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SD closure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심방중격결손증의 정의
2.2. 심방중격결손증의 원인
2.3. 심방중격결손증의 증상
2.4. 심방중격결손증의 진단
2.5. 심방중격결손증의 치료
3. 실습 사례 연구
3.1. 환자 정보
3.2. 주소증 및 현병력
3.3. 진단검사 및 결과
3.4. 수술 및 치료과정
3.5. 수술 후 간호
4. 실습 경험 및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이 환자의 심방중격결손증에 대한 실습을 통해 선천성 심장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간호중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방중격결손증은 전체 선천성 심장병의 4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환자의 연령이나 심한 정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심방중격결손증에 대한 이해와 함께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사정하고 이에 대한 간호중재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번 실습을 통해 선천성 심질환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직접 경험하고 익힐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2. 문헌고찰
2.1. 심방중격결손증의 정의
심방중격결손증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심방중격이 완전히 막히지 않아 중격에 구멍이 남아있는 심장기형이다. 전체 선천성 심장병의 약 8~10%를 차지할 만큼 흔한 심장기형 중 하나로, 기본적으로 심방중격의 잘못된 발생으로 생긴다. 위치에 따라 1차공 결손, 2차공 결손, 정맥동형 결손 세 가지로 나누는데, 그중 2차공 결손이 약 75%로 가장 흔하며 1차공 결손이 약 20%, 정맥동 결손이 약 5%를 차지한다. 정상적인 심장에서는 좌심방과 우심방 사이에 구멍이 없어 혈액이 서로 흐르지 않으나, 심방중격 결손에서는 이 구멍을 통해 좌심방에서 우심방으로 혈액이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해 우심방으로 유입되는 혈류량이 많아지고, 결과적으로 심장과 폐에 부담이 가중된다.
2.2. 심방중격결손증의 원인
대부분의 경우 심방중격결손증의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소가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출생시부터 존재하는 심장기형은 다운증후군과 같은 유전질환과 연관이 있다. 또한 태아기에 과도한 알코올이나 페니토인 등의 항간질 약물에 노출되면 심방중격결손증의 위험이 증가한다. 임신 초기에 풍진에 감염되는 것도 태아의 심장기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선천성 심장 질환을 가진 환아 10명 중 1명 이상이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기형을 동반하며, 소화기관에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심방중격결손증의 증상
심방중격결손증의 증상은 대개 어릴 때부터 10대까지는 자각 증상이 없다가 10대 이후에 나타나게 된다. 10대 이후에는 피곤함, 운동 시 숨찬 증상, 피로감 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특히 성인이 되어서도 수술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폐혈관 폐색성 병변인 아이젠멩거 증후군이 발생하여 청색증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심방 부정맥, 승모판 탈출증, 승모판 역류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방 중격 결손으로 인한 심잡음은 어릴 때에는 잘 듣기 어려워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심방 중격 결손이 큰 경우 10대 전에 증상이나 합병증이 나타나지만, 결손이 작은 경우에는 성인이 될 때까지 증상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참고 자료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 Ⅰ. 서울: 수문사
양선희 외. (2007). 기본간호학 Ⅰ. 서울: 현문사.
양선희 외. (2007). 기본간호학 Ⅱ. 서울: 현문사.
김조자 외. (2014). 간호과정. 서울: 수문사.
성인간호학上, 서문자 외 공저, 수문사
아동간호학, 홍경자 외 공저, 수문사
수술실 환자간호, 윤헤상, 서울 청구문화사
수술간호의 실제, 박광옥, 현문사
약학정보원
[이미지] 구글 이미지 검색, 유튜브 동영상 캡쳐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84_aOBTagdk, https://www.youtube.com/watch?v=0e4qooLRa_E
수문사 모성간호학
현문사 모성간호학
인터넷 www.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