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구강보건교육계획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구강 보건 교육의 필요성
1.1. 학령전기 아동의 구강 건강 현황
1.2. 구강 보건 교육의 중요성
1.3.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구강 보건 교육의 필요성
2. 학령전기 아동 구강 보건 교육 계획안
2.1. 교육 대상 및 목적
2.2. 교육 내용 및 방법
2.3. 교육 매체 및 평가
3. 구강 보건 교육 실시 및 평가
3.1. 교육 실시 과정
3.2. 교육 효과 평가
4. 구강 보건 교육 계획서 작성 경험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구강 보건 교육의 필요성
1.1. 학령전기 아동의 구강 건강 현황
다음과 같이 '1.1. 학령전기 아동의 구강 건강 현황'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5세(유치원, 어린이집)와 만 12세(중학교 1학년) 아동의 주요 질환인 치아우식 유병상태와 예방처치 수진의 정도가 지난 5~6년간 개선되지 않고 정체 상태로 머물러 있다. 만 5세 아동의 경우 100명중 60명 정도의 아이가 1개 이상의 우식치아를 경험하였으며, 이중 치료되지 않고 현재 우식이 방치되어 있는 어린이는 100명중 27명 정도였다. 또한 치과치료가 필요한 어린이는 100명중 32명 정도로 1/3을 차지했다. 이와 같이 많은 학령전기 아동이 구강 문제를 앓고 있거나 구강건강위험군에 처해있는 실정이다. 이는 어린 아동일수록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고 구강위생상태가 불량하다는 논문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6세 정도에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는 등 구강발달이 이루어지는 학령전기 시기에 치아건강관리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유치를 일시적인 치아로 간주하여 그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2. 구강 보건 교육의 중요성
구강 보건 교육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우식증 예방의 첫 단계로서 구강 보건 교육의 필요성이 크다. 유치우식증은 학령전기 아동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조기 유치 상실, 저작 기능 저하, 부정교합, 구강 연조직 질환, 발음 장애, 나쁜 구강 습관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의 구강 건강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둘째, 학령전기는 건강 행위 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올바른 구강 관리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학령기 이후의 구강 건강 관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3.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구강 보건 교육의 필요성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구강 보건 교육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기는 치아 발육 및 구강 건강 관리에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유치는 생후 6개월경부터 나기 시작하여 3년에 걸쳐 모두 나오게 되며, 6세 정도에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여 만 12세쯤 모든 영구치가 난다. 이때는 첫 영구치인 제1대 구치가 나고, 유치열에서 영구치열로 교환되는 혼합치열기가 시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구강 건강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시기에 올바른 구강 관리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학령기와 성인기의 구강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학령전기 아동은 구강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부족하여 치아 관리에 소홀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의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5세 아동의 경우 100명 중 60명 정도가 1개 이상의 우식치아를 경...
참고 자료
안영미 외 4명(2009), 구강보건교육이 학령전기 아동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위생상태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5권 2호 P202
서혜원(2014). 유아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의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4. 초록
2080키즈 치카치카 양치질 보기. https://youtu.be/hLWoOoFKZZg (검색일 : 2015년 9월 20일)
부산 치아 교정 전문 치과, 미국 교정전문의 뉴욕스마일 - 부산 치아교정- 뉴욕스마일/ 뽀로로의 양치 https://www.youtube.com/watch?v=M4P7XonR8RE (검색일 : 2015년 9월 20일)
이영란 외, 지역사회간호학, 2018
안영미 외 (2009), “구강보건교육이 학령전기 아동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위생상태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5(2), 201-209
김나연 & 이수영 (2015), “Q-Scan을 이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구강보건교육 효과”, 한국치위생과학회지 15(6), 696-702
안혜영 & 이꽃메 (2010), “학령기 아동을 위한 구강건강프로그램 적용”, 아동간호학회지 16(1), 49-55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구강병 예방 및 관리”,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4460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아동ㆍ초등학생용”, https://health.cdc.go.kr/health/dental/sub01/sub01_1.html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2018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http://www.mohw.go.kr/react/gm/sgm06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20501&page=1&CONT_SEQ=293273
김선숙, “미취학 아동에 대한 구강보건관리”, Dentalk, 2003, http://news.kdha.or.kr/news/articleView.html?idxno=5204
구리시 보건소 홈페이지, “구강보건사업”,
https://www.guri.go.kr/cms/content/view/3188
동두천 보건소 홈페이지, “구강보건교육”, https://www.ddc.go.kr/health/contents.do?key=808
대한구강보건협회 홈페이지, “구강보건교육자료실(미디어)”, https://www.dental.or.kr/dental_data.php
덴탈채널, “구강보건교육자료”, http://www.ch-dental.co.kr/education/main.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