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후광효과에대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후광효과(Halo Effect)
1.1. 후광효과의 정의
1.2. 후광효과의 역사
1.3. 후광효과의 사례
1.3.1. 명문대생의 높은 비율
1.3.2. 오뚜기의 판매량 일시적 증가
1.4. 후광효과의 문제점
1.4.1. 일반적 오류의 가능성
1.4.2. 마케팅 악용
1.4.3. 바이럴 마케팅
1.5. 바넘효과(Barnum Effect)
1.6. 밴드웨건 효과(Band Wagon Effect)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후광효과(Halo Effect)
1.1. 후광효과의 정의
후광효과란 한 개인이나 대상의 두드러진 특성이 그 개인이나 대상의 다른 특성을 평가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사람들은 특정 대상에 대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인상을 가지게 되면, 그 인상이 그 대상의 다른 특성에 대한 평가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인지적 한계와 편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큰 영향을 미친다. 대한민국 사회에서도 이러한 후광효과는 여러 분야에서 관찰될 수 있다.
1.2. 후광효과의 역사
후광효과의 역사는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Lee Thorndike)라는 심리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손다이크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군인들을 대상으로 후광효과를 실험하였다"" 그는 지휘관들이 일반 사병의 겉모습을 보고 평가하게 하였는데, 체격이 크고 품행이 단정한 병사들의 역량을 그렇지 않은 병사들보다 월등하게 높게 평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손다이크는 후광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다"" 즉, 특정 대상의 한 가지 두드러진 특성이 그 대상의 다른 특성에 대한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다""
1.3. 후광효과의 사례
1.3.1. 명문대생의 높은 비율
한국 사회에서 명문대 출신이 대기업에 입사하는 비율이 높은 이유는 후광효과 때문이다. 기업에서는 명문대 출신 신입 사원들에게 '일도 잘하고, 똑똑해서 말도 잘 알아듣고, 유능하다'라는 기대를 미리 갖게 된다. 실제로 대기업에 입사한 신입 사원들 중 명문대(상위 10% 대학) 출신이 80%가 넘는다고 한다. 이는 실제 능력과 상관없이 명문대 출신이라는 이미지가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내기 때문이다. 개인의 일부분에 대한 고정관념이 전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후광효과의 핵심이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사회에서 대기업 채용 시 ...
참고 자료
美 ARM 상장 후광 효과 '톡톡'…코스닥 900선 탈환 , 김대연 기자, 한국경제,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9150051&t=NN
'후광 효과' 이상의 능력치와 매력을 지닌 2세 아이돌들, 권수빈 기자, https://www.newsculture.press/news/articleView.html?idxno=532171news culture
휠라, 배우 한소희 브랜드 글로벌 앰버서더로 선정…캠페인 컷 공개 , 김진희 기자, new1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5168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