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전치태반은 임신 20주 이후 200명 임부 중 1명꼴로 나타나며, 태아조산의 위험성이 높아 미숙아가 태어나기도 하며, 전치태반 산모는 정상 산모에 비해 태아의 사망률이 10%나 높다. 그러나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를 통해 조산을 막을 수 있고, 태아와 산모 모두 안전하게 출산할 수 있다. 전치태반은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로, 임부와 태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치태반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출혈, 감염, 조산, 태아 사망 등의 위험이 높으므로 적절한 간호중재를 통해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전치태반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은 "진단명 : Partial placenta previa (부분전치태반)"인 30세 산모 김**이다. 김**씨는 2022년 1월 28일에 입원하여 2022년 2월 13일 퇴원한 환자로, 차트와 여성간호학 교과서를 참고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전치태반의 정의 및 원인
2.1. 정의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의 내구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거나 자궁 내부 근처의 자궁하부에 착상된 상태를 말한다. 태반에 의해 자궁내구가 덮여 있는 정도에 따라 전치태반을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완전 전치태반은 자궁경부가 완전히 개대되었을 때 태반에 의해 완전히 자궁 내부가 덮인 상태이며, 부분 전치태반은 부분적으로 자궁 내구를 덮는 것을 말한다. 변연 전치태반은 태반의 변연부만 자궁 내구에 닿아 있는 상태이지만 분만 동안 자궁경부가 개대될 때 입구 위로 도달하게 된다. 하부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 경부 입구에는 도달하지 않고 자궁 하부에 착상된 것을 말한다. 전치태반은 임신 20주 이후 200명 임부 중 1명꼴로 나타나며, 임신 3기 무통성 질 출혈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2.2. 원인
전치태반의 원인은 불확실하지만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은 제왕절개술에 의한 자궁내막 반흔이다. 과거 제왕절개 분만 횟수가 많을수록 전치태반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4회 이상 수술경험이 있는 여성에게 전치태반이 발생할 위험은 10%에 달한다. 자궁하부절개분만 여성에게 전치태반이 발생할 확률은 일반 여성에 비해 6배 높다.
그 밖에도 다산부, 다태임신, 35세 이상의 노임부, 이전 전치태반 병력, 터울이 짧은 경우, 흡연 등이 전치태반의 위험요인이다. 다태임신의 경우 태반이 크기 때문에 발생 가능성이 더 높다. 착상부위와 태반의 크기는 관계가 깊은데, 자궁하부의 혈액순환은 자궁저부보다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태반이 차지하는 면적이 더 넓다. 전치태반의 면적은 자궁저부에 착상한 보통의 태반보다 30% 이상 더 넓다.""
3. 전치태반의 병태생리
전치태반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자궁내막 흉터나 상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배아가 흉터 없는 자궁 저부에 착상하여 태반이 성장하게 된다. 자궁 태반 혈관 관류가 넓혀진 표면적에 태반 부착을 유도하고 자궁 저부에 천천히 잠식되도록 한다. 전치태반은 배아가 자궁저부에 착상되면서 시작된다. 태반이 부착되고 성장하면서 자궁경부의 입구를 덮게 된다. 태반 혈관에 결함으로 태반이 자궁 근층에 직접 유착되거나, 자궁근층으로 침범하거나 관통하게 된다."
4. 전치태반의 진단방법
4.1. 임상증상을 통한 진단
임신 2기나 3기 때 무통성의 선홍색 자궁출혈은 전치태반의 주요 특징으로서 약 70% 환자에서 나타난다"" 보통 29주~30주에 처음 출혈이 나타나는데, 임신 24주 이후 질 출혈이 있으면 전치태반을 의심해야 한다"" 임신 3기 때 자궁하부가 늘어나고 얇아지면서 태반부착부위가 서서히 박리되어 노출된 자궁혈관동에서 출혈이 발생한다"" 대개 첫 출혈은 소량이고 응괴가 형성되면서 지혈되나 언제든지 다시 재발할 수 있다"" 임부의 40%는 혈량을 소실해도 쇼크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심한 출혈 시에도 활력징후는 정상일 수 있으므로 임상증상 및 소변량 감소가 더 정확한 지표다"" 7%는 임상적으로는 무증상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