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설치전 계획
1.1. 네트워크 계획
마지막으로 한번 네트워크 계획을 점검해 보자. 확실히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케이블링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물론 허브나 터미네이터 까지도. 네트워크 계획은 전체 시스템 구축에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네트워크 환경을 적절히 준비하면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점검한다. 케이블과 NIC(Network Interface Card), 그리고 허브와 터미네이터 등이 모두 준비되었는지 확인한다. 특히 10Base2와 10BaseT 방식의 케이블링은 서로 호환이 되지 않으므로 사용하려는 방식에 맞는 하드웨어를 준비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도 미리 확인해두어야 한다. SAMBA와 NFS 등의 파일 공유 서비스, 그리고 DNS와 DHCP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어야 한다. 이들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에 따라 제공되거나 별도로 설치해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케이블링 구조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10Base2 방식의 경우 버스 토폴로지로 구성되므로 각 장비를 순차적으로 연결해야 하고, 10BaseT는 스타 토폴로지로 구성되므로 중앙 집중식 허브와 각 장비를 연결해야 한다. 케이블링이 잘못되면 전체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계획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케이블링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된다. 이 요소들이 모두 준비되어야 안정적으로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에 앞서 네트워크 계획을 철저히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2. 공통으로 필요한 파일 준비
DNS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닉스 장비에는 세 가지 파일이 필요하다. 첫째, /etc/hosts.conf 파일이다. 이 파일은 리눅스 장비에게 호스트네임에 대한 IP 주소를 해석하기 위해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여기에 지정된 순서대로 이름 해석에 사용될 것이다. 주로 호스트 파일과 DNS 서버가 사용된다. 둘째, /etc/resolv.conf 파일이다. 이 파일은 리눅스 장비에게 도메인 이름과 외부 네임 해석을 구성하기 전에 먼저 이 도메인을 찾도록 지정한다. 셋째, /etc/hosts 파일이다. 이 파일은 단순히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장비들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으며, 호스트네임을 IP 주소로 변환한다. 이 파일은 유닉스 장비나 NT 장비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NT 장비에는 /etc/hosts 파일 하나만 필요하다. 이 파일은 로컬 네트워크의 호스트네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설치에 공통으로 필요한 파일은 /etc/hosts.conf, /etc/resolv.conf, /etc/hosts 이다. 이 파일들은 리눅스 장비에 복사하거나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면 된다. 이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네임 해석을 할 수 있게 된다.
1.3. 블리츠 방법과 페이즈 방법의 비교
블리츠 방법은 모든 장비를 한꺼번에 다운시킨 후 작업을 하는 것으로, 케이블링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가 연속된 세션으로 설치되고 설정된다. 상업적인 네트워크가 아닌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방법이다. 이는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모든 장비를 한꺼번에 다운시키므로 서비스의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페이즈 방법은 좀 더 보수적이고 주의 깊은 접근 방식이다. 개별 장비나 네트워크 섹션을 한 번에 하나씩 다운시키고 구성하며, 테스트한 후 다음 섹션으로 이동한다. 또한 백업을 수행하여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한다. 이는 생산성의 방해와 컴퓨터 서비스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 설치 환경에 따라 두 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소규모 네트워크의 경우 블리츠 방식이 적합하지만, 대규모 상업용 네트워크에서는 생산성과 데이터 보안을 위해 페이즈 방식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장비에 대해서는 블리츠 방식을, 다른 장비에 대해서는 페이즈 방식을 적용하는 절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2. 케이블링 준비
2.1. 10Base2 케이블링
'10Base2 케이블링'은 버스 토폴로지로 구성되는 이더넷 네트워크 방식이다. 케이블링 준비 단계에서 10Base2 규격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먼저 적당한 길이로 버스의 모든 장비를 상호연결 할 만한 충분한 동축케이블을 가지고 있는지 점검한다. 장비에서 장비로 가는 케이블은 반드시 연결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물리적으로 충분하고 적당한 길이라고 확신하는 각 장비들 사이를 케이블로 구성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클립과 매듭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단단히 고정시키면 네트워크 구축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도 도움이 된다.
2.2. 10BaseT 케이블링
10Base-T 케이블링은 네트워크 상의 장비들을 연결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1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10Base-T 케이블링의 경우 허브(Hub)를 이용하여 장비들을 연결하게 된다. 먼저 허브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허브는 장비들과의 거리가 가장 짧은 중앙의 장소에 위치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장비로부터 허브까지의 케이블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케이블 연결 시에는 허브로부터 각 장비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구성한다. 이 때 케이블을 서로 묶거나 고정시키지 않는다. 케이블이 깨끗하고 단단히 연결되었는지만 확인하면 된다.
10Base-T 방식은 10Base2와 달리 케이블링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허브를 이용하여 장비들을 연결하기 때문에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장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허브 자체가 단일 장애 지점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3. 파일 서버를 준비하기
3.1. 메모리
메모리는 파일 서버를 준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어떠한 컴퓨터든지 특히 서버는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RAM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구축하고자 하는 가정 내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그렇게까지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버에는 충분한 메모리가 장착되어야 한다. 메모리가 부족하면 시스템 성능이 낮아지고 사용자 접속이 지연되거나 심지어 시스템이 다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버의 메모리는 충분한 용량으로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저렴한 가격에 대용량 메모리를 구입할 수 있어, 서버에 충분한 메모리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졌다.
우리가 구축하고자 하는 가정 내 네트워크의 경우라도 파일 서버로 사용될 장비에는 최소 512MB 이상의 메모리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파일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할 때에도 원활한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다. 물론 예산에 여유가 있다면 1GB 이상의 메모리를 장착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요약하면, 파일 서버의 메모리는 시스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충분한 용량으로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정 내 네트워크의 경우에도 최소 512MB 이상의 메모리를 장착하는 것이 좋으며, 예산이 허락한다면 1GB 이상으로 구축하는 것을 추천한다.
3.2. 디스크 저장장치
SCSI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이다. SCSI 드라이브는 IDE 드라이브에 비해 성능이 뛰어나고 안정적이며 내구성이 강하다. 하지만 SCSI 드라이브는 가격이 비싼 편이다. 만약 예산상의 문제가 있다면 EIDE나 UDMA 드라이브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들 드라이브는 SCSI 드라이브만큼 안정적이거나 성능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중요하고 지속적인 사용에서는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파일 서버의 경우 사용량이 많고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므로 SCSI 드라이브가 가장 적합한 선택이 될 것이다. SCSI 드라이브는 처리 속도가 빠르고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평균고장간격)이 길어 장기적인 사용에 유리하다. 따라서 파일 서버와 같이 계속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환경에 적합한 것이다.
3.3. 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