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어기제(2가지 이상)를 상황적 예를 들어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방어기제의 개념과 특징
2.1. 방어기제의 정의
2.2. 방어기제의 특징
3. 방어기제의 유형
3.1. 부정
3.2. 투사와 해리
3.3. 행동화와 합리화
3.4. 반동형성과 억압
3.5. 퇴행과 취소
3.6. 승화
4. 방어기제의 사례
4.1. 동방신기 소속사 소송 사례
4.2. 조직의 와해 사례
4.3. 우유부단한 선택의 사례
5. 방어기제의 제어 방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방어기제란 무의식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심리기제로서 자아가 불안한 상태에 빠졌을 때, 인간은 방어기제를 사용함으로서 자아를 외부 위협과 불안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어기제는 자아를 보호한다는 순기능이 있지만 원만한 대인관계를 저해하게 된다는 역기능도 있는 바, 이를 참고하여 본 과제에서는 방어기제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유형(10가지 이상)을 설명하고, 본인이 어떤 상황에서 방어기제를 사용하였는지 사례를 들어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2. 방어기제의 개념과 특징
2.1. 방어기제의 정의
방어기제란 자아가 갈등이나 불안, 위협을 느끼게 되었을 때,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일종의 심리기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어기제는 자아로 하여금 죄책감과 두려움을 지워버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할 것이다. 즉, 방어기제는 자아가 이드와 초자아의 요구, 과거의 기억과 외부세계의 요구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작동시키는 심리기제로, 갈등의 원천을 왜곡하고 대체하며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2.2. 방어기제의 특징
방어기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어기제는 자아가 갈등이나 불안, 위협을 느끼게 되었을 때,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일종의 심리기제이다. 즉, 방어기제는 현실과 자신의 내적 상태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발동되는 심리적 기제이다.
둘째, 방어기제는 자아로 하여금 죄책감과 두려움을 지워버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방어기제는 자신의 부정적 측면을 인정하기 싫어하는 마음을 감추고 자아를 위협하는 요인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셋째, 방어기제는 현실을 왜곡시키거나 불안을 회피할 수 있다. 방어기제는 현실을 보는 시각을 달리하여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데, 이 과정에서 현실 인식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방어기제를 통해 불안을 회피할 수 있지만, 이는 장기적으로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넷째, 방어기제는 적응적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부적응적일 수 있다. 방어기제는 일시적으로 자아를 보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현실 대처 능력을 저하시켜 부적응적인 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
다섯째, 방어기제는 여러 가지가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한 가지 방어기제만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방어기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방어기제는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무의식적인 심리기제로서, 현실을 왜곡시키거나 불안을 회피할 수 있으며, 때로는 적응적이지만 부적응적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방어기제의 유형
3.1. 부정
부정(Denial)이란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이나 위협을 받아들이기 힘들 때, 그러한 현실이나 위협상황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치부하는 방어기제이다. 불치병에 걸린 환자 혹은 말기 암환자는 자신이 죽을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애써 외면하고...
참고 자료
자아와 방어 기제 (아동 정신 분석의 개척자 안나 프로이트의 대표작), 저자 안나 프로이트, 출판 열린책들, 2015.03.10.
"방어기제",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2014
이은주, “방어기제 이해의 발전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대대학원, 2010
이인정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2011
김기태외,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2006
김재은(1991), 『이화방어기제검사 실시요강』, 하나의학사.
권중돈(2014), 『인간행동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현대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권석만. 학지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