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조언어학의개념과기능을설명하고대조언어학과인접학문(3개이상)의관계에대해비교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조언어학 개요
1.1. 대조언어학의 정의
1.2. 대조언어학의 발전 과정
2. 대조언어학의 기능
2.1. 외국어 교육에의 활용
2.2. 언어 비교 및 번역에의 활용
3. 대조언어학과 인접 학문의 비교
3.1. 대조언어학과 비교언어학
3.2. 대조언어학과 구조언어학
3.3. 대조언어학과 언어유형론
4. 대조언어학의 필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조언어학 개요
1.1. 대조언어학의 정의
대조언어학(Contrastive Linguistics)은 두 개 이상의 언어를 비교 분석하여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대조언어학은 외국어 교육 등 실용적인 목적에서 출발한 학문으로, 언어의 특징과 다른 언어들과의 차이점을 공시적인 관점에서 연구한다.""
1.2. 대조언어학의 발전 과정
대조언어학의 발전 과정은 언어를 비교하려는 연구가 고대부터 계속 있어 왔다는 점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대조언어학이라는 용어와 학문적 개념이 정립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대조언어학은 본격적으로 18세기에 들어서 비교언어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언어들 간의 상호 비교를 통해 언어의 뿌리를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졌고, 이를 위해 조어를 재구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19세기에는 언어학의 주요 관심 분야가 주로 음운론과 음성학이었고, 형태론과 어휘론 연구도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문장론이나 의미론에는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았다.
1950~60년대에 이르러 비교언어학에 이어 대조언어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등장하게 된다. 대조언어학은 구조주의 언어학을 언어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고 실행되었다.
대조 연구는 1960년대에 그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여 1970년대에 이르러 연구의 열기가 고조되었다. 주로 음운론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1980년대에는 언어 구조와 문화 구조, 언어 구조와 인간의 의식 구조, 언어 구조와 사회 구조 등의 영역으로 연구 범위가 확대되었다.
한편, 대조언어학에서의 언어 간 비교는 18, 19세기에 비해 더욱더 체계적이고 공시적인 바탕에서 이루어졌으며, 비교언어학과는 달리 언어 간 대조를 통해 더 이상 언어들의 우열 관계를 평가하려고 하지 않았다.
이렇게 대조언어학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1960년대 이후 거의 모든 언어학회에서 대조언어학 분야를 다루고 있을 정도로 중요한 학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2. 대조언어학의 기능
2.1. 외국어 교육에의 활용
대조언어학의 외국어 교육에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모어는 학습자가 외국어를 습득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기 때문에, 모어와 목표어 사이의 체계적이고 면밀한 대조가 필요하...
참고 자료
대조언어학 수업교재.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대조언어학의 정의와 역사. https://blog.naver.com/quanquan686/60171028827
한국어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와 한국어교육. 송재목. 오사카경제법과대학교
대조언어학 교재 참고.
김기석, 「대조언어학과 언어유형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 2016.
허용, 「한국어교육을 위한 대조언어학의 회고와 전망」, 『언어와 문화』 15-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9.
김선정, 「플랫폼 시대의 한국어 교육과 대조언어학」, 『언어과학연구 97, 언어과학회,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