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 아침식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의 식이와 영양
1.1. 청소년기 식생활의 문제점
1.1.1. 아침식사의 결식
1.1.2. 패스트푸드 이용
1.1.3. 신경성 식욕부진증
1.1.4. 신경성 탐식증
1.2. 식습관의 중요성과 이유
1.3. 정신건강과 식생활과의 관계
1.3.1.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
1.3.2. 균형적인 영양섭취
1.3.3. 학교 급식을 통한 인성교육
2. 청소년 아침 식사 결식률 및 하루 1회 이상 외식률
3. 빈혈의 생애주기별 특징 및 유병률
3.1. 철 결핍성 빈혈의 특징
3.2. 비타민 B12 부족에 의한 빈혈의 특징
3.3. 여성의 연령별 빈혈 유병률
4. 노인기 질환의 위험 요인 및 영양 관리
4.1. 노인기 비만의 위험 요인 및 영양 관리
4.2. 노인기 고혈압의 위험 요인 및 영양 관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소년의 식이와 영양
1.1. 청소년기 식생활의 문제점
1.1.1. 아침식사의 결식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의 경우 아침식사를 거르는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13~19세) 중 36.9%, 20대 청년의 45.4%가 아침식사를 거르고 있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43.0%나 아침을 거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이유로는 "밥맛이 없어서"가 5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늦잠을 자서", "습관이 돼서", "체중을 줄이려고" 순이었다. 또한 "엄마가 챙겨주지 않아서" 아침을 거르는 경우도 2%나 되었다. 과거에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아침식사를 하지 못했던 것과는 달리, 최근에는 시간이 없거나 입맛이 없어서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아침식사를 거르는 것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처럼 청소년들의 높은 아침식사 결식률은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데, 이는 청소년의 건강과 학습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식사를 거르면 혈당 저하로 인한 피로감, 집중력 저하, 신경질적인 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성장 지장과 빈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아침을 거른 채 학교에 가면 학습능력이 떨어지고 성적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입시 준비로 바쁜 중고등학생들의 경우 아침식사를 통한 기초 영양 섭취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른 등교시간과 바쁜 일정으로 인해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과 학업 능력 향상을 위해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교와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1.2. 패스트푸드 이용
청소년기 학생들은 신체적으로 급격한 성장 및 성숙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많은 학습량과 수험으로 인한 스트레스 그리고 불규칙한 식사와 결식 및 패스트푸드 이용으로 영양상태가 불량하다.
특히 청소년기는 에너지의 1/4-1/3을 간식으로 섭취하는데, 이때 섭취하는 간식이 열량을 공급하는 텅 빈 열량인 경우가 많아 질적으로 문제가 된다. 또한 최근 패스트푸드 이용의 증가로 인해 청소년들의 건강이 우려되고 있다. 패스트푸드는 열량과 염분, 지방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반면 엽산과 섬유소는 거의 없고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의 함량도 적은 편이다. 따라서 패스트푸드 선택 시에는 영양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패스트푸드를 선택할 때는 탄산음료 대신 우유를 선택하고 샐러드를 함께 먹는 것이 좋다.
청소년들이 패스트푸드를 자주 이용하게 된 이유는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한 가정 내 식사 시간 감소, 학생들이 가정 밖에서 보내는 시간 증가 등 생활환경의 변화 때문이다. 또한 마른 체형에 대한 선호로 인해 청소년들 사이에 편식과 과도한 다이어트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한 원인이다. 이처럼 패스트푸드 섭취의 증가는 청소년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청소년의 균형잡힌 식습관 형성을 위한 체계적인 영양교육과 가정 및 학교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1.1.3.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주로 여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섭식 장애로, 체중이 늘어나는 것을 두려워하여 먹기를 거부하다 지나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질병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는 무월경과 골다공증 그리고 빈혈과 탈모 및 피부 건조, 무기력증과 건망증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이는 외모에 지나치게 집착하고 마른 체형을 선호하는 사회적 압박과 부모의 통제 등 다양한 심리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최근 사춘기 소녀들 사이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섭식 장애는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방해...
참고 자료
Mina K. Dulcan, MaryBeth Lake/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정신건강/학지사/2013
하영수 외 4/아동청소년건강간호학/신광출판사/2019
대구신문(http://www.idaegu.co.kr)
http://www.korea.kr/(대한민국정책브리핑)
보건복지부,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식품영양학을 위한 인체생리학 연구(임윤숙, 박은주(2019)), 교문사
최희정, 비타민 D 작용에 대한 새로운 조명, 가정의학회지, 2011.2.
헬스조선, 비타민 과잉 섭취 되레 병만 키운다, 2010.6.14.
헬스조선, 비타민C는 만능? 결석 있는 사람 섭취 조심해야, 2019.3.22
박기영, 아침식사와 청소년 건강,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제14권 제4호, 2011.
문홍섭(외), 비타민 B12 결핍성빈혈 환자에서 임상결과 분석 사례연구, 병원약사회지 제30권 제5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