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시사교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변화 및 특성
1.1. 미디어 플랫폼의 개념과 발전
1.2. 주요 미디어 플랫폼 유형 및 시장 분석
1.3. 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경쟁 및 수익성 변화
2. 미디어 플랫폼과 청소년범죄
2.1. 청소년 범죄의 개념 및 유형
2.2. 미디어 플랫폼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2.3. 모방범죄와 인터넷 콘텐츠의 위험성
3. 미디어 플랫폼 제작과 청소년 보호 방안
3.1. 시사교양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3.2. 학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제고와 지도 방향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변화 및 특성
1.1. 미디어 플랫폼의 개념과 발전
플랫폼이란 본래의 정거장이라는 의미로써 사람과 운송수단이 만나는 접점 혹은 사람과 운송수단을 매개하는 매겨질 점 구실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사회의 플랫폼은 사용 기반이 되는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온라인에서 생산 소비 유통이 이루어지는 장 즉 토대나 시스템 기반을 말한다. 즉 온라인상에서 일정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상태로 제공하기 위해서 구축된 제반의 환경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다양한 미디어와 콘텐츠가 하나의 기기를 통해서 이용되는 모바일 미디어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플랫폼이 미디어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2. 주요 미디어 플랫폼 유형 및 시장 분석
(1.2. 주요 미디어 플랫폼 유형 및 시장 분석)
지상파 TV는 지상의 무선국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TV 방송 사업으로, 공영과 민영 방송으로 구분된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51개의 지상파 TV 방송사가 있다. 케이블TV는 종합유선 방송국을 관리 및 운영하며 전송과 선로 설비를 이용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로, 92개사가 영업 중이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해 제공되는 양방향 TV 서비스로, 3개사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지상파TV 시청자들의 관심이 케이블TV 채널로 이동하면서 지상파 TV 시청 구조가 변화하게 되었다. TV조선과 같은 채널이 트로트라는 매체를 활용한 전략으로 고령층 시청자들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지상파들도 유사한 트로트 방송을 내보내게 되었다. 이는 지상파 방송의 매출액 감소 추세에 따른 대응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한편 IPTV의 매출이 증가하는 등 미디어 플랫폼 시장에서의 변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플랫폼 시장의 변화 속에서 기업들의 PPL(Product Placement) 전략도 세분화되고 전략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과거 지상파TV에 집중되었던 PPL이 다양한 플랫폼과 채널로 확산되면서 보다 타깃팅된 홍보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결국 미디어 플랫폼 시장은 인구통계학적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나 혼자 산다'와 같은 프로그램의 등장,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고령층 맞춤형 채널 및 콘텐츠 등 사회적 변화가 미디어 플랫폼 산업에 반영되고 있다.
1.3. 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경쟁 및 수익성 변화
미디어 플랫폼 산업의 경쟁 및 수익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미디어 플랫폼 산업 전체 시장 규모의 성장률은 과거 8.2%보다 2.2% 감소한 연평균 6.0%의 성장률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즉, 지상파TV, 케이블TV, IPTV 등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 간의 과열 경쟁으로 인해 서비스 비용이 하락하...
참고 자료
박란 (2020) 미디어 생태계 변화에 따른 미디어 플랫폼 산업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중심으로 경기 대학교 대학원
오진이 (2021) 플랫폼 미디어 이용자의 참여행위와 성과에 대한 연구 청운대학교 대학원
YTN 김성현 기자 '미스트롯2'제작진 " 트롯 센세이션 계속, 올겨울 첫방송" 2020.08.24
안상원, 범죄 재연 프로그램이 청소년 범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5.
JTBC(2018.10.05.), “리벤지 포르노 유포, 강력 처벌을”... 구하라 사건 새 국면, URL : http://news.jtbc.joins.com/html/142/NB11706142.html
허핑턴포스트(김현유) ['EBS 다큐프라임 - 공부의 배신' 편은 여러모로 논란이다]
한겨레(김미향) [인터넷 보고 ‘극단 범죄’ 따라하는 아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