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언어의 이해와 특성
1.1. 국어의 음운규칙
음운론은 자음, 모음, 강세, 음장, 음절 등과 같은 음운단위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분야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글의 자소는 각 자소에 대응하는 음소를 가진다(예: '한글'의 'ㅎ'는 /h/,'ㅏ'는 /a/, 'ㄴ'은/n/, '한글'→[han-g?l]). 또한, 한글은 풀어쓰기(예: 'ㅎㅏㄴㄱㅡㄹ')를 하는 대신 모아쓰기(예: '한글')를 하기 때문에 음소문자인 동시에 음절단위로 쓰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폐모음은 혓바닥과 입천장의 거리가 가장 가깝게 되어 입이 작게 벌어진 상태에서 발음되는 모음이다. [ㅣ, ㅡ, ㅜ, ㅟ]. 개모음은 혓바닥과 입천장의 거리가 가장 멀게 되어 입이 크게 벌어진 상태에서 발음되는 모음. [ㅏ, ㅐ]. 전설모음은 발음할 때 혓바닥이 경구개를 향해서 작용하는 모음[ㅣ, ㅔ, ㅐ, ㅚ, ㅟ]이다. 후설모음 [ㅜ, ㅗ, ㅓ]은 발음할 때 설근이 연구개를 향해 작용하는 모음이고 원순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이 둥글게 되는 모음으로 [ㅗ, ㅜ, ㅟ, ㅚ]가 있다.
분포의 제약이란 특정 소리가 특정 위치에 나타나는 것에 제약이 있는 것이다. 중화는 처음에 대립되던 음소들이 특정 환경에서 대립을 상실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동화는 성질이 다른 두 소리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서 같아지거나 비슷해지는 현상이다. 구개음화는 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뒤에 오는 모음 'ㅣ'나 반모음 'j'의 영향으로 구개음으로 바뀌는 현상이며 비음화는 [ㄱ, ㄷ, ㅂ]과 같은 폐쇄음이 뒤에 오는 비음에 동화되어 비음으로 되는 현상이다.
유음화는 [ㄹ]과[ㄴ]이 만날 때 [ㄹ]의 영향으로 [ㄴ]이 [ㄹ]로 바뀌는 현상이고 모음조화는 앞뒤 음절에 같은 계열의 모음끼리 만나는 현상이며 축약은 두 개의 소리가 하나의 소리로 통합되는 현상이다.
음운도치는 한 단어 안에 있는 두 소리, 또는 두 음절이 서로 자리를 바꾸는 현상이고 이화는 서로 같거나 비슷한 소리에서 그 어느 하나를 다른 소리로 바꾸는 현상이다.
음운규칙 중 비음화는 예외가 없는 규칙으로 국어의 비음화는 비음화의 조건에 있으면 예외 없이 일어나기 때문에 절대동화라고도 한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음절말 종성에서 자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ㅇ'으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자음 동화는 음절(音節) 끝 자음(子音)이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기도 하고,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다 바뀌기도 하는 현상이다.
된소리되기(경음화) - 두 개의 안울림소리가 서로 만나서 뒤의 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1.2. 언어의 본질과 기능
언어는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별해주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서로 소통하고 의미를 전달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언어의 본질은 의사소통의 기능으로, 언어는 사회구성원 간의 약속으로 만들어지며 새로운 말이 생성되거나 기존 말의 뜻이나 소리가 변화하기도 한다. 언어는 음운, 형태소, 단어 등의 작은 요소로 분절되어 있으며 체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언어기호는 의미와 형태가 자의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이를 통해 언어기호의 숫자와 표현의 다양성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처럼 언어의 본질은 인간 간 의사소통과 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1.3. 형태소와 품사
형태소는 의미를 지닌 가장 작은 언어단위로 최소의 유의적 단위이다. 형태소는 두 가지 기준에 기대어 식별된다. 첫째, 의미를 가지는 언어 단위 중 가장 작은 단위이다. 즉, 더 이상 쪼개면 그 의미가 없어지는, 따라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크기이다. 둘째, '의미'에는 어떤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가 하는 문법적 의미까지도 포함된다.
형태소에는 크게 의존형태소와 자립형태소가 있다. 자립형태소는 다른 형태소의 도움을 받지 않고 문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