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환자실 PICO"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액요법의 신합병증 예방 효과
1.1. 조영제 유발 신장병증 예방을 위한 수액요법
1.1.1. 국내 근거기반 임상실무지침 개발 연구
1.1.2. 응급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환자에서 수화 요법의 신장 보호 효과
1.2.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발생 가능한 신체손상 위험성
1.2.1. 신체검진 및 활력징후 모니터링
1.2.2. 출혈 및 혈전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2.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2.1. 요로감염 발생률 및 위험요인
2.1.1. 신경과 중환자실 환자의 요로감염 발생률
2.1.2. 요로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2.2. 유치도뇨관 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1. 간호사의 지식 및 건강신념
2.2.2.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관리 수행 수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액요법의 신합병증 예방 효과
1.1. 조영제 유발 신장병증 예방을 위한 수액요법
1.1.1. 국내 근거기반 임상실무지침 개발 연구
국내 근거기반 임상실무지침 개발 연구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시행받은 환자에게 조영제 유발 신장병증(CIN)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수액요법에 관한 지침을 개발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일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심근경색증이나 협심증으로 PCI를 시행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PCI 시행 전,후의 수액주입 실태를 조사하고, CIN 예방을 위한 수액요법에 관한 근거기반 임상실무지침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선별된 문헌들을 분석한 결과 CIN 예방을 위해 권고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CIN 발생 예방을 위한 수액요법 용액으로는 0.9% 생리식염수가 유용하다. 둘째, CIN 발생 예방을 위한 수액요법으로 수액은 1~1.5 ml/kg/hr로 주입하는 것이 유용하다. 셋째, CIN 발생 예방을 위한 수액요법은 PCI 시술 전과 후에 각각 6~12시간 동안 시행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 세 가지 권고안은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PCI 시행 환자에서 CIN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근거기반 수액요법 지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국내 실정에 맞는 임상실무지침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PCI 시술 환자의 간호 실무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1.2. 응급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환자에서 수화 요법의 신장 보호 효과
응급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환자에서 수화 요법의 신장 보호 효과는 다음과 같다.""
2004년 12월부터 2005년 5월 사이에 111명의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응급 PCI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화 요법의 신장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두 군으로 나누어, A군(실험군)은 PCI 후 12시간 동안 1,000mEq/l의 중탄산나트륨을 77ml 추가한 용액을 1.5ml/kg/h의 속도로 N-아세틸시스테인(N-AC) 없이 수액 요법을 받았고, B군(대조군)은 PCI 후 12시간 동안 등장 식염수(0.9%)를 1ml/kg/h의 속도로 관류하면서 다음 날 600mg N-AC를 2회 경구 투여하였다.""
연구 결과, 조영제 주입 후 24시간에 측정된 이뇨량은 B군(대조군)이 A군(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1,955±5...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심장동맥질환, 674p~697p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신경림(2003), 성인간호학 문제중심학습 실습지참서, 정담, 122p~128p
김금순 외(2016), 중환자간호, 군자출판사, 125p~149p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급성 관동맥 증후군》, 네이버 검색어 ‘ST분절 상승 급성심근경색, STEMI’,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602
동아대학교병원, “관상동맥조영술”, https://cvc.damc.or.kr/05/0106.php, (22.10.05)
내과의 블로그, “ST 분절 상승”,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i-doctor&logNo=221381368063, (22.10.05)
이경해 외(2017), 『조영제 유발 신장병증 예방을 위한 수액요법에 관한 근거기반 임상실무지침 개발』, 임상간호연구, 23(1), 83-90.
IT Jarocka, H Bachórzewska-Gajewska, G Kobus, S Czaban, J Małyszko, S Dobrzycki., 『Renal function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hydration』, Advances in Medical Sciences, 58(2), 369-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