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기초월의 덕목 중 감사
1.1. '감사'에 대한 이론적 정의
감사를 뜻하는 gratitude는 은혜(grace), 친절함(graciousness), 고마움(gratefulness)을 뜻하는 라틴어 gratia에서 유래하였다. 다양한 삶의 경험이 감사를 이끌어낼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감사는 자신이 한 것이 아니라 타인의 행동의 결과로 나타난 긍정적인 개인적 결과에서 비롯된다. Bertocci와 Millard(1963)에 따르면, 감사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얻지 못한 가치의 증가를 기꺼이 인정하려는 의지이며, Solomon(1977)은 감사를 이득과 타인이 그러한 이득에 책임이 있다는 판단의 추정치로 정의한다. 이외에도 감사는 정서로, 태도로, 도덕적 미덕으로, 습관으로, 개인 특성으로, 또는 대처 반응으로 개념화되기도 한다. 한편, Lazarus와 Lazarus(1994)는 감사가 타인과 공감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한 "감정 이입적인 감정"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종합하자면, 감사와 관련된 핵심 관계 주제는 이타적 선물에 대한 인식 또는 공감이다. Solomon(1977)과 Teigen(1997)에 따르면 이러한 감사의 대상은 자신이 아닌 다른 개체이며, 이 대상은 사람뿐만 아니라 자연이나 신, 동물, 우주와 같이 인간이 아닌 존재가 되기도 한다"이다.
1.2. 감사 증진 활동 및 방법의 적용과 결과
교재에 제시된 감사 증진 활동 및 방법 중 감사 일기를 선택하여 작성한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감사 일기를 쓰면서 처음에는 무엇이 감사할 만한지 떠올리기가 어려웠다. 하루를 정리하며 감사할 일들을 찾아보려 노력했지만, 과연 이것이 그렇게 감사할 만한 일인지에 대한 의문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점차 작은 것들에서라도 감사할 거리를 찾아내려 노력하다 보니, 일상 속 다양한 감사할 거리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주변 사람들의 세심한 관심과 배려에 대해 새롭게 감사함을 느끼게 되었다. 평소에는 당연하게 여기던 것들이 사실은 결코 그렇지 않음을 깨달았고, 이러한 사소한 일상의 감사함을 기록하면서 하루하루를 보다 의미 있게 보내게 되었다.
또한 감사 일기를 쓰게 되면서 평소에 기록하지 않았던 하루의 일과와 경험들을 정리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하루를 마치면 곧바로 잠에 들었지만, 지금은 간단하게라도 오늘 있었던 일을 다이어리에 적게 된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보다 의미 있게 되돌아볼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도 조금씩 찾아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감사 일기를 작성하다 보니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배려에 대해 더욱 감사하게 되었다. 평소에는 당연하게 여기던 것들이 사실은 그렇지 않음을 깨닫게 되었고, 이러한 점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앞으로는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더욱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이를 통해 관계를 돈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3. 적용과정에서 느낀 점과 배운 점
일주일 간 직접 감사 일기를 작성해보았는데, 사실 처음에는 굉장히 어색했다. 원래 일기를 쓰지도 않을뿐더러 하루를 정리하며 감사한 일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없어서 무엇이 감사했는지 떠올리기가 쉽지 않았다. 또한, 감사한 일을 떠올려도 과연 '이게 그렇게 감사할 만한 일인가,'라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그렇게 걸러내다 보면 결국 감사할 게 하나도 없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