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구성요소, 집단 발달단계, 집단 역동를 설명하고 현재 사회복지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예를 들어 개별실천기술과 집단실천기술이 어떻게 연결되어 활용하는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1.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특성
1.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1.3. 사례관리와 강점관점
2.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2.1.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2.2. 프로그램 기획과 욕구측정
2.3. 프로그램 전문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자세
3. 생태체계이론의 학교사회복지실천 적용
3.1. 생태체계이론의 개념
3.2. 생태체계이론의 학교사회복지실천 적용 장점
3.3. 생태체계이론의 학교사회복지실천 적용 단점
3.4.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1.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특성
사회복지실천은 어의적인 측면에서 '사회', '복지', '실천'이라는 개념들의 합성어로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사회'란 사람과 사람과의 인간관계, 즉 인간의 공동체적인 행위체계를 의미하며, '복지'란 안락하고 만족한 생활상태 또는 인간의 건강과 번영, 안녕의 상태를 말한다. 또한 '실천'이라는 개념에는 인간의 의식적이고 능동적인 활동으로 이론이나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거나 실행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이처럼 사회복지라는 용어에는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이념적 측면과 이러한 이상적 상태를 지향하는 구체적인 실천 활동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이란 사회복지의 기본적인 목적과 이념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이유로 가족이나 시장기능으로부터 소외되거나 배제된 사람들이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고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보다 대상과 내용 측면에서 제한적인 경향을 보이며, 메리 리치몬드의 정의로부터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식이 발달하게 되었다.
1.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념
사회복지실천기술이란 "사회복지사가 능동적인 사고 과정을 거쳐 지식을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된다. 이는 사회복지실천이론을 현장에서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삶을 유용하도록 돕기 위한 수단 혹은 방법, 능력을 의미한다. 즉,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지식과 가치를 행동으로 전환하는 실천요소로서 사회복지실천기술이 이해되고 있는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여러 가치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복지실천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클라이언트 체계, 표적 체계, 행동 체계의 특정한 준거틀 안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실천이론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 능력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구현하는 핵심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1.3. 사례관리와 강점관점
사례관리와 강점관점은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사례관리(case management)는 클라이언트의 복합적이고 만성적인 욕구에 초점을 두어 개별화된 서비스 계획을 실천하려는 방법이다. NASW에 따르면 사례관리는 "서비스 전달체계의 요소들을 연결, 조정하여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제"라고 정의된다. 또한 Moxley는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사람들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공식적/비공식적 자원과 활동의 관계망을 조직/조정/유지하는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사례관리는 클라이언트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비공식ㆍ공식 체계의 보호능력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개별화, 포괄성, 자기결정권, 서비스의 지속성과 연계성의 원칙하에 사회복지사에 의해 체계적으로 시행된다. 사례관리의 실천과정은 접수와 관계 수립, 사정, 계획, 실행, 점검, 평가로 이루어진다"".
강점관점(strengths perspective)...
참고 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자료
프로그램 기획 욕구측정 목적 / 사회복지행정론 | 작성자 lds5209
https://onea01.tistory.com/43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조성우외 학지사2018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 작성자 잠만보
사회복지사 - 국가와 사회의 의무를 일선에서 행하다 (직업의 세계, 곽희양)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작성자 llbono
신성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서원, 2007
김 경(2005). 청소년 비행의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김광혁(2014). 학교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학교사회복지.
장영숙(2010). 학교부적응예방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정하(2013). 학교사회복지서비스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