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양산시 특성
1.1.1. 지역사회 특성
양산시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위치한 도농복합지역이다. 동쪽은 수영강을 경계로 부산광역시와 기장군과 접하고 있으며, 북쪽은 천정산과 영축산의 산악 지형으로 통도사가 위치해 있다. 서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김해시와 접하고, 남쪽은 금정산을 경계로 부산광역시 금정구 및 북구와 접하고 있으며, 북쪽은 울산광역시와 밀양시에 접하고 있다.
원동면, 상·하북면을 중심으로 한 평야지역과 산업단지가 형성되어 있는 도농복합지역이다. 물금신도시 개발로 인한 부산인구 유입, 각종 산단 개발, 경전철 착공 등 양산시의 개발노력이 계속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지역이다. 교통망은 서쪽으로 경부선철도, 동으로는 국도 7호선, 가운데로는 경부 고속도로와 35호 국도가 가로지르고 있어 남북으로 교통이 발달하여 부산과 울산의 내왕이 용이하다. 시청 소재지는 남부동이고, 행정구역은 1읍 4면 8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산시의 각 권역은 농촌지역인 1권역, 산업단지가 위치한 2권역, 신도시지역인 3권역, 원도심지역인 4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1권역은 근교농업지역이자 산업 및 공업지역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인구의 7%가 거주하고 전체 노인인구 대비 27%를 차지하는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의료취약지역이다. 2권역은 주거 및 산업지역으로 전체인구의 27%가 거주하며, 웅상중앙병원(종합병원)이 소재해 있어 의료인프라가 양호한 편이다. 3권역은 신도시지역으로 토지 구획정리 등으로 인구가 급증하였고 전체인구의 45%가 거주하며, 대학병원이 소재해 의료분야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4권역은 구도심지역으로 도심공업과 정주복합도심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전체인구의 22%가 거주하고 있다.
1.1.2. 산업 및 경제 현황
양산시의 산업 및 경제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산시는 도농복합지역으로 원동면, 상·하북면 주변 평야를 중심으로 한 농경지와 산막·유산·어곡·덕계를 중심으로 한 산업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조업이 발달해 있으며, 서비스업 사업체 수 비중은 58.8%로 높지만 고용률은 낮은 편이다. 반면 제조업은 사업체 수 대비 종사자 수 비중이 높아 상당한 고용규모를 가진 대기업이 입지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양산시의 산업구조는 서비스업 사업체 수 비중이 79.7%로 가장 높지만 서비스업 종사자 비중은 58.8%에 불과하다. 이는 서비스업이 영세한 규모의 사업체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제조업은 사업체 수 대비 종사자 수 비중이 35.7%로 높은 편이어서 대기업 제조업체의 고용이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SOC와 기타 사업체는 각각 4.4%, 0.9%를 차지한다.
이러한 산업구조를 바탕으로 양산시의 지역내총생산(GRDP)을 살펴보면, 2019년 기준 약 10조원 규모로 1인당 GRDP는 10,218.3달러로 경상남도 내에서 창원시, 김해시에 이어 3번째로 높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건설업, 부동산업, 도매 및 소매업 등이 그 뒤를 따른다.
이처럼 양산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고루 발달한 지역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업의 경우 영세한 규모의 사업체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고용 창출 효과가 크지 않은 편이다. 반면 제조업은 대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어 높은 고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함께 서비스업 부문의 고용 창출 능력 제고가 양산시 경제 발전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1.3. 예산 및 재정
양산시의 2023년 예산은 16,580억원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3년 당초예산 16,580억원 중 일반회계가 14,842억원, 특별회계가 1,607억원이다. 2023년 제1회 추경예산은 17,578억원으로 일반회계 15,845억원, 특별회계 1,733억원이다.
양산시의 재정자립도는 23.74%로, 경상남도 내에서 중간 수준이다. 양산시의 일반회계 중 보건의료예산 비율은 1.56%로, 인구 규모가 유사한 진주시(1.70%)와 비슷한 수준이다.
양산시 기후환경과의 2023년 예산은 50,760,426천원으로, 전년도 43,822,823천원 대비 약 16% 증가하였다. 이 중 대기환경개선 사업에 43,844,424천원이 편성되었다.
양산시 여성청소년과의 2023년 예산은 22,621,718천원으로, 전년도 21,308,155천원 대비 약 6% 증가하였다. 출산장려분위기 조성을 위한 사업에 53,132천원, 여성친화도시 활성화 지원사업에 166,700천원이 편성되었다.
양산시 건강증진과의 2023년 예산은 12,486,737천원으로, 전년도 12,224,738천원 대비 약 2% 증가하였다. 지역사회중심 금연지원서비스에 284,353천원,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에 384,606천원이 편성되었다.
양산시의 지역 내 총생산(GRDP)은 9,971,437백만원이며, 제조업이 4,158,976백만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1인당 GRDP는 10,218.3만원으로 경상남도 내에서 3번째로 높다.
이처럼 양산시의 예산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보건의료 분야에도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대기환경개선, 출산장려, 지역사회 건강증진 등의 사업에 비중 있게 예산이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2. 인구특성
1.2.1. 인구변화 및 증가율
양산시의 인구변화 및 증가율은 다음과 같다.
양산시의 인구는 2020년까지 매우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며, 2023 현재까지도 꾸준한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022년 기준 양산시 인구는 353,792명으로 경상남도에서 창원시, 김해시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경상남도에서 가장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양산시의 연도별 인구 변화를 살펴보면, 2019년 350,759명, 2020년 352,229명, 2021년 354,726명, 2022년 353,792명으로 매년 지속적인 인구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는 신도시 개발 등으로 인한 인구 유입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인구 증가율의 경우, 2019년 0.66%, 2020년 0.26%, 2021년 0.65%, 2022년 -0.12%로 나타났다. 2022년에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를 보였지만, 여전히 경상남도 전체 증가율(-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