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설명해 보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의 기원과 특성
1.1. 언어의 기원
1.1.1. 신수설
1.1.2. 자연음 기원설
1.1.3. 신체 적응설
1.1.4. 도구 창조설
1.1.5. 유전설
1.2. 언어의 특성
1.2.1. 의사소통의 방향성
1.2.2. 의지와 본능의 차이
1.3. 가장 타당성 있는 언어의 기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의 기원과 특성
1.1. 언어의 기원
1.1.1. 신수설
신수설은 기독교나 힌두교 등의 종교에서 신이 인간에게 언어를 부여했다고 믿는 것이다. 성경에도 가장 첫 부분에 "태초에 말이 있었다."는 언급이 나오고 있으며 힌두교에서는 "언어는 우주 창조주인 브라마의 아내, 사라스바티로부터 온 것이다."라는 등의 내용에 신수설에 해당한다. 신수설이 올바른 언어의 기원이라면 갓 태어난 아이를 인간세계와 단절시켰을 때도 신의 능력으로 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만 늑대아이와 같은 예를 보았을 때 유아기에 언어환경에서 노출되지 못하면 아이는 말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신수설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신수설은 언어의 기원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자연음 기원설
자연음 기원설은 인간 언어가 자연음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으로, 원시 인류가 주변 소리를 모방하여 그대로 언어로 굳어지게 되었다는 가설이다. 이는 모든 언어에 적용할 수는 없지만 소리를 언어화 시킨 의성어나 형태를 표현한 의태어는 이러한 자연음 기원설에 어느 정도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짹짹"이나 "삐약삐약"과 같은 의성어의 경우 새소리를 모방한 것이며, "뛰다", "구르다" 등의 의태어는 행동을 직접 언어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자연음 기원설은 인간 언어의 일부분, 특히 소리를 나타내는 표현들이 자연스러운 소리모방에서 발...
참고 자료
김진우, 『언어의 기원』, 한국문화사, 2006.
스티븐 로저 피셔, 유수아 외 역, 『언어의 역사』, 21세기북스, 2011.
송대현. (2015). 언어의 기원에 관한 에피쿠로스의 견해. 철학논집, 42, 179-204.
권희상. (2001). 음성상징과 언어기원. 언어연구, 17(2), 5-38.
김유라, & 박창언. (2016). 루소의 언어교육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185-200.
김경학, 언어의 이해와 활용, 신아사, 2017.
정한석 외, 기초 언어학 개론, 한국문화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