 또는 금지된 욕망에 관한 기억이 떠오르지 않도록 무의식적으로 억누르는 심리적 행위를 의미"한다. 즉, 고통을 피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기억을 억누르는 것이다.
억압의 사례로 TV 프로그램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에서 볼 수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부모의 양육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부모의 성장 배경을 들어본다. 그러면 부모들이 자신의 성장 과정에서 겪었던 트라우마에 대해 상처가 크기 때문에 회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녀를 양육할 때 유사한 상황에서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게 된다. 즉, 부모들이 트라우마와 관련된 기억을 무의식적으로 억누르고 있어 그 경험이 발현되지 않아 자녀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우리 사회가 개인보다는 전체적인 목표 달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급격한 발전을 해왔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가정이나 사회에서 상처를 받은 채로 성장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억압된 기억은 결국 다른 형태로 드러나게 되므로, 프로이드가 말한 것처럼 "표현하지 않은 감정은 절대 죽지 않는다. 산 채로 묻혀서 나중에 더 추한 모습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통스럽더라도 억압된 기억을 끄집어내어 본인 스스로 치유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트라우마의 대물림을 막아야 할 것이다.
1.2.2. 부인
부인(denial)이란 외적인 상황이 감당하기 어려울 때 일단 그 상황을 거부하여 심리적인 상처를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하는 방어기제이다. 이러한 상황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극단적인 경우에 잘 나타난다. 예를 들어 두려움을 느끼는데도 겁나는 게 하나도 없다고 말하거나, 남편으로부터 학대받고 있음에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아내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즉, 충격적이거나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그 상황 자체를 거부하는 심리적 방어 기제가 부인이라고 볼 수 있다."
1.2.3. 투사
투사란 자신이 억압한 심적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행위이다. 예를 들어 외도를 저지르는 사람이 되려 자기 배우자가 외도를 저지를 것으로 의심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는 자신의 부정적인 면모를 스스로 인정하기 어려워하기 때문에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여 자신을 합리화하려는 심리적 기제라고 볼 수 있다.
투사는 자기보호를 위한 방어기제의 일종이지만, 지나치게 현실과 괴리된 인식을 갖게 만들어 오히려 대인관계와 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그림자 측면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며,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4. 치환
치환(displacement)은 억압된 심적 내용을 전혀 다른 대상에게 발산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그 특징은 다른 대상은 자기보다 힘이 약한 대상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관에게 위협을 느낀 온순한 남자가 집에 와서 아이에게 마땅한 이유 없이 화를 내는 행위가 치환의 사례이다"" 이처럼 화가 억압된 상황에서 그 화가 상관이 아닌 아이에게 표출되는 것이다. 상관이 강자이므로 직접적으로 화를 표출할 수 없었지만, 아이와 같이 약자인 대상에게 그 화가 전해지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