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험적 가족치료 개념 및 인지발달 단계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경험적 가족치료
1.1.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1.2.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1.3.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자의 역할 및 치료기법
2. 인지주의 이론
2.1. 인지이론의 개요와 주요개념
2.2. 인지발달과정
2.3. 인지발달 4단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경험적 가족치료
1.1.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적 가족치료는 가족에 대해 일방적인 통찰력을 제시하기보다는 가족에게서 나타나는 특유의 갈등 양상이나 행동양식 등에 맞는 경험을 제공한다. 즉, 가족이 겪는 어려움에 공감하며 가족 구성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치료 과정을 제공한다. 이는 기존의 심리치료 방식이 전문가 중심이었던 것과는 차별화되는 특징이다.
둘째, 경험적 가족치료는 인본주의적 성격을 갖고 있다. 과거의 경험을 들춰내기보다는 현재의 경험과 상황에 집중함으로써 치료 방법을 강구한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도모한다.
셋째,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자아존중감을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다룬다. 자아존중감에 따라 의사소통 유형을 역기능적 유형과 기능적 유형으로 구분한다. 역기능적 유형에는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이 있으며, 기능적 유형에는 일치형이 있다. 이를 통해 치료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의 의사소통 패턴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다.
넷째,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가족규칙의 개념이 중요하다. 가족규칙은 세대 간 전수되는 명령체계로, 행동이나 반응에 있어 주된 판단기준이 된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 및 상호작용 패턴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족규칙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종합하면, 경험적 가족치료는 가족 구성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치료 과정을 제공하며, 자아존중감과 가족규칙 등의 개념을 통해 가족의 내적 역동과 의사소통 패턴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1.2.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경험적 가...
참고 자료
유옥,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12, pp. 38~44.
김영애, 통합적 사티어 모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15, pp. 301~305.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