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신성 당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1.1. 정의
1.2. 원인 및 병태생리
1.3. 임상증상
1.4. 진단검사
1.4.1. 선별진단
1.4.2. 확진검사
1.5. 치료
1.5.1. 식이요법
1.5.2. 운동요법
1.5.3. 인슐린요법
1.6. 간호중재
1.6.1. 산전관리
1.6.2. 산후관리
1.7. 합병증
1.7.1. 모체 합병증
1.7.2. 태아 합병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1.1. 정의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은 임신 동안 발생하는 가장 흔한 대사 장애로, 전에 당뇨병이 없었던 산부가 임신말기에 경한 당내성, 식후고혈당 등 다양한 정도로 당뇨병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대개 임신이 끝나면 사라지나 다음 임신 시 재발하거나 추후 제2형 당뇨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2기 중반 즉 임신말기에 주로 나타나는데, 이 시기에 태반 호르몬과 코티졸, 인슐리나아제의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임부들은 인슐린 저항성에 대처하고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생산할 수 있지만, 췌장이 보상 기전으로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면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임신성 당뇨병의 약 70%는 무증상이어서 그 사실을 알기 어렵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임신을 하게 되면 임산부의 자궁 내 태반에서 호르몬들이 분비된다. 그러나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임산부의 몸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액 속의 당이 세포 내로 이동되지 못하므로 혈당이 상승하게 된다. 즉 임신을 하게 되면 태아로 인해 증가되는 에너지 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모체는 더 많은 양의 인슐린을 만들어내야 하는데,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인슐린의 생산과 기능을 방해하므로 혈당량이 증가하는 것이다.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후기에 주로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이 시기에 태반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기 때문이며, 출산 후에는 태반이 없으므로 태반 호르몬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대부분의 산모들은 정상 혈당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에 의해 임신 중에 발생하는 당뇨병이라 할 수 있다.
1.3. 임상증상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의 임상증상은 대부분 무증상이다. 임신과 동반되어 당뇨가 있는 경우 소변 검사상 당이 나오거나 피로감, 쇠약감 외에 다른 특이한 증상은 없다. 다만 임신에 따른 증상으로 거대아를 임신하는 경우가 많고, 임신중독증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임신중독증에 따른 고혈압, 단백뇨, 부종 등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임신성 당뇨병은 대부분 산전 검사를 통해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1.4. 진단검사
1.4.1. 선별진단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의 선별진단은 임신 24-28주 사이에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로 사용되는 선별진단 검사법은 Glucose Chal...
참고 자료
하영수 외(2013), 모성신생아·여성건강간호학Ⅰ권, 신광출판사
하영수 외(2009), 모성신생아·여성건강간호학Ⅱ, 신광출판사
정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전국간호대학교수, (2014) for nurse REVIEW BOOK ,도서출판 의학교육
차영남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현문사 논문 : 김문영 , 2015, ‘임신성 당뇨병의 산과 관리’
여성건강간호학 (하). 현문사.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18),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약학정보원
의약품사전
최미진.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은 여성의 산후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요인."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