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전기
1.1. 정전기 발생 원리
정전기(static electricity)는 두 물체 이상의 상대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대표적인 예로 마찰 전기(triboelectricity)가 있는데, 이는 두 물체를 문지를 때 발생하는 정전기 현상이다. 이때 문지르는 과정에서 전자가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전하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두 대전체 사이에는 서로 밀어내는 힘인 척력(斥力)과 서로 끌어당기는 힘인 인력(引力)이 작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깡통에 (-)대전체를 가까이 가져가면 대전체와 먼 쪽에는 (-)전하, 가까운 쪽에는 (+)전하가 유도된다. 반대로 (+)대전체를 가져가면 대전체와 먼 쪽에는 (+)전하, 가까운 쪽에는 (-)전하가 유도된다. 이러한 정전기 유도 현상은 1753년 영국 과학자 존 캔턴과 1762년 스웨덴 교수 요한 칼 빌케에 의해 발견되었다.
정전기 유도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검전기(electroscope)이다. 검전기에 (-)대전체를 가까이 가져가면 전자가 아래로 이동하여 두 금속박이 (-)전하로 대전되어 벌어진다. 반대로 (+)대전체를 가까이 가져가면 전자가 위로 이동하여 두 금속박이 (+)전하로 대전되어 벌어진다.
이처럼 정전기는 두 물체의 상대 운동에 의해 발생하며, 이때 생성된 대전체 간의 정전기력으로 인해 척력과 인력이 작용한다. 또한 정전기 유도 현상을 통해 대전체와의 거리에 따른 전하 분포를 알 수 있으며, 이를 관찰할 수 있는 검전기를 이용하여 정전기 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2. 정전기 유도 현상
정전기 유도 현상은 물체에 대전체를 가까이하면, 자유 전자가 이동하여 대전체와 가까운 쪽에는 대전체와 다른 전하, 먼 쪽에는 같은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이다. 이는 영국인 과학자 존 캔턴이 1753년에, 스웨덴인 교수 요한 칼 빌케가 1762년에 발견한 것이다.
예를 들어 깡통에 (-)대전체를 가까이하면, 대전체와 먼 쪽은 (-)전하가 유도되고 대전체와 가까운 쪽은 (+)전하가 유도된다. 반대로 깡통에 (+)대전체를 가까이하면, 대전체와 먼 쪽은 (+)전하가 유도되고 대전체와 가까운 쪽은 (-)전하가 유도된다. 이를 통해 정전기 유도 현상에 의해 물체 내부의 전하가 재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3. 검전기를 이용한 정전기 관찰
검전기를 이용한 정전기 관찰은 정전기 유도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이다. 검전기는 두 개의 금속박이 달려있는 장치로, (-)대전체를 갖다 대면 전자가 아래로 이동하여 두 금속박이 (-)전하로 대전되어 벌어지게 된다. 반대로 (+)대전체를 갖다 대면 전자가 위로 이동하여 두 금속박이 (+)전하로 대전되어 벌어지게 된다. 이처럼 검전기를 통해 정전기 유도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검전기는 정전기 실험에서 전하의 종류와 성질을 알아내는 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검전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우리는 정전기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2. 전류, 전압, 저항
2.1. 전류의 정의와 단위
전류(current)는 단위 시간 동안에 흐른 전하의 양을 의미한다. 이는 수식 I = dQ/dt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I는 전류, Q는 전하량, t는 시간을 나타낸다. 전류의 단위는 암페어(A)로, 1암페어는 1초당 1쿨롱(C)의 전하가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금속과 같은 도체에서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전류가 잘 흐른다. 역사적으로 전자의 존재를 몰랐던 학자들은 전류가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른다고 정의했지만, 현재에는 전자의 흐름으로써 전류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전류는 실제로 전자가 음극에서 양극으로 흐르는 것으로 이해된다."
2.2. 전압의 개념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