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4차 산업혁명은 세계경제포럼의 창립자인 클라우드 슈밥 교수가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소개하면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4차 산업혁명 개념은 2012년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시작 당시 이미 사용되었으나, 세계경제포럼에서 거론된 후 재조명되었다. 한국에서는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 이후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이목이 집중되었다.
4차 산업혁명은 3차 산업혁명의 더욱 확장된 개념으로 ICT, 생물학, 물리학 등 여러 분야가 융합된, 특히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가 핵심인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로는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이버 물리시스템, 3D 프린팅 기술, 자율주행 스마트 자동차 등이 있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선형이 아닌 기하급수적인 속도로 기술이 진보되고, 기술 간 융합이 수시로 발생하며 기술의 범위 및 깊이가 훨씬 넓고 복잡하며, 그로 인해 전 산업분야에 큰 영향을 끼치고, 생산 체계와 지배구조 등 사회경제 전반 시스템에 큰 변화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기존 1~3차 산업혁명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4차 산업혁명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긍정적인 측면은 저성장 시대를 걷고 있는 세계경제를 부활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부정적인 측면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특정 직업군의 실업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과, 선진국과 신흥국의 불평등한 경제 체제를 심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한국 보건산업의 현황 및 전망
2.1. 한국 보건산업 수출 동향
현재 한국의 보건산업 수출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 유가 급락,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글로벌 공급망 훼손 등의 심각한 상황 속에서도 높은 성장세와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다. 2020년 1분기 보건산업 총 수출액은 43.8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2.5% 증가하였다. 의약품 수출은 6.4억 달러(+23.4%), 화장품 수출은 5.7억 달러(△0.1%), 의료기기 수출은 4.9억 달러(+50.8%) 순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진단용 시약 및 바이오의약품의 미국, EU와 같은 글로벌시장의 수요가 급증함으로써 전년 동월 대비 20.2% 증가한 총 17.0억 달러를 달성하였다. 이처럼 한국의 보건산업은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특히 국산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우수성이 알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2. 품목별 수출 전망
2.2.1. 의약품
서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의 보건산업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도 매우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의약품 부문은 글로벌 제약 시장을 선도하며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0년 국가별 의약품 수출 동향을 보면, 독일이 전년 동기 대비 270.5% 증가한 3.0억 달러로 1위를 차지하였다. 이 외에도 미국(+32.1%), 터키(+99.0%), 일본(+31.1%) 등 선진 제약시장 7개국이 주요 수출국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바이오시밀러가 총 수출의 52.0%를 차지하며 우리나라 의약품 수출을 이끌었다.
2015년 이후 우리나라 월별 의약품 수출은 매년 확대되는 추세로, 2020년 월평균 수출액은 5.6억 달러로 2015년 대비 2.2배 증가하였다. 3월 월간 의약품 수출액은 6.9억 달러로 5년간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국내 바이오 의약품은 수출 주력품목으로 매년 수출량이 늘어나 수출 비중도 지속 확대되고 있다.
또한 현재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관심이 높은 상황에서 한국이 메르스 백신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관련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제약산업은 글로벌 수출, AI 신약 개발, 바이오시밀러의 유럽 및 미국시장 진출 등으로 향후에도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보건산업혁신기획단은 2020년 의약품 수출이 전년 대비 18.5% 증가한 6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의약품 산업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글로벌 보건 산업을 이끄는 핵심 분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과 백신 개발 역량이 돋보이면서 우리나라가 세계 보건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2.2.2. 의료기기
국내 의료기기 수출은 코로나19로 인한 진단키트 수요 증가로 큰 성장세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