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예방교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4.08.17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치매예방교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치매 예방의 중요성
1.2. 치매 관리 현황 및 과제
1.3. 보건교육의 필요성

2. 본론
2.1. 치매의 이해
2.1.1. 치매의 정의
2.1.2. 치매의 원인 및 종류
2.1.3. 치매의 증상 및 합병증
2.2. 치매 예방 및 관리
2.2.1. 치매 예방 수칙 3-3-3
2.2.2. 치매 예방 운동법
2.2.3. 치매 예방 식이
2.2.4. 치매 예방 교실
2.2.5. 치매 조기검진 및 상담
2.3. 지역사회 치매 관리 사례
2.3.1. 수영구 치매 관리 현황
2.3.2. 주문진 치매 예방 보건교육 계획
2.3.3. 동구 치매 예방 보건교육 계획

3. 결론
3.1. 보건교육의 효과
3.2. 치매 관리를 위한 제언
3.3.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치매 예방의 중요성

알츠하이머 치매는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15~20년 전부터 이미 뇌 병리 현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성은 진단뿐만 아니라 예방, 조기발견, 조기치료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첫째, 진단적 측면에서는 혈액검사, 뇌 영상 검사 등의 기법을 통해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치매를 유발하는 뇌 병리 현상을 탐색해 냄으로써 치매의 조기 진단 또는 발병 전 진단을 가능하게 만든다. 둘째, 치료와 예방적 측면에서는 치매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진행을 억제하는 보존적 수준의 약물로도 치매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치매 위험 인자에 대한 보다 철저한 관리를 통해 치매 증상의 발현 시점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기발견, 조기치료를 통해 치매의 발병을 2년 정도 지연시킬 경우, 발병을 늦추지 못하는 경우보다 40년 후에는 치매 유병률이 80% 수준으로 낮아지게 되며, 치매 환자의 평균 중증도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이렇듯 치매 어르신 100명 중 5~10명은 완치될 수 있고 큰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체계적 치료와 관리로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 병의 악화로 인한 다양한 문제를 미리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매 유병률과 치매 환자 평균 중증도의 경감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막대한 사회 경제적 비용 절감으로 이어지게 된다.


1.2. 치매 관리 현황 및 과제

우리나라의 치매 관리 현황 및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치매 유병률이 계속 상승하여 환자 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0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8,134,675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5.8%를 차지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24.5%, 2050년에는 38.1%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치매 환자 수도 2012년 54만 명에서 2030년 약 127만 명으로 20년마다 약 2배씩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둘째, 치매 환자 중 여성의 비율이 약 2.5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전국의 치매 상병자 수는 911,529명이며, 이 중 여성이 71.2%(648,783명)로 남성 28.8%(262,746명)보다 약 2.5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여, 치매 상병자 중 여성이 71%(46,965명)로 남성 29%(19,195명)보다 약 2.5배 더 많았다""

셋째, 경도 치매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의 치매 환자 중 경도 치매가 약 41.4%로 가장 많았으며, 부산지역도 경도 치매가 약 41.4%로 전국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치매의 조기발견과 예방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치매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의 확충이 필요하다"" 현재 치매 환자의 대부분은 병원이나 시설에 입원하거나 입소하고 있어, 지역사회에서의 치매 관리 체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 치매 고위험군 및 경도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상담, 교육, 사례 관리 등의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1.3. 보건교육의 필요성

치매는 정상적으로 생활 해오던 사람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 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고 있는 상태이다. 시대가 발전하고 환경이 변함에 따라 노인층의 치매 인구도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치매는 예방이 최상의 치료라고 할 수 있다. 치매의 경우 아직까지 예방 접종과 같은 확실한 예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치매의 발병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인자들을 미리 조절함으로써 치매에 걸릴 확률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위험인자인 치매의 가족력, 심한 스트레스, 그리고 각종 신체질환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노인들에게 치매는 흔하고 치명적인 질병이며, 현시대에는 노인들뿐 만 아니라 중년에게서도 흔히 발병하는 조기 발병도 늘어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남녀노소 구분하지 않고 모든 세대가 미리 치매의 심각성을 깨달아 중요한 초기 치료의 중요성을 눈으로 귀로 보고 예방법을 익힘으로써 늘어나는 치매 환자 수를 줄이고 환자를 건강하게 하는 데에 있어 치매 예방 교육은 매우 필요하다.

또한 나라에서도 치매의 심각성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계획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보아 이 질병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교육해야 할 의무가 있다. 현재 치매 예방을 위해 각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상담센터를 운영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을 위한 홍보 및 치매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 본론
2.1. 치매의 이해
2.1.1. 치매의 정의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기능이 떨어지는 복합적인 증상이다. 즉, 치매는 그 자체가 하나의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뇌손상에 기억력을 위시한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포괄적 용어이다."


2.1.2. 치매의 원인 및 종류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는 80~90가지가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3대 원인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그리고 '루이체 치매'이다.

알츠하이머병은 가장 흔히 발생되는 치매의 원인으로, 전체 원인의 약 50%를 차지한다. 알츠하이머병은 뇌신경세포의 변성과 노화로 인해 발생하며, 주된 증상으로는 기억력 감퇴, 언어장애, 시공간 인지능력 저하 등이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서서히 진행되는 질환으로 발병 초기에는 기억력 장애가 두드러지지만, 점차 다른 인지기능들도 저하된다.

뇌졸중 후에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는 약 10~15%를 차지한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보행 장애, 운동 장애, 실어증 등이 있다. ...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연구/조사/발간자료>2008년 치매유병률 조사 결과>치매유병률 조사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6569
중앙치매센터>자료실>대한민국 치매현황 2021 보고서 발간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243
대한민국 정책브리핑>정책뉴스>[100세 시대, 치매 바로알기] (2) 치매 예방 운동법: 뇌신경 체조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59937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공식 블로그>손 협응 체조
https://blog.naver.com/mohw2016/221092294693
중앙 치매센터>치매에방수칙 3.3.3
https://www.nid.or.kr/notification/prevention.aspx
부산광역시 수영구보건소>치매예방관리사업>치매조기검진사업
https://www.suyeong.go.kr/health/index.suyeong?menuCd=DOM_000001504011002000
부산광역시 수영구보건소>치매예방관리사업>치매안심센터운영
https://www.suyeong.go.kr/health/index.suyeong?menuCd=DOM_000001504011001000
질병관리청, “치매”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566
서울아산병원, “건망증과 치매”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story/medicalcolumn/medicalColumnDetail.do?medicalColumnId=33937
보건복지부지정 노인성치매임상연구센터, ‘예방 10계명’
http://public.crcd.or.kr/Info/CommonSense
치매원인 사진, https://m.blog.naver.com/staroot99/222084403013, (2022년 3월 16일)
치매예방수칙 3.3.3 사진, https://well-life.tistory.com/74, (2022년 3월 16일)
치매 합병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95
김희진ㆍ박기봉ㆍ김승현 (2008) 치매이해도 및 요구도(성동구 치매지원센터에서의 조사) (2022년 3월 19일)
대전 동구 치매안심센터 - 치매예방서비스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 치매예방수칙
한국 치매예방센터 - MMSE 검사 및 결과 해석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