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간호 목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4.09.22
6,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호스피스간호 목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개요
2.1. 호스피스 유래와 정의
2.2. 호스피스 대상자

3. 호스피스 간호
3.1. 호스피스 간호의 목적
3.1.1. 통증 조절
3.1.2. 심리적·사회적·영적 돌봄
3.1.3. 임종·사별가족 돌봄
3.2. 호스피스 간호사의 역할
3.2.1. 신체적 간호
3.2.2. 심리적 간호

4. 임종 간호
4.1. 임종 직전 간호
4.2. 사별가족 간호

5. 호스피스 현황 및 전망
5.1. 호스피스 현황
5.1.1. 법적 기반
5.1.2. 정책의 변화
5.1.3. 호스피스 유형
5.1.4. 주요사업 내용
5.1.5. 기관 현황
5.1.6. 호스피스 전문가 교육과 훈련
5.1.7. 문제점
5.2. 호스피스 전망
5.2.1. 고령화
5.2.2. 나아가야 할 방향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사로서 환자를 간호하는 주요 목적은 환자의 건강 회복일 것이다. 하지만 의학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건강을 회복하지 못하고 죽음에 이르는 환자들이 존재한다.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치료를 지속하는 환자가 있을 것이고,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호스피스 간호를 선택하는 환자도 있을 것이다. 호스피스 간호를 선택한 임종 환자에게는 어떤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지, 일반적인 임상 간호와는 다른 목적을 가진 호스피스 간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보고서 주제를 선정하였다.


2.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개요
2.1. 호스피스 유래와 정의

호스피스의 유래는 라틴어의 어원인 Hospice 또는 Hospitum으로부터 기원되었으며, 주인과 손님이 서로 돌보고 손님에게 편안한 장소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세기에는 성지 예루살렘으로 가는 순례자나 여행자가 하룻밤 쉬어가던 휴식처를 호스피스라 하였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오늘날에는 호스피스의 개념이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가는 여행자에게 문이 열려 있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호스피스 간호란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환자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돕고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는 총체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행위이다. 즉, 호스피스 간호는 치유가 아닌 돌봄으로 정의되는 영역으로, 간호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며 더욱 확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 호스피스 대상자

호스피스의 대상자는 암 또는 불치병으로 진단을 받아 더 이상의 의학적인 치료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통증 및 증상완화를 위한 비치료적 요법을 필요로 하는 잔여 생존 기간 6개월 미만의 환자와 그 가족이다. 암 또는 불치병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라면 진단 받는 순간부터 호스피스 간호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식이 분명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무의식 환자라도 그 가족은 호스피스 간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호스피스 환자로 인정하는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암 환자 이외에도 만성호흡부전, 만성간경화, 후천성면역결핍증으로 말기 진단을 받은 경우에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3. 호스피스 간호
3.1. 호스피스 간호의 목적
3.1.1. 통증 조절

호스피스 간호의 목적 중 하나는 통증 조절이다. 임종환자들이 호소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통증이다. 특히 말기 암 환자의 통증은 만성적이며 쉽게 완화되지 않고 계속되면서 다른 불쾌한 증상들을 동반하는 총체적인 통증이다. 대부분의 말기 암 환자들의 80% 이상이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나 의료인의 암 환자의 만성통증에 대한 지식 부족과 통증 조절방법의 부적절함으로 암 환자의 58-84%가 통증이 완화되지 않고 있다. 호스피스 전문병원에서는 암 환자의 통증, 구역·구토, 숨참, 변비, 불면증, 복수 등의 증상을을 적극적으로 조절하여 살아있는 동안 고통스럽지 않으며 그로 인해 삶의 질이 높아지도록 지원한다."


3.1.2. 심리적·사회적·영적 돌봄

호스피스 간호에는 의료진 외에도 전문적으로 교육 받은 사회복지사, 전문치료사, 종교인,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다학제팀이 함께하여 삶의 마지막 순간에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하며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사회복지사는 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 경제적, 지역사회자원연계 문제등을 사정하여 개별상담, 집단상담, 사별가족상담 등을 시행하여 전인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종교인은 환자와 가족이 영적고통(죽음에 대한 두려움, 절대자에 대한 죄책감, 소외감 등), 영적갈등이 감소할 수 있도록 하고, 영적 요구가 충족될 수 있도록 하는 상담을 진행한다. 전문치료사는 대체요법을 통해 환자와 가족이 치료과정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불안 등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통증에너지를 긍정적인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처럼 호스피스 간호는 단순히 신체적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넘어 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 영적 요구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전인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3.1.3. 임종·사별가족 돌봄

임종환자와 가족에 대한 호스피스 간호는 환자가 평안하고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고,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호스피스 간호팀에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전문치료사, 종교인, 자원봉사자 등이 포함되며, 이들이 협력하여 환자와 가족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한다.

