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법 정리
1.1. 문장의 구성
1.1.1. 기본개념
문장의 구성은 동사의 성격에 따라 그 형식이 좌우된다. 즉, 동사의 종류에 따라 문장의 구조가 달라지는 것이다. 동사는 그 성격에 따라 크게 자동사(intransitive verb)와 타동사(transitive verb)로 나뉘며, 이에 따라 문장의 구조가 결정된다.
자동사는 단독으로 문장을 구성할 수 있는 동사이다. 즉, 주어만 있으면 문장이 성립된다. 예를 들어 "He sits.", "The sun rises."와 같은 문장이 자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이다. 이와 달리 타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이다. 즉, 주어와 목적어가 있어야 문장이 완성된다. "He reads the book.", "The teacher teaches the students."와 같은 문장이 타동사로 구성된 문장이다.
이처럼 동사의 성격에 따라 문장의 구조가 달라지므로, 문장을 분석할 때는 먼저 동사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문장의 구조와 성분들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1.1.2. 주어와 동사의 일치
주어와 동사의 일치는 문법적으로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TOEIC을 비롯한 많은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주어와 동사의 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문장이 틀렸다고 판단되므로, 문장을 구성할 때는 주어의 수를 먼저 파악하고 그에 맞는 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주로 문장 내에서 주어를 찾아내고 동사의 수 변화, 즉 3인칭 단수의 현재형 변화와 단수 및 복수 동사를 주어와 일치시키는 문제가 출제된다. 예를 들어 "The scientist and poet is dead."와 "The scientist and the poet are dead."에서 알 수 있듯이, 주어가 단일 개념일 때는 복수의 형태라도 단수로 취급해야 한다.
또한 "Every policeman and official is on the alert."과 "No help and no hope comes to the drowning man."에서 볼 수 있듯이, 의미상 복수의 개념이지만 실체의 뜻이 대상 하나하나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every, each, no 등의 수량 관련 단어들도 단수로 취급된다.
"A number of the casualties were children and women."과 "The number of books on the desk is 10."에서처럼, a number of+복수명사는 복수로, the number of+복수명사는 단수로 취급된다. 이처럼 주어와 동사의 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Either Tom or I am a Christian."과 같이 상관접속사로 연결된 경우, 나열된 단어의 수와 상관없이 동사는 B에 일치시킨다. 이는 말하는 이가 B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re seem to be more people driving cars today than there ever were before."에서 볼 수 있듯이, "There+be+주어" 구문에서도 There 다음에 나오는 주어의 수에 동사를 일치시켜야 한다.
이처럼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는 TOEIC과 같은 시험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문법 요소이다. 주어와 동사의 수를 정확히 파악하고 일치시키는 연습이 필요하다."이다.
1.2. 문장의 5가지 형식
1.2.1. 1형식: 완전 자동사
1형식 동사(완전 자동사)는 주어 이외에 어떤 다른 성분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사이다. 이러한 1형식 동사는 주어만으로 문장을 구성할 수 있으며, 목적어나 보어 등 다른 성분이 요구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1형식 동사로는 sit, stay up, arrive, come, go, die, sleep, lie 등이 있다. 이 동사들은 주어만으로 문장이 성립되며, 다른 성분은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he sits.", "The train arrives on time.", "The children sleep in their room" 등과 같이 주어만으로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
1형식 동사는 문장에서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역할을 하며, 영어의 문장 구조에서 가장 기본적인 형태를 이룬다. 이런 1형식 동사는 문장을 구조화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TOEIC 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문법 사항이다.
1.2.2. 2형식: 불완전 자동사
2형식: 불완전 자동사 동사는 주어와 목적어의 관계에 따라 크게 타동사와 자동사로 나뉘며, 이 중 자동사는 다시 완전 자동사와 불완전 자동사로 구분된다. 불완전 자동사란 주어만으로는 문장이 완성되지 않고 보어(補語)가 필요한 자동사를 말한다.
불완전 자동사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불완전 자동사는 주어와 보어 사이에 일정한 의미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보어는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둘째, 불완전 자동사 뒤에 나오는 보어는 주로 형용사나 부사로 되어 있으며, 문장에서 주어와 보어를 합해서 하나의 문장성분이 된다. 셋째, 불완전 자동사는 타동사와는 달리 목적어를 취할 수 없다.
대표적인 불완전 자동사로는 감각동사(feel, smell, sound, taste, look), 상태동사(be, become, appear, seem, prove, remain), 움직임동사(go, run, walk, arrive) 등이 있다. 이러한 불완전 자동사는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보어를 취하므로, 보어로는 형용사나 부사가 온다.
He feels sad. 그는 슬퍼보인다.
The soup tastes good. 이 수프는 맛이 좋다.
The flower smells sweet. 이 꽃은 향기가 좋다.
The tea looks hot. 이 차는 뜨거워 보인다.
또한 명사나 명사구도 보어로 쓰일 수 있지만, 이 경우 주어와 보어 사이에는 동격(同格) 관계가 성립된다.
His job is a teacher. 그의 직업은 선생님이다.
This house became a hotel. 이 집은 호텔이 되었다.
이처럼 불완전 자동사는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보어를 필요로 하므로, 문장의 완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보어가 함께 출현해야 한다는 점이 완전 자동사와 구분되는 특징이다.
1.2.3. 3/4 형식 동사
3/4 형식 동사는 완전 타동사로, 주어와 직접 목적어, 그리고 간접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이다. 이러한 동사는 일반적으로 "to"와 "for"와 함께 사용된다.
3형식 동사는 주어와 목적어로 구성된 구문으로, 동사가 행위의 대상을 직접적으로 가리킨다. 예를 들어 "Tom wrote a letter."와 같은 문장이 해당된다. 여기서 "wrote"는 3형식 동사이고 "a letter"가 직접 목적어이다.
4형식 동사는 주어,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로 구성된 구문이다. 간접 목적어는 "to" 또는 "for"와 함께 사용되며, 행위의 대상이 아닌 혜택을 받는 대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om gave Mary a book."에서 "gave"는 4형식 동사이고 "Mary"가 간접 목적어이다.
3/4형식 동사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해야 한다. 첫째, 3형식 동사에 "to" 또는 "for"가 붙으면 4형식이 된다. 둘째, 간접 목적어는 직접 목적어 뒤에 위치한다. 셋째, 4형식 동사의 간접 목적어는 전치사 "to" 또는 "for"와 함께 쓰이지만, 일부 동사(say, tell, ask 등)에서는 전치사가 생략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