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전문간호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사회간호사업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기법
2.1. PATCH 기법
2.2. Bryant 기법
2.3. BPRS 기법
2.4. PEARL 기법
2.5. 4가지 기법의 차이
3. 지역사회간호와 전문간호사
3.1. 보건 전문 간호사
3.1.1. 주요 역할
3.1.2. 활동 현황
3.1.3. 향후 방향 및 전망
3.2. 가정 전문 간호사
3.2.1. 주요 역할
3.2.2. 활동 현황
3.2.3. 향후 방향 및 전망
3.3. 산업 전문 간호사
3.3.1. 주요 역할
3.3.2. 활동 현황
3.3.3. 향후 방향 및 전망
4. 학교간호사업
4.1. 보건교사의 자격과 직무
4.2. 현재 활동 현황과 변화양상
4.3. 향후 학교간호사업의 발전방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020년은 코로나 19로 인하여 전 세계가 혼란을 겪고 있다. 전 세계에서 피해사례가 잇따르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K-방역이라는 모범적인 대처를 하고 있으며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의료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의 밤·낮 없는 헌신이 크게 기여하고 있다. 코로나 19는 비말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역 사회 감염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지역사회간호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한간호협회는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대구지역에서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봉사할 의료인을 모집하였다. 기사에 따르면,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하는 간호사는 과거부터 있어 왔으며 코로나 19 역시 전국 간호사들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힘쓸 것이라고 하였다. 현재의 코로나 19상황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보건의료 문제는 지역민의 일상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관심을 기울여야한다. 국민의 의료 이용 및 건강상태는 국민들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공부분 및 민간부분에서의 지역사회간호 활동은 매우 중요하고 비중 있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급속하게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의료요구는 점점 다양해지고 복합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호의 영역은 광범위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순위에 따른 지역사회간호사업이 시행되어야 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환경과 관련한 이론적·실무적인 전문분야 활동이 중요하다.
2. 지역사회간호사업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기법
2.1. PATCH 기법
PATCH 기법은 미국의 질병관리본부에서 보건사업을 기획하기 전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기준이다. PATCH는 5단계로 평가가 진행되는데, 이는 지역사회의 동기화, 자료수집 및 조직화, 건강순위 선정, 포괄적 중재계획 개발이며 중요성 평가와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적용한다.
PATCH의 중요성 평가기준은 사망/상병, 건강행태에 있어서 광범위한 문제와 전국이나 기준지역과의 평균비교를 하는 것이다. 변화 가능성은 건강문제가 용이하게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PATCH의 1단계는 브레인스토밍 방법으로 사망, 장애 등에 따른 행위요인, 비행위요인의 건강결정요인을 파악하여 건강문제 목록을 작성하고 지역건강문제를 수집한다. 2단계는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변화 가능성이 높은지 낮은지와 중요한지 중요하지 않은지에 따라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3단계는 우선순위를 정리할 때 변화 가능성이 높은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PATCH 기법은 건강문제의 중요성과 변화가능성을 고려하여 보건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활용되는 기법이다.
2.2. Bryant 기법
Bryant 기법은 PATCH 기법에 주민의 관심도를 추가한 것이다. Bryant 기법에 따르면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는 문제의 크기, 문제의 심각도, 보건사업의 기술적 해결 가능성, 주민의 관심도를 고려한다. 즉, PATCH 기법의 기준에 지역사회 주민의 관심도를 추가하여 평가기준을 보다 확대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Bryant 기법은 PATCH 기법을 보완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요구와 관심사를 반영함으로써 지역사회 중심의 보건사업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단순히 전문가의 관점이 아닌 실제 지역사회 주민의 관점에서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3. BPRS 기법
BPRS(Basic Priority Rating System)는 BPRS기준을 사용해서 지역사회간호 사업을 계획하기 위해 건강문제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존 핸론(John Hanlon)과 조지 피켓(George Pickett)이 개발하여 우선순위를 평가하기 위해 공식에 따라 문제의 크기·심각도, 사업의 추정효과를 ABC로 두고 'BPRS=(A+2B)'라는 공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문제의 크기(A)는 빈도에 따라 가장 높은 문제에 10점, 가장 낮은 문제에 0점 또는 1점을 부여하고 다른 문제들은 상대적 비교를 통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문제의 심각성(B)은 건강문제의 등급화 요소를 고려하여 심각성 수준을 정하고 심각성 등급에 2배를 곱하는 것은 심각성이 규모에 비하여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될 경우이다. 예방효과(C)는 효과성의 상한과 하한을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평가한다.
따라서 BPRS 기법은 건강문제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문제의 크기와 심각도, 그리고 예방사업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점수화하여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2.4. PEARL 기법
PEARL 기법은 BPRS 기법의 공식을 적용하여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지역사회간호사업의 실행가능성을 추가로 고려하는 기법이다. PEARL 기법은 적절성(propriety), 경제성(economic), 수용성(acceptability), 간호 사업자원의 이용가능성(resource), 적법성(legality)의 5가지 기준을 통해 사업의 실행가능성을 평가한다.
