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경뿌리병증을동반한요추및기타추간판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추간판 탈출증의 정의와 특성
1.2. 추간판 탈출증의 발생 원인
2.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
2.1. 통증
2.2. 압통
2.3. 운동 제한
2.4. 좌골신경성 측만
2.5. 근력 감퇴
2.6. 감각이상
2.7. 성기능 장애 및 하지 마비
3.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
3.1. 영상검사
3.2. 신경학적 검사
4.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
4.1. 약물치료
4.2. 물리치료
4.3. 수술치료
4.3.1.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
4.3.2. 미세현미경 추간판 절제술
4.3.3. 척추궁 절제술
4.3.4. 척추 융합술
5.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간호
5.1. 통증 관리
5.2. 낙상 예방
5.3. 피부 관리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추간판 탈출증의 정의와 특성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병이다. 추간판은 척추 사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섬유연골 관절이다.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이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되면 추간판 주변의 섬유륜에 균열이 발생하고 내부의 수핵이 탈출되어 신경근을 압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척추와 신경근 사이의 공간이 감소하면서 통증,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 추간판 탈출증의 특성이다. 추간판 탈출증은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주로 발생하지만, 무리한 자세, 외상, 척추 측만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1.2. 추간판 탈출증의 발생 원인
추간판 탈출증의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다.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이 퇴행됨에 따라 추간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추간판 내부의 수핵이 척추뼈의 경계 넘어로 탈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간판 탈출의 주요 원인 요인에는 무리한 자세, 사고로 인한 물리적 충격, 척추 측만증, 나쁜 습관 등이 있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옆으로 옮길 때의 무리한 자세는 추간판 탈출증의 주요 원인이다. 잘못된 자세로 인해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면서 섬유륜에 균열이 생기고, 수핵이 탈출될 수 있다.
또한 교통사고, 낙상 등의 사고로 인한 물리적 충격은 추간판의 손상을 일으켜 탈출증을 유발할 수 있다. 사고로 인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면 추간판의 구조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수핵이 밀려나오게 된다.
장기간 나쁜 자세, 예를 들어 산업장이나 운전, 과다한 사무 업무, 공부, 부엌일 등으로 인한 척추의 부담 증가도 추간판 탈출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세로 인해 추간판에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면서 점진적으로 추간판이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되는 것이다.
척추 측만증과 같은 척추 장애 역시 추간판 탈출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척추가 정상적인 곡선을 이루지 못하고 휘어져 있는 경우,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불균형하게 분포되면서 추간판 파열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다리를 한쪽으로만 꼬고 앉는 습관이나 굽 높은 신발만 신는 습관 등도 추간판 탈출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세는 추간판에 국소적인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결국 탈출을 초래할 수 있다.
종합하면, 추간판 탈출증은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와 더불어 무리한 자세, 외부 충격, 장기적인 나쁜 습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
2.1. 통증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이다. 추간판 탈출에 따른 신경근 압박은 심한 통증을 유발하며, 이는 요통과 하지의 방사통으로 나타난다. 요통은 하부 요추의 중심선을 따라 느껴지나 비교적 넓고 불확실한 특징을 보인다. 또한 엉치 혹은 허벅지, 종아리, 발바닥, 발끝 등이 저리거나 아픈 방사통을 동반한다.
이러한 통증은 추간판 탈출 부위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경추 및 흉추의 추간판 탈출은 척수신경을 직접 압박하여 목, 어깨, 등 윗부분 또는 팔의 통증을 유발한다. 반면 허리엉치(요추, 천추)의 추간판탈출은 척수신경의 끝부분을 압박하여 등 아래, 엉덩이, 다리, 발 등의 통증 및 저림 증상이 나타난다. 이를 좌골신경통으로도 알려져 있다.
특히 급성기에는 심한 근육경직으로 인해 허리를 앞으로 굽히기가 힘들어지며, 추간판이 탈출되는 부위에 따라 측만(허리가 삐뚤어지는 자세)이 나타난다. 이는 신경을 자극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자세를 취하기 위한 생리적 반응이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또 다른 통증 양상은 압통이다. 허리 뒷부분을 압박할 때 국소 통증이 느껴지며, 특히 좌골신경통을 호소한다.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데, 이는 추간판이 탈출되면서 신경근을 누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통증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통증의 부위와 양상에 따라 신경학적 증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정확한 통증 평가와 함께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손상된 신경근의 위치와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압통
압통은 요추 및 기타 추간판장애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허리 뒤쪽을 압박할 때 국소적인 통증이 느껴지며, 특히 좌골신경통을 호소하게 된다.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하게 나타난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는 급성기에 심한 근육경직으로 인해 모든 동작이 제한되며, 허리를 앞으로 굽히기가 힘들어진다. 이는 좌골신경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허리가 측만되는 자세로 나타나게 된다. 신경이 압박되는 부위에 따라 측만의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즉, 신경을 자극시키지 않는 위치를 취하게 되면서 허리가 휘어지는 것이다."
2.3. 운동 제한
급성기에는 심한 근육경직으로 모든 동작이 제한되고 대부분 허리를 앞으로 굽히기가 힘들어진다. 이는 척수신경의 압박을 막기 위한 자세조절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급성기에는 허리를 움직이거나 몸을 굽히는 동작이 매우 어려우며, 이로 인해 일상적인 활동이나 움직임에 제한이 있게 된다. 따라서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급성기에는 움직임에 제한이 나타나고 이를 통해 척수신경 압박을 완화하는 자세조절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2.4. 좌골신경성 측만
좌골신경성 측만은 추간...
참고 자료
김성태, CASE STUDY, Edu First, 2020년, p.195~197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Ⅲ, 수문사, 2020년 2월 29일, p. 1218~1220
[네이버 지식백과] 신경근병증 [radiculopath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추간판 탈출증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재활 치료 [rehabilita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대한진단검사의학회 LAB TESTS ONLINE
드러그인포
약학정보원
성인간호 지침서 NANDA 간호진단
네이버 신경근병증 사전백과‘신경근병증 (naver.com)’
서울OO병원 ‘의학교육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김근순 외(2017) , 성인 간호학Ⅱ ,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황옥남,성인간호학,현문사,2019
이은희,비판적사고에기반한간호과정,고문사,2017
김연숙,건강사정,JMK,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