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생물과생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생물의 개요 및 특징
1.1. 미생물의 정의와 범주
1.2. 미생물의 다양성
1.3. 미생물의 구조와 형태
2. 미생물의 생활에 대한 영향
2.1. 의료 분야에서의 역할
2.2. 식품 산업에서의 활용
2.3. 환경 분야에서의 기여
2.4. 농업에서의 이용
3. 헬리코박터 균의 특성
3.1. 헬리코박터 균의 역사
3.2. 헬리코박터 균의 형태와 서식
3.3. 헬리코박터 균의 임상적 특성
3.4. 헬리코박터 균의 발병 기전
4. 헬리코박터 균 감염과 관리
4.1. 헬리코박터 균 감염의 경로
4.2. 헬리코박터 균 감염의 진단
4.3. 헬리코박터 균 감염의 치료
5. 미생물과 인간의 상호작용
5.1. 미생물의 긍정적 영향
5.2. 미생물의 부정적 영향
5.3. 미생물과 인간의 공생관계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생물의 개요 및 특징
1.1. 미생물의 정의와 범주
미생물은 사전적으로 인간의 눈으로는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은 생물을 뜻한다"" 미생물은 마이크로미터(1/1,000mm) 또는 나노미터(1/1백만mm) 단위의 작은 생물로 현미경을 통해서만 관찰이 가능하다"" 미생물의 범주에는 진균, 바이러스, 세균, 원생동물, 조류 등이 있으며 약 20만 여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인간이 인지하지 못한 미생물까지 포함한다면 그 종류는 1,000만 여 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1.2. 미생물의 다양성
미생물의 다양성은 매우 광범위하다. 미생물은 진균계(곰팡이), 원생동물계(Protozoa), 크로미스타계(Chromista), 단세포-다세포 등 다양한 형태의 약 90,000여 종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세균은 단세포, 구형-막대형 등 단순한 구조된 약 10,000여 종이 존재한다. 바이러스는 핵산(DNA, RNA) + 외피단백질(Coat Protein)의 약 5,000여 종이 존재하며, 바이로이드는 핵산(RNA) 몇 십 종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미생물은 균류, 세균, 바이러스, 바이로이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종류와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지구상에는 인간이 인지하지 못한 수많은 미생물이 존재하며, 약 1,000만 여 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미생물의 다양성은 지구상 생명체 다양성 중에서도 가장 광범위하다고 볼 수 있다.
1.3. 미생물의 구조와 형태
미생물의 구조와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미생물은 크기가 매우 작아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우며, 대부분의 미생물은 현미경을 통해서만 관찰이 가능하다. 미생물의 크기는 보통 마이크로미터(μm, 1/1,000,000 미터) 단위로 표현되며, 대부분 1~10 μm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미생물의 기본적인 구조는 세포막과 세포벽, 그리고 세포질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막은 인지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질 출입과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벽은 세포 외부 구조물로 미생물의 형태와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세포질에는 다양한 유기물과 무기물, 유전물질, 소기관 등이 포함되어 있다.
미생물의 형태는 크게 구균(coccus), 간균(bacillus), 나선균(spirillum)의 세 가지 기본 형태로 구분된다. 구균은 둥근 형태이며, 간균은 막대 모양, 나선균은 나선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사상균, 방선균, 포자균 등 다양한 형태의 미생물이 존재한다.
편모(flagella)는 미생물이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부속기관이며, 포자(spore)는 열악한 환경에서 미생물이 생존하기 위해 만드는 휴면 형태이다. 또한 어떤 미생물은 자기장 감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자기장을 따라 이동하기도 한다.
이처럼 미생물은 크기와 모양, 부속기관 등에서 다양한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미생물의 생명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2. 미생물의 생활에 대한 영향
2.1. 의료 분야에서의 역할
미생물은 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첫째, 미생물은 항생제 생산에 핵심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1940년대에 페니실린이 최초의 항생제로 개발되었는데, 이는 곰팡이에서 분리된 물질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는 약 100종에 달하며, 이들 대부분은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데 필수적인 약물이다. 둘째, 미생물은 백신 개발에 중요한 소재로 활용된다. 백신은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을 예방하는 핵심적인 수단으로, 2020년 기준 예방 가능한 질병만 해도 약 26종에 달한다. 이러한 백신들은 대부분 미생물에서 유래한 항원을 활용하여 개발된다. 셋째, 유전자 치료에서 미생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전자 치료에서는 특정 유전자를 수정하거나 대체하기 위해 미생물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가 널리 활용된다. 이처럼 미생물은 항생제 생산, 백신 개발, 유전자 치료 등 의료 분야 전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2.2. 식품 산업에서의 활용
식품 산업에서 미생물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미생물은...
참고 자료
농사로(2016). 미생물자원의 개발 현황과 전망. 농사로, 1쪽
서울아산병원. [메디컬칼럼] 몸 속 미생물은 우리에게 유익한가?.
http://www.amc.seoul.kr/asan/healthstory/medicalcolumn/medicalColumnDetail.do?medicalColumnId=33979, (검색일: 2020. 7. 3.).
유튜브. [다큐크래식] 과학이 보인다 7회 - 미생물.
https://www.youtube.com/watch?v=afWGvKWFN6o (검색일: 2020. 7. 3).
미생물, 네가 궁금해!. 필립 번팅 글그림/황유진 역/김응빈 감수 | 북극곰 | 2022
미생물. 야마가타 요헤이 저/황명희 역/김헌수 감수 | 성안당 | 2022
나는 미생물과 산다. 김응빈 저 | 을유문화사 | 2018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MSD 매뉴얼 일반인용, Nimish Vakil , MD, University of Wisconsin School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18
헬리코박터균, 미생물학백과, 한국미생물학회
헬리코박터균이 뭐에요?, KISTI의 과학향기, 2005.04.22
헬리코박터 균은 무엇인가요?,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서울대학교병원
헬리코박터균 감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백과사전
헬리코박터균 감염(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조동찬, 헬리코박터균의 두 얼굴...“천식·아토피 예방", SBS뉴스, 2016.11.04
황숙영, 헬리코박터균, 천식 방지효과 ‘입증’, 코메디닷컴, 2011.07.03.
김진구, "헬리코박터균, 파킨슨병 위험 높여" 연구결과, 헬스조선, 2018.09.27.
민영일, 헬리코박터균에 대한 오해와 진실, 헬스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