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렴의 정의와 특징
1.1. 정의
폐렴은 폐 실질조직의 염증으로, 1차성 또는 2차성 질병으로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은 해부학적 분포 또는 발병 원인체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환경과 면역체계, 아동의 나이는 질병 발병기전의 관련요인이다.
1.2. 발병 원인과 병태생리
발병 원인과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감염성 폐렴의 두 가지 일반적인 형태는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이다. 전체 폐렴의 80~85%가 바이러스가 원인이며, Influenza와 RSV 바이러스가 영아와 5세 이하 아동에서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세포 파편의 탈락이 종말기관지와 폐포의 관내강 침입으로 세포 파괴가 일어나 여러 폐엽에 영향을 미쳐 국소적 침윤을 초래한다.
세균성 폐렴의 경우 소분절 또는 전체 폐에서 폐포가 수액과 세포로 채워지며, 세균이 폐 림프관을 통해 혈류에 들어가 폐활량과 폐유순도가 경화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5세 미만 아동에서 폐렴구균과 포도상구균이 1차 원인이며, 5세 이상 아동에서는 폐렴구균 감염이 주요 형태이고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A군 연쇄상구균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다른 세균유사성 유기체로 M.pneumoniae, C.pneumoniae, Vhlamydia trachomatis(주로 영아에게서 발생)가 포함된다.
1.3. 폐렴의 유형
1.3.1. 세균성 폐렴
세균성 폐렴은 주로 상기도 감염에 의한 합병증으로 발생하며, 폐렴구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폐렴구균성 폐렴의 주요 증상은 고열(38~40.5°C), 흉통, 기침, 빠른 호흡(20~45회/분), 빈맥(100~140회/분), 호흡음 이상(건성 수포음, 미세한 악설음), 탁음, 흉통, 늑간 함몰, 비익 확장, 창백과 청색증, 불안과 기면, 식욕부진, 구토, 설사, 복통 등이다. 흉부 X-선 검사 상 기관지 주위에 미만성 또는 반점상 침윤이 관찰된다. 세균 폐렴의 주요 원인균은 영아의 경우 폐렴구균, 그룹 A 연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이며, 생후 3개월~5세 아동에게서는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B형, 황색포도상구균 등이 흔하다. 5세 이후 아동에게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이 주된 원인균이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로 대부분의 경우 예후가 양호하나, 폐렴구균성 폐렴의 경우 중이염, 흉막 삼출, 농흉, 폐농양, 무기폐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은 폐농양, 농흉, 기관지 확장증 등을 동반할 수 있다.
1.3.2.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성 폐렴은 신생아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흔한 폐렴 형태로, 세기관지염, 기관지 주위염과 간질성 폐렴 형태로 나타난다. 2~3세 아동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한다. 추운 계절에 흔히 발생한다. 바이러스가 기관지 상피세포에 침투하여 세기관지염을 일으키고, 폐간질과 폐포까지 퍼지면서 폐렴이 된다. 주요 원인균으로는 상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