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개요
1.1. 문서 소개
이 문서는 심리학의 인지발달이론과 대인관계발달이론을 소개하는 레포트이다. 첫 번째 섹션에서는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다루고, 두 번째 섹션에서는 설리반의 대인관계발달이론을 다루고 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인간의 감정과 행동이 인지 또는 사고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이 매우 주관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객관적 현실은 존재하지 않고, 개인마다 자신의 삶을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주관적 현실만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또한 인간의 사고, 행동, 정서는 개인이 현실세계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인간의 본성에 대해 결정론적인 관점을 거부하고 변화와 성장 가능성을 인정하였다. 피아제는 아동이 어른이 가르치는 대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방법으로 배우며, 아동의 사고방식이 어른과 다르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설리반의 대인관계발달이론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이 성격형성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간과했다고 비판하며, 성격이 대인관계에서 발달한다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설리반은 "성격은 인간의 삶을 특징짓는 되풀이되는 대인관계 상황의 비교적 지속적인 패턴"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성격이 대인관계에서 발달하는 특징을 갖기에 잘못되는 경우 정신병리적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설리반의 이론은 심리치료 상황에서 환자와 치료자 간의 대인관계가 성공적인 치료에 결정적이라는 주장을 통해 대인관계치료로 발전하였고, 집단심리치료, 가족치료 발전의 기초로 기여하였다.
1.2. 주요 이론가 및 개념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무의식의 역할과 성격 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한 정신분석이론의 창시자이다. 그는 인간의 성격이 출생부터 6세까지의 트라우마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으며,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성기기의 5단계로 발달한다고 주장하였다. 성격은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를 중심으로 발달한다는 것이 그의 핵심 개념이다.
융(C. Jung), 아들러(A. Adler)는 어린 시절의 충격이 성인이 될 때까지 트라우마로 작용할 수 있지만, 삶 속에서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에릭슨(Erik H. Erikson)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모형을 기반으로 하되, 평생에 걸쳐 2가지 상반된 특성이 대립하며 형성된다는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제시하였다.
설리반(Harry S. Sullivan)은 인간의 경험이 대인관계 속에서의 욕구와 갈등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성격은 개인의 대인관계, 즉 친밀한 사람들과의 관계에 의해 일생에 걸쳐 형성된다고 보았다.
말러(Margaret Mahler)는 유아의 발달 과정을 분리-개별화 단계로 설명하였다. 유아는 출생 직후 어머니와 자신을 구분하지 못하다가, 차츰 자신과 어머니가 분리되어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고 하였다.
피아제(Jean Piaget)는 인지발달이론을 통해 인간의 사고 과정이 단계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4단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