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기초전기전자실험 3주차 결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09.22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부산대 기초전기전자실험 3주차 결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드해석
1.1. 각 노드 a, b, c의 전압 계산
1.2. 각 도선의 전류 수식화
1.3. 이론값과 측정값 확인

2. Mesh 해석
2.1. Mesh 해석법을 통한 회로 분석
2.2. 이론값과 측정값 비교

3. 스톱워치 설계
3.1. 서론
3.2. 기본 설계
3.2.1. 스위치부
3.2.2. 카운터부
3.2.3. 디스플레이부
3.3. 추가 기능 설계
3.3.1. LAP 기능
3.3.2. 알람 기능
3.4. 간단한 팁

4. SBT 박막 제조와 특성 측정
4.1. 실험 목적
4.2. 실험 방법
4.3. 실험 결과
4.4. 고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드해석
1.1. 각 노드 a, b, c의 전압 계산

각 노드 a, b, c의 전압 계산은 다음과 같다.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에 따라 노드 a에 연결된 전압원 V1과 저항 R1, R2에 걸리는 전압의 합은 0이 된다. 따라서 V_a = V1 = 10V이다.

노드 b에 연결된 전압원 V2와 저항 R2, R3에 걸리는 전압의 합은 0이 된다. 따라서 V_b = V_c + V2 = V_c + 5V이다.

노드 c에 연결된 저항 R3에 흐르는 전류 I_3와 노드 b의 전압 V_b를 이용하여 옴의 법칙을 적용하면 V_c = V_b - I_3 * R3 = 6.5V - 0.1612A * 3Ω = 1.5V이다.

따라서 각 노드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V_a = 10V
V_b = 6.5V
V_c = 1.5V


1.2. 각 도선의 전류 수식화

각 도선의 전류 수식화는 다음과 같다.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에 따르면 폐회로에서 전류의 대수합은 0이므로, 회로도의 네 개의 폐회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폐회로 1: I1 - I2 = 0
폐회로 2: I2 - I3 + I1 = 0
폐회로 3: I3 - I1 = 0
폐회로 4: I2 = 5V/10Ω = 0.5A

이를 연립하여 해를 구하면, I1 = 0.4728mA, I2 = 1.139mA, I3 = 0.1612mA이다.

따라서 각 도선의 전류는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을 통해 수식화할 수 있다.


1.3. 이론값과 측정값 확인

실험 결과 노드해석으로 풀이한 이론값과 측정값이 거의 일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론값으로 구한 Va는 10V, Vb는 6.5V, Vc는 1.5V이고, 실제 측정값은 Va = 9.992V, Vb = 6.476V, Vc = 1.482V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드해석법을 적용하여 구한 회로의 전압 분포가 실제 측정값과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Mesh 해석
2.1. Mesh 해석법을 통한 회로 분석

Mesh 해석법을 통한 회로 분석이다.

계 모두 닫힌 계이므로 키르히호프 전압 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닫힌계에서의 전압의 대수합은 0이므로 아래의 3개의 연립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 +4( (4(

연립하여 계산하면 I1=0.4728mA, I2=1.139mA, I3=0.1612mA이다.

이론치와 측정치를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이론치 측정치
I1 0.4728mA 0.4763mA
I2 1.139mA 1.131mA
I3 0.1612mA 0.1650mA

실험 결과 메쉬해석법으로 계산한 이론값이 측정값과 거의 일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2. 이론값과 측정값 비교

실험 결과 메쉬해석법으로 계산한 이론값이 측정값과 거의 일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론값으로 계산한 전류 I1은 0.4728mA, I2는 1.139mA, I3는 0.1612mA이었고, 측정값 또한 각각 0.4763mA, 1.131mA, 0.1650mA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메쉬해석법을 통해 도출한 전압 V1=1.429V, V2=3.395V, V3=0.165V와 멀티미터로 측정한 결과도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메쉬해석법을 적용하여 회로를 분석한 결과가 실제 측정값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3. 스톱워치 설계
3.1. 서론

논리회로 및 기초전자전기실험으로 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스톱워치를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각각의 파트를 올바르게 설계하고, 실험 때 성공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은 점수를 받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스톱워치와 추가 기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지금까지의 실험에서 받은 감점을 만회할 수 있는 실험이기도 합니다. 스톱워치는 크게 스위치부, 카운터부,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추가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세부사항은 Part 2에서 다이어그램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2. 기본 설계
3.2.1. 스위치부

스위치부는 스톱워치 기능의 구현을 위해 필수적인 ...


참고 자료

Alan B. Marcovitz / 디지털 논리설계 ; Introduction to Logic Design 3rd Edition / 최종필 강정원 공역 / 한국맥그로힐(McGraw-Hill Korea) / 2010년 01월 10일
김재호, 김성신, 남일구 공저 /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 2021년 02월 26일
논리회로(EE30396) 강의 자료
제 2장 조합회로 시스템
제 3장 카르노 맵
제 5장 대형 조합회로
제 6장 순차시스템의 해석
제 7장 순차회로 시스템의 설계
Logisim-evolution : Digital Logic Designer and Simulator
https://github.com/logisim-evolution/logisim-evolution.git
Datasheet (7404 Hex Inverter NOT)
https://www.alldatasheet.com/datasheet-pdf/pdf/255269/NXP/74HC02.html
Datasheet (7408 Quad 2 input AND)
https://www.alldatasheet.com/datasheet-pdf/pdf/104081/PHILIPS/74HC08.html
Datasheet (7432 Quad 2 input OR)
https://www.alldatasheet.co.kr/datasheet-pdf/pdf_kor/546569/NXP/74HC32.html
Datasheet (7474 D Flip Flip)
https://www.alldatasheet.co.kr/datasheet-pdf/pdf_kor/15659/PHILIPS/74HC74.html
Datasheet (74107 JK Flip Flop)
https://www.alldatasheet.com/datasheet-pdf/pdf/15526/PHILIPS/74HC107.html
Datasheet (7447 decoder)
https://www.alldatasheet.com/datasheet-pdf/pdf/82663/ETC/7447.html
- ZrO2 완충층과 SBT 박막을 이용한 MFIS 구조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2002. 2월) 공학석사 논문
- 비 휘발성 기억소자용 SrBi2Ta2O9 박막의 강유전체 특성, 조선대학교 재료공학과
- http://www.icm.re.kr (재료연구정보센터)
- http://home.pusan.ac.kr/~material/(부산대학교 반도체 박막 실험연구실)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