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디지털 경제의 특성
1.1. 정보재의 비경합성
정보재는 한계생산비용이 0에 가까워 비경합적 성격을 갖는다. 정보재란 디지털화된 재화로, 한번 생산하면 추가적인 생산 비용이 거의 들지 않아 복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어떤 소비자가 정보재를 소비한다고 해서 다른 소비자의 소비가 제한되지 않는 비경합적 특징을 보인다. 정보재의 대표적인 예로는 소프트웨어, 음악, 동영상 등이 있다. 이러한 정보재는 복제와 배포가 쉬워 한계생산비용이 낮고, 한 소비자가 소비해도 다른 소비자의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경합적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비경합성으로 인해 정보재는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으며, 공급자는 정보재의 가격을 경계비용에 가깝게 책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재의 비경합성은 정보재의 묶음 판매, 가격차별화, 고착 효과 등 다양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1.2. 정보재의 묶음 판매
정보재의 묶음 판매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정보재를 하나의 재화처럼 단일한 가격에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재는 한계생산비용이 0에 가까운 특성으로 인해 비경합적 성격을 가지므로, 기업은 이를 활용하여 묶음 판매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묶음 판매의 핵심은 개별 정보재 간의 소비자 가치 평가 차이가 크다는 점이다. 만약 소비자들이 개별 정보재와 묶음 판매 정보재에 대해 유사한 가치를 느낀다면, 묶음 판매를 통해 이윤을 극대화하기 어렵다. 반면 소비자가 개별 정보재와 묶음 판매 정보재에 대해 큰 가치 차이를 느낀다면, 기업은 묶음 판매를 통해 더 높은 이윤을 달성할 수 있다.
묶음 판매는 기업에게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단일 가격에 여러 정보재를 판매함으로써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개별 정보재 간 관련성이 높다면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소비자들의 탐색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넷째, 과거에는 구매하지 않았던 정보재까지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만 정보재의 비경합성과 결합재 판매로 인해 독점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반독점 규제를 통해 묶음 판매로 인한 소비자 후생 감소를 방지하고자 한다.
1.3. 고착 효과와 전환 비용
고착 효과란 소비자가 특정 서비스나 제품을 계속하여 사용하게 만드는 현상을 의미한다. 소비자들이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고착되면 다른 대안으로 전환하기 어려워진다.
전환 비용은 소비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환 비용에는 금전적 비용, 시간, 노력 등이 포함된다.
고착 효과와 전환 비용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환 비용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고착 효과가 강화된다. 즉, 전환 비용이 낮다면 소비자가 다른 대안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지만, 전환 비용이 높다면 소비자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더욱 강하게 고착되게 된다. 이러한 고착 효과는 소비자가 특정 기업이나 제품에 대해 충성도를 가지게 하여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