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울혈성심부전 시나리오 흐름도 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1.1. 정의
1.2. 원인
1.3. 증상과 징후
1.4. 진단
1.5. 치료 및 간호
2.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과 징후
2.4. 진단 검사
2.5. 치료 및 간호
3. 급성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3.1. 정의
3.2. 원인
3.3. 증상
3.4. 진단검사
3.5. 치료
3.6. 간호
4.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4.1. 정의
4.2. 원인 및 위험 요인
4.3. 증상
4.4. 진단
4.5. 치료 및 간호
4.6. 예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1.1. 정의
장폐색은 소장이나 대장의 일부가 여러 요인에 의해 장 내용물의 흐름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이 통과하지 못하여, 배변과 가스가 장내에 축적되어 장애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1.2. 원인
장폐색의 원인은 크게 기계적요인, 신경성 요인, 혈관성 요인 등이 있다.
기계적 요인에는 유착(adhesions), 탈장(hernia), 장 염전(volvulus), 장중첩증(intussusception), 종양 등이 있다. 유착은 소장과 대장의 폐색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복부 수술 후나 특별한 이유 없이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다. 감돈탈장은 탈장 환의 크기에 따라 폐색을 초래하며, 꼬인 탈장은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장이 기능을 할 수 없어 항상 폐색을 일으킨다. 장 염전은 복강 내에 정체된 병변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장의 꼬여 폐색과 허혈을 유발한다. 장중첩증은 장의 어느 한 부분이 다른 한 쪽으로 포개어져 들어간 상태로 폐색을 일으킨다. 종양은 대장 폐색의 주원인으로, 종양이 계속 커져 급성 폐색증을 일으키며, 소장에서 발생하는 폐색 증상은 종양을 암시하는 첫 증상이다.""
신경성 요인은 연동운동의 결여로 인해 마비성 장폐색이 생기며, 복부수술 후에 발생한다.
혈관성 요인은 혈액 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발생한다. 장관의 혈액공급은 복강동맥과 상하부 장간막동맥을 통해 이루어지며, 혈액 공급의 차단은 완전 폐색과 부분적 폐색에 의해 발생한다.""
1.3. 증상과 징후
장폐색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복통, 구토가 있다. 초기의 구토물은 반 정도 소화된 음식물과 유미즙이 배출되고 나중에는 물과 같은 액체와 담즙이 섞여 나오게 된다. 또한 배변의 변화, 하복부통증, 변의, 팽만 및 복명음 등을 초래한다. 구토를 하는 환자는 수분과 나트륨, 염화물, 칼륨과 중탄산염 등의 심한 전해질 불균형을 경험하게 된다. 그 결과 급격한 세포외액의 결핍(탈수)이 발생하며, 순환하는 혈액량 감소 및 수소 이온의 불균형으로 대사성 산증이 흔히 발생한다."저혈량성 쇼크의 대표적인 증상과 징후로는 초기에 순환량을 유지하기 위해 나트륨과 수분이 재흡수되어 소변의 삼투압과 비중이 증가하나 쇼크가 진행되면서 콩팥의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 능력이 저하되어 소변 삼투압과 비중은 감소한다. 또한 교감신경계의 자극으로 발한이 나타나고 피부는 조직관류가 감소되어 차고 축축하며 창백해진다. 맥박과 호흡수가 증가하고 청색증이 나타나며 장음이 소실된다."
1.4. 진단
장폐색의 진단은 다음과 같다.
장폐색은 단순 X-선 검사, 바륨 조영술, CBC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장폐색의 원인이 무엇인지 확실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혈액 검사, 초음파 검사, 내시경 검사,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T) 등을 시행한다. 백혈구 증가는 장의 꼬임을 알려주고, 나트륨, 칼륨, 염화물 수치가 떨어지며, 비단백질소와 혈액요소질소가 상승하는 것은 소장 폐색을 의미한다.