PEARL 기법에서는 BPRS 기법과 마찬가지로 문제의 크기(A), 문제의 심각성(B), 예방효과(C)를 산출하여 BPRS=(A+2B) TIMES C 공식에 따라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매긴다. 그리고 나서 추가적으로 PEARL=0 또는 1(P TIMES E TIMES A TIMES R TIMES L) 공식을 적용하여 사업의 실행가능성을 평가한다.
P는 해당 기관의 업무범위에 해당이 되는지 여부이고, E는 문제 해결이 경제적으로 의미 있는지 여부이며, A는 지역사회나 대상자들이 사업을 수용할 것인지 여부이다. 또한 R은 사업에 사용할 재원이나 자원이 있는지 여부이고, L은 현행법이나 규정에 적용되는 범위에 있는지 여부이다.
이 5가지 기준 중 하나라도 적합판정을 받지 못하면 해당 사업은 진행이 되지 않는다. 즉, BPRS 기법으로 도출된 우선순위가 높아도 실행가능성이 없다면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다.
따라서 PEARL 기법은 BPRS 기법의 장점인 객관성과 공식화된 우선순위 결정방식에 실행가능성이라는 추가적인 기준을 더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우선순위 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
참고 자료
양혜순. (1997). 보건복지부 조직개편의 결정요인 연구 .(석사) 이화여대. 서울.
우정민. (2018). 군 보건의료의 문제점과 법률적 개선방안 (석사)-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의학법학과 2018.2. 서울.
이규옥. (2016). 한국 보건의료서비스체계 만족도 관련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verall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system in Korea .(박사)-동국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2016.2. 서울.
고정은 외. (2018). 지역사회간호학Ⅰ. 현문사.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2010). 지불보상제도.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PDF.
e-나라지표. (2017). GDP대비 경상의료비 추이. Retrieved March 12, 2019,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31
세계일보. (2019). 의료비 지출 10년 새 2배..‘고령화’에 커지는 가계부담. Retrieved March 13, 2019, from
http://www.segye.com/newsView/20190122000945?OutUrl=naver
메디컬투데이. (2013). 국민 1인당 의료비 연평균 7.2% 증가 OECD평균 3배 이상. Retrieved March 12, 2019, from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61749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19). “희망을 키우는 사회, 함께 누리는 복지” 2019년 보건복지부 업무계획발표. Retrieved March 12, 2019, from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20927&call_from=naver_news
보건복지부. (2010). 비전/임무. Retrieved March 13,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sg/ssg0101mn.jsp?PAR_MENU_ID=05&MENU
Tour Times. (2018). 지역별 다채로운 보건복지서비스를 꽃 피우다. Retrieved March 14, 2019, from http://www.tourtimes.net/56084
대전광역시청. (2016). 보건소에서 하는 일. Retrieved March 14, 2019, from
https://www.daejeon.go.kr/drh/DrhContentsHtmlView.do?menuSeq=1955
강남구보건소. (2019). 조직 및 업무. Retrieved March 14, 2019, from
http://health.gangnam.go.kr/content/367/view.do?mid=5-367&lang=ko
상주시보건소. 조직 및 업무. Retrieved March 14, 2019, from
http://health.sangju.go.kr/main/main.jsp?home_url=health&befor_home_url=health&befor_code=INTRODUCE_02&code=INTRODUCE_03
굿뉴스365.(2014). 전국 보건소, 10곳 중 9곳 인력기준 미달. Retrieved March 14, 2019, from http://www.goodnews365.net/news/articleView.html?idxno=519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7). 진료비지불제도 소개. Retrieved March 14, 2019,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22000000
지불보상제도의 종류. (2017). Retrieved March 14, 2019, from
https://blog.naver.com/yeahdeem/221038882370
조유향 외 11인, 제7판 지역사회간호학 총론, 현문사, p. 66~67/ p. 161~168, 201110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보건전문 간호사,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Dic/jobDicDtlInfo.do?pageType=jobDicSrchByJobCl&jobCode=2430&jobSeq=9, 201110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청 건강보험통계 : 종별인력현황(간호사 및 기타인원),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01110
임수민 기자, 간호사 정책 실패, '지역공공간호사' 도입 시급,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62588&thread=22r10, 201111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가정전문 간호사,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Dic/jobDicDtlInfo.do?pageType=jobDicSrchByJobCl&jobCode=2430&jobSeq=9, 201111
한국전문간호사 협회, 2019 전문간호사 현황 통계, http://www.kaapn.or.kr/, 201111
SS직업문제연구소 편집부, 자격증사전 ; 보건교사,
https://www.moe.go.kr/newsearch/searchTst.jsp, 201112
교육부, 통계청 특수교육 실태조사 통계 : 학교에서 의료적 처치 또는 지원을 주로 담당하는 사람,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01112
김예람 기자, “모든 학교에 보건교사 배치”,
http://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2630, 201112
정규숙, [코로나19] 대구지역 선별진료센터 검체 체취 간호사 모집, 간호사 신문 참고
김영임, 정혜선, 이복임(2019). 「지역사회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