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언어학과 경어법의 특징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어 경어법의 유형
1.1. 높임 대상에 따른 분류
1.1.1. 주체 경어법
1.1.2. 객체 경어법
1.1.3. 상대 경어법
1.2. 높임 형식에 따른 분류
1.2.1. 문법적 경어법
1.2.2. 어휘적 경어법
2. 한국어 경어법의 특징
2.1. 긍정적 특징
2.2. 부정적 특징
3. 한국어 발음 교육
3.1. 각 언어권의 모음 음소 특징
3.2.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 방법
4. 한국어 어문규범
4.1. 방언이 표준어에 편입된 사례
4.2. 표준어와 방언의 바람직한 관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어 경어법의 유형
1.1. 높임 대상에 따른 분류
1.1.1. 주체 경어법
주체 경어법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화자가 서술의 주체(대체로 주어)의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에 따라 주어를 어떻게 언어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지를 나타내는 문법 기능이다. 이러한 경우에서 화자와 청자의 역할은 중요하며, 주체는 화자, 청자 또는 제3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높임의 기본 원칙은 자기 자신이 주어일 경우, 자신을 높이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주체 경어법을 사용하려면 주어는 반드시 이인칭이나 삼인칭이어야 한다. 게다가, 문법적으로 상대방을 존중하는 표현을 만들기 위해서는 주로 서술어에 '-(으)시-'라는 선어말어미를 붙여 사용하게 된다. 단어 선택에 있어서는 상황에 따라 주격 조사 '이/가' 대신 '께서'를 사용하거나 주어 명사에 '-님'을 붙여 존중을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선배님, 잘 지내셨어요?", "어머니, 오늘 아버지께서 일찍 집에 오셨어요.", "오빠, 할머니께서 다리가 많이 편찮으셔."와 같이 주체 경어법이 사용된다. 1)은 청자이자 동시에 주체가 되는 선배를 화자가 높이기 위해 '-(으)시-'와 '-님'을 사용하였다. 2)에서는 화자(나), 청자(어머니), 주체(아버지)가 나타나는데, 제3자인 아버지를 높이기 위해 '-(으)시-'와 '께서'를 사용하였다. 3)에서는 높임의 대상뿐만 아니라 대상의 신체 부분도 '-(으)시-'로 높여 표현하였다.
한편, 4)의 경우처럼 주체(선배)가 화자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청자(교수님)보다 낮기 때문에 '-님', '-(으)시-'를 넣지 않는 것을 '압존법'이라고 한다. 5)와 같이 주체가 화자보다 낮고 청자보다 높을 경우에도 주체 높임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주체 경어법은 주어의 지위나 관계에 따라 다양한 높임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화자의 태도와 공손함을 잘 드러내는 한국어의 주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1.2. 객체 경어법
객체 경어법은 화자가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로 지칭하는 대상에 대하여 공손하게 표현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서술어의 대상을 언어적으로 존중하는 표현법을 의미한다"" 객체 경어법은 여격조사 '께'와 몇몇 특수한 어휘를 사용하여 높임을 실현한다""
예를 들어, "아버님, 진지 잡수세요"에서 '밥'의 높임 명사인 '진지'를 사용하여 높임을 표현하였다"" 또한 "수연아, 이거 선생님께 갖다 드려"에서는 화자보다 높은 대상인 선생님께 목적격 조사 '에게' 대신 여격조사 '께'가 쓰이고, '주다'의 높임 동사 '드리다'를 사용하여 선생님을 높이고 있다""
즉, 객체 경어법은 화자가 상대방을 공손하게 대우하기 위해 특정한 어휘와 조사를 사용하여 상대방을 존중하는 표현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1.1.3. 상대 경어법
상대 경어법은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고려하여 청자를 언어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방식을 말한다. 한국어 높임법 중에서도 가장 발달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상대 경어법은 청자를 높이는 특징을 가지며, 이는 주체 경어법이나 객체 경어법과는 다른 점이다. 이러한 특징은 한국어가 상호관계에 큰 중점을 두는 문화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대 경어법은 화자의 나이, 신분, 지위, 친분 등을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며, 이는 주로 문장의 종결 표현을 통해 나타난다. 즉, 문장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종결 어미를 통해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는...
참고 자료
김혜영. (2024). 사회언어학, 진흥원격평생교육원.
국립국어원. (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체계편, 커뮤니케이션북스.
박지순. (2016). 한국어 모어 화자의 상대높임법 인식 양상,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사티쉬. (2014). 인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높임법 교육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김수현. 파라과이 중고등학생도 제2외국어로 한국어 배운다…교육부 MOU. (2024.04.19.).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0418121700530?input=1195m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모음. (2024.04.2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4706&cid=46674&categoryId=46674
두산백과. 단모음. (2024.04.2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632742&cid=40942&categoryId=32972
허용. (2011). 모음체계 연구: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비교문화연구, 25, 723-741.
노채환. (2017).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관한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55, 229-250.
안주호. (2018). 한국어 통합교재의 음소 제시 양상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2(2), 231-256.
윤미라(Yun, Mira). (2021). 초급 한국어 기관 통합 교재의 발음 편 개선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163-180.
표준어로 찾아보는 제주의 사전 현평효, 강영봉 저 | 각 | 2014.06.01
방언이란 무엇인가, 권기현 저 | R&F | 2016.12.19
ttp://www.joongdo.co.kr/jsp/article/article_view.jsp?pq=201704210002, 중도일보/2017-04-21 /표준어의기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