임종이 임박한 환자에게는 가능한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고, 증상을 완화하여 평화롭고 안락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청각 감각이 마지막까지 남아있음을 인지하고 가족들이 환자와 대화하도록 격려하며, 불안정한 행동이나 동요를 완화시키기 위해 이마 마사지, 책 읽어주기, 부드러운 음악 소리 제공 등을 한다. 또한 호흡곤란, 구토, 변비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간호중재도 제공한다.

사별가족 간호는 의미있는 사람을 잃은 가족들이 슬픔과 고통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간호사는 가족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초기 6개월 동안 정기적으로 위로 카드를 보내고 면담을 진행한다. 가족들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돌볼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지체계를 연결해 주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상실에 대한 추상적 설명은 피하고 현실적인 태도로 대응하며, 살아있는 자신들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여 희망을 갖도록 돕는다.

이처럼 호스피스 간호팀은 임종과 사별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을 전인적으로 돌봄으로써, 존엄하고 평화로운 죽음과 건강한 슬픔의 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로 평가받고 있다.


3.2. 호스피스 간호사의 역할
3.2.1. 신체적 간호

말기 환자에게 제공되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신체적 간호는 환자의 증상완화와 안위도모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호스피스 간호사는 환자의 생리적 요구와 안전 ...


참고 자료

Carol Taylor, Carol Lillis and Pamela Lynn. (2022). 기본간호학Ⅰ(전미양 외 역). 경기도: 수문사. (원서출판 2015).
유양숙 외. (2022). 성인간호학 상권 (제8판). 서울특별시: 현문사.
선정주. (2003). 가정호스피스 간호제공에 따른 말기 암 환자의 통증과 삶의 질 변화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간호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9354804
배영란. (2001).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지각 및 수행과 호스피스 환자의 기대 및 만족정도. 호스피스논집 5, 23-36.
국립암센터 중앙호스피스 센터. (연도미상). 호스피스·완화의료 정의. https://hospice.go.kr:8444/?menuno=9
고신정. (2019. 09. 16). '편안한 죽음을' 호스피스 접근법 확실히 달랐다. 의협신문.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931
홍준기. (2019. 06. 25).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률 5년간 30%까지 높인다. 동아일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5/*************.html
김대숙, 박형숙, 김정아, 최주희, 박미주(2012).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의사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호스피스 간호와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글로벌 건강과 간호, 2(2), 82-93
김창곤 (2017).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20(1), 8-17.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연구소 (2022). 호스피스 완화돌봄. 현문사. 105-116
여형남 (2020). 융복합시대에 말기 암 환자를 돌보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경험. 디지털융복합연구, 18(9), 307-315.
김경은, 유명숙 (2021). 가정형 호스피스 환자의 가족지지와 죽음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28(3), 307-316.
이기순 (2022).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경영연구, 9(1), 86-102.
이준석 (2015).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기술 거버넌스.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5(12), 247-27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제도개선 방안 : 유형간 연계강화 및 환자중심의 통합적 이용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의과학연구정보센터.
신양준(2020). 영국의 생애말기돌봄(End of life Care) 제도. HIRA 정책동향, 14(4), 63-77.
이용재, 박창우 (2022). 고령화 시대 한국 노인돌봄체계의 구조와 한계,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역할방향 고찰. 한국지역사회복지학, 80, 205-231.
보건복지부(2019). 2019 국가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례보고서 (hospice.go.kr)
이현주.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002. 부산
황옥남 외 8명, “성인간호학(상)” 2019.01.15.
김정아. "호스피스병동 입원환자의 호스피스 간호요구도 및 간호만족도."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서울
권소희, “지면보수교육 - 호스피스 전문간호사의 역할”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200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