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루만 법 체계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2. 탈코트 파슨즈의 구조 기능주의
2.1. 개념
2.2. 특성
3.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 이론
3.1. 개념
3.2. 특성
4. 비교 분석
4.1. 유사점
4.2. 차이점
5. 루만의 사회이론과 사이드의 Orientalism
5.1. 루만의 사회이론
5.2. 사이드의 Orientalism
5.3. 두 이론이 세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 부분
6. 파슨즈의 사회체계 유지의 기능적 요건
6.1. 적응(Adaptation)
6.2. 목표 달성(Goal attainment)
6.3. 통합(Integration)
6.4. 유지(Latency)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근대적 사회학 이론에서의 매우 중요한 움직임들 가운데서도 기능주의, 미시사회학, 이들을 종합한 이론 등의 세 가지 움직임은 가장 중요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이들 가운데서도 세계 제 2차 대전 이후에 특히 두드러지게 출현하였던 고전적인 구조적 기능주의 또는 단순히 기능주의라고 일컫는 사회학 이론은 사실상 심리학과 사회학의 전 영역을 다룬 이론이었다. 이러한 기능주의 이론들 가운데 가장 유능하면서도 유명한 사회학 주창자로 들 수 있는 학자가 바로 탈코트 파슨즈인 것이다. 즉, 파슨즈에 의해 사회학 이론의 지배적인 양상으로 등장하게 된 기능주의 사회학은 질서에 대한 의지에 그 바탕으로 두고 있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회적 체계는 환경과의 관계를 안정시킴으로써 기능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가정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구조기능주의로 지칭되고 있는 파슨즈의 이론은 앞 선 세대의 고전 학자들이 근대사회와 자본주의의 등장이라는 역사적 사회현상의 한 단면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던 것과는 달리 인류 사회의 보편적인 거대 이론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파슨즈는 고전 학자들이 주창하였던 지적 유산을 종합하고 미시적 행위단위에서부터 거대 이론적 도식에 이르기까지의 이론을 진행하고자 했던 것이었으며, 이러한 파슨즈의 시도는 현대 사회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론이 내포하고 있는 제한적인 시야로 인해서 이후의 여러 학자들로부터 도전 또한 받은 것도 사실이다. 즉, 파슨즈의 기능주의 이론은 인문학에 시스템이론을 접목하고자 하는 매우 가치 있는 시도로 평가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이 등장할 당시의 물리학과 생물학의 적합성에서의 한계로 인해 이미 파슨즈 이론만이 지니고 있는 학문적 매력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그 시도의 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파슨즈의 기능주의 이론을 비판하는 가운데 파슨즈의 이론적, 지적 토대 위에서 구조 기능주의가 내포하고 있는 한계점을 넘어섰다는 차원에서 주목할 만한 학자가 바로 니클라스 루만이다. 루만은 파슨즈를 통해 사회학을 습득했지만, 그의 구조 기능주의를 비판함으로써 자신만의 독창적인 이론을 만들어 내기에 이른 것이다. 이처럼 파슨즈가 그의 이론을 통해 구조가 기능적으로 유지되는 측면에 초점을 두었던 것과는 달리, 루만은 기능에 대한 질문으로 출발하여 체제의 형성을 논하기에 이를 것이다.
2. 탈코트 파슨즈의 구조 기능주의
2.1. 개념
구조 기능주의 이론은 온갖 사회현상을 끊임없는 생성과 소멸의 과정으로 이해할 것을 강조한 이론으로 19세기 말에 대두한 과학방법이론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사회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고 있는 모든 부분들이 평형, 합의, 질서 등을 유지하는 가운데 이상적으로 기능한다고 보는 것으로 사회를 하나의 통합되고 조화로운 전체로 바라보는 이론적 관점이다. 또한 유기체나 인체와 마찬가지로 사회는 그것의 구성요소나 또는 하위체계의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주 기능주의적 관점에서는 사회나 또는 집단의 어떠한 특정 부분에 대해서도 그것이 사회적 전체를 위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무엇인가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2.2. 특성
파슨즈는 최초의 이론에서 구조를 먼저 연구하고 난 뒤에 변동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하였다. 이는 변동의 중요성을 부정한 것이 아니고 안정을 유지시키는 기제들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변동하려는 경향이 있는 힘들도 다루어야 한다고 본 것이며, 변동은 구조들에 대한 사전 이해를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또한 체계를 그 단위, 유형 등과 경계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사회체계의 최소단위는 역할이고, 반면에 다양한 종류의 집단들이 보다 상위의 단위들을 형성할 것이라고 보았다. 더불어 모든 체계는 네 가지 기능적 정명들을 가지고 있으며, 적응은 환경의 요구들에 대한 반응...
참고 자료
박여성 저, 기능주의 번역의 이론과 실제, 한국학술정보, 2013년
강정한 저, 현대사회학 이론, 다산출판사, 2013년
최혜실 저, 신지식의 최전선, 한길사, 2008년
니클라스 루만 저, 장춘익 역, 사회의 사회세트, 새물결, 2012년
니클라스 루만 저, 박여성 역, 사회체계이론2, 한길사, 2007년,
니클라스 루만 저, 박여성 역, 사회체계이론1, 한길사, 2007년
김경래(Kim Kyung Rae). "루만 체계이론의 세계시민주의 담론으로서의 가능성." 人文社會科學硏究 52.- (2016): 5-27.
정정호. "오리엔탈리즘, 탈 식민주의, 타자의 문화윤리학-21세기 한국지식인을 위한 추방자 지식인 에드워드 사이드 다시 읽기." 영미어문학 -.65 (2002): 189-211.
위르겐 하버마스, 니클라스 루만 저,이철 역, 사회이론인가, 사회공학인가? 체계이론은 무엇을 수행하는가?. 이론출판, 2018
송형석,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으로 본 위기 주제의 사회적 기능」, 사회와이론, 2014
김봉석, & 오독립 저, 미국 현대 사회학이론 수용과 번역 현황 개관: 파슨스부터 ethnomethodology 까지. 사회와이론, 2014
박치현 저, 1930년대 미국 사회학 패러다임의 탄생: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의 사회학 정체성 모색과 제도화, 한국이론사회학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