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개요
1.1. 보고서 개요
본 보고서는 2019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 강릉원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전공 수업 발표과제를 위해 작성된 "㈜풍산"에 대한 기업보고서이다. 이를 위하여 대상 기업으로 "㈜풍산"을 선정하였다. 본 보고서는 "㈜풍산"의 생산제품, 자체기술, 매출, 재무건전성, SWOT 분석, 규모, 채용 및 복지를 조사하여 작성하였다.
1.2. 조사 배경
대한민국 군대에 다녀온 대부분의 남성들이 군용 화기 운용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화기들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탄약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없는 탄약을 생산, 납품, 연구 개발하는 일은 호기심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군용 탄약 납품기업인 ㈜풍산의 기술, 매출, 규모 등을 조사하였고, 방위산업뿐만 아니라 ㈜풍산의 또 다른 주요산업인 비철금속 부분도 일부 조사하였다.
2. ㈜풍산 기업소개
2.1. 회사 역사
㈜풍산은 1968년 10월 22일 비철금속 소재산업으로 시작하였다. 이후 1973년 경북 안강에 국내 최초의 방위산업시설인 종합 탄약공장을 준공하였다. 1973년에는 소구경탄을 비롯한 박격포탄, 곡사포탄을, 1975년에 대공포탄을, 1979년에는 직사포탄을 개발하는 등 1970년대를 통해 군이 사용하는 전 품종을 개발, 국산화했으며 타 산업에 비해 월등히 높은 95%이상의 국산화율을 확보하였다. 또한 1982년에는 육군조병창을 인수, 동래공장을 운영하여 종합탄약 생산업체로 국내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고, 1984년부터 민수용 탄약도 개발하여(PMC) 미국시장에도 진출하였다. 2008년에는 지주회사 ㈜풍산홀딩스를 세우고, ㈜풍산과 풍산특수금속㈜ 으로 분리되어 지주회사체제로 경영되고 있다. 현재 ㈜풍산은 신동, 방산부분만 아니라 스테인리스, 소전 등 다양한 비철금속 분야에서도 사업을 넓혀가고 있다.
2.2. 현재 현황
㈜풍산의 현재 현황은 다음과 같다.
㈜풍산은 대표자로 류진과 박우동이 있으며, 3,415명의 사원을 보유한 중견기업이다. 신용등급은 우수한 수준이다. 2018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조 9,450억 원, 영업이익은 2,411억 원이다. 계열사로는 ㈜풍산, ㈜풍산홀딩스, 풍산특수금속㈜, ㈜풍산화동양행, ㈜풍산FNS, 풍산네오티스㈜, ㈜디에이케이코리아, ㈜풍산메탈서비스 등이 있다. 주요 사업장으로는 대표사업장, 안강사업장, 부산사업장, 울산사업장이 있으며, 동종 업계에서 6위 수준의 기업이다. 평균연봉은 9,433만 원이다.
3. 생산제품
3.1. 방위산업 부문
㈜풍산의 방위산업 부문은 크게 탄약, 신관 및 기타 장비로 구분된다. 먼저 탄약의 경우 5.56mm 소총탄, 12.7mm 기관총탄, 60mm, 81mm 박격포탄, 105mm, 155mm 고폭탄, 30mm 골키퍼탄, 76mm 함포탄, 20mm 대공탄 등 국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탄약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풍산이 거의 유일하게 이들 탄약을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업체이다. 이를 통해 ㈜풍산은 자주국방과 국방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신관의 경우 고폭탄용 기계식 충격 신관, 40mm 고속유탄용 기계식 충격신관 및 이중목적 고폭탄용 기계식 탄부발화탄저신관, 박격포탄용 기계식 시한신관, 함포탄용 기계식 충격신관, 로켓탄용 전자식 시한신관 등을 생산하고 있다. 이처럼 ㈜풍산은 국내 유일의 탄약 및 신관 생산업체로서 국방력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풍산은 항공기용 타이머와 날개안정분리철갑탄용 텅스텐 탄자 등의 기타 장비도 생산하고 있다. 특히 날개안정분리철갑탄의 경우 탄두가 카트리지에서 분리되면서 높은 관통력을 발휘하는 원리를 활용한 제품으로, 한국과 독일이 대표적인 생산국이다. ㈜풍산은 이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요약하면 ㈜풍산은 국내 유일의 종합 탄약 생산업체로서, 국군의 각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