복부 X-선 검사에서는 장관 팽창, 공기-액체 수준, 입원 직후부터 나타나는 특징적인 소견인 소장형 "계단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바륨 조영술은 장폐색의 부위 및 정도를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복부 CT 검사를 통해서는 장폐색의 원인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T는 기계적 폐색, 마비성 장폐색, 혈관성 요인 등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장폐색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력 청취, 신체 검진, 단순 X-선 검사, 바륨 조영술, 혈액 검사, 복부 CT 검사 등 다양한 진단적 도구를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1.5. 치료 및 간호
'1.5. 치료 및 간호'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투약 약물은 장활동을 자극하는데 효과가 없으며 폐색에서 장이 완전히 회복되었을 때 약물의 효과가 나타난다. 수술은 폐색을 일으키는 혈관성 요인이나 기계적 요인들을 대부분 제거하는 것이 유일한 중재방법이다.
간호사는 장폐색을 치료하기 위해서 일단 금식하면서 주의 깊게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해 줌으로써 수분 균형을 유지하고 처방에 따라 염화나트륨, 중탄산염, 칼륨 등을 수액에 첨가하여 투여한다. L-tube를 이용하여 2~3일 정도 가스와 장 내용물을 흡인하며 비위관을 흡인기에 연결시켜 구토와 팽만을 완화시킨다. 또한 구토, 팽만이나 통증악화, 체온상승, 그 밖에 장의 염전을 나타내는 증상들을 파악하고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혈액 공급에 이상이 있다면 응급 수술을 위해 준비해야 한다. 마약성 진통제는 폐색의 증가나 혈액 흐름의 손상 시 발생하는 증상들을 은폐하거나 연동운동을 감소시키므로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장폐색 환자의 응급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 감압, 그리고 신속한 외과적 치료이다. 수술로 폐색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이다. 수술 전후로 주요 간호 중재는 다음과 같다.
수술 전 간호:
- 금식 유지
- 수액 및 전해질 보충
- 비위관 삽입하여 위 내용물 배출
- 통증 조절
- 심리적 지지
수술 후 간호:
- 수술 부위 관찰 및 배액관 관리
- 수액 및 전해질 보충 지속
- 수술 후 합병증 예방(폐렴, 요로감염 등)
- 장운동 증진을 위한 조치
- 영양 공급
- 통증 조절
- 심리적 지지
이와 같이 수술 전후 집중적인 간호 중재를 통해 장폐색 환자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2.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2.1. 정의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는 불충분한 혈액순환으로 인해 혈액이 조직 내로 적절히 확산되지 못하여 세포에 신진대사 부전이 초래되고 그 결과 생리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태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2.2. 원인
폐색전증의 원인 및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폐색전증은 대부분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에 의해 발생한다. 심부정맥혈전증은 하지, 골반, 복부 정맥에 발생...
참고 자료
소장폐색 x-ray, https://blog.naver.com/choiko14/222085186562, (2020년 11월 23일).
김금순,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 81-88, 412-413, 464-467
김근순 외. (2019)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장폐색,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94&cid=51007&categoryId=51007, (2020년 11월 24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쇼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529&cid=51007&categoryId=51007, (2020년 11월 24일).
널싱스킬, 비위관:삽입, 세척, 제거, https://kr1.nursingskills.kr/Home/SkillDisplay/tabid/69/sid/3709/Default.aspx, (2020년 11월 24일).
대한민국 의약품정보의 표준 약학 정보원,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150A0470, (2020년 11월 24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glossary/neutrophil, (2020년 11월 24일).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2020년 11월 24일).
김기운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반드시 숙지해야 할 심폐소생술 A to Z
Vol.92, No. cho1, 2017 대한내과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339-343
윤은자, 김숙영, 김옥순, 소향숙, 이은자 외 7명 성인간호학1. 8판. 경기도 파주시 : 수문사; 2017 p.764-780 803-810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판 9쇄. 서울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p.114-147
드럭인포 「www.druginfo.co.kr」, 2020.11.15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2020.11.15
네이버 건강 약품정보 https://terms.naver.com/medicineSearch.nhn 2020.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