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병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개요
1.1. 실시 근거
1.2. 실시 목적
1.3. 사업 내용
1.4. 사업 평가
2.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유익성/긍정적인 효과
2.1. 간호 안전 환경 향상
2.2. 간호의 질적 수준 향상
2.3. 환자·간호사 측면 간호결과 개선
3.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장애성/문제점
3.1. 과도한 업무량
3.2. 간호인력 간 모호한 역할분담
3.3. 미흡한 보상
3.4. 환자안전 및 환자결과에 대한 평가체계 미흡
4.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보완점
4.1. 근무여건 개선
4.2. 간호업무 범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및 교육
4.3. 보상체계 개발
4.4. 평가시스템 개발
5.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에 대한 종합적인 견해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개요
1.1. 실시 근거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실시 근거는 의료법 제4조의2(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등), 동법 시행규칙 제1조의4(간호·간병 통합서비스의 제공 환자 및 제공기관), 제1조의5(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제공 절차)이다.
의료법 제4조의2에 따르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보호자 등이 상주하지 않고 간호사, 간호조무사 및 그 밖의 간병 지원인력에 의하여 포괄적으로 제공되는 입원서비스를 말한다. 또한 동법 시행규칙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기관의 지정과 제공 절차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간호와 간병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환자의 안전과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그 실시 근거라고 할 수 있다.
1.2. 실시 목적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실시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을 전국의 병원에 확대 적용함으로써 적정 보상체계와 제도화 모형을 개선ㆍ발전시켜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건강보험 제도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환자 안전관리 체계와 제도화를 위한 간호서비스 질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의료이용 행태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제도 모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즉,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제도화하고, 이를 통해 환자에게 안전하고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3. 사업 내용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대상기관은 전국의 병원급 의료기관으로서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사업 참여 지정을 받은 기관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사업 참여 신청기관에 대하여 제공인력 배치 수준, 병동 환경개선, 병동운영 지침의 구비 등 의료기관 특성과 사업 수행 능력을 평가하여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제공기관을 지정한다.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급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적정 제공인력 배치를 통한 팀 간호체계의 총체적인 전문 간호 제공과 병동 환경개선 및 환자 안전관리 등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여건을 갖춘 병동에서 제공하는 입원서비스를 의미한다.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는 사적 고용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상주를 제한하고, 병문안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하는 등 쾌적한 입원 환경을 제공한다.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법 및 의료급여법에 의한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입원에 동의한 자로, 입원 및 퇴원은 주치의의 결정에 따른다.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입원 환자의 입원료는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입원료(입원관리료와 간호ㆍ간병료)를 산정하며, 국민건강보험법 및 의료급여법에 따라 본인부담률이 적용된다. 의료기관은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입원 환자에 대한 요양급여(의료급여)비용을 청구할 때 입원 요양급여비용(의료급여)명세서에 입원관리료와 간호ㆍ간병료 내역을 작성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제출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를 심사하여 공단이 요양급여(의료급여)비용을 지급한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제공기관의 제공인력 배치 및 근무 상황 등 사업 운영현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제공의 적정 여부를 점검한다. 모니터링 결과는 정기적으로 보건복지부에 보고하며, 필요시 제공기관 평가ㆍ심의위원회를 거쳐 사업에 반영한다.
이처럼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는 의료기관의 자율적 참여를 기반으로 병동 단위로 확대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심사평가원, 제공기관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1.4. 사업 평가
보건복지부와 공단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건강보험 지불보상의 적정성과 사업의 영향을 평가한다.
첫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건강보험 지불보상의 적정성 평가에서는 제공인력 배치 수준 및 팀 간호체계 제공 모형과 간호·간병료 보상 내용 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적정한 보상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둘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의 영향 평가에서는 환자의 입원행태 및 입원일수 변화, 간호서비스의 질, 의료기관의 제공인력 고용 변화, 환자 및 의료 인력의 만족도, 국민 의료비 및 환자 부담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의료이용 행태와 국민 의료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모형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이 같은 평가를 토대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실시 근거, 실시 목적, 사업 내용 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건강보험 제도화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2.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유익성/긍정적인 효과
2.1. 간호 안전 환경 향상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의 도입으로 간호 안전 환경이 크게 향상되었다.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간호사 배치기준은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1:5~1:7, 종합병원은 1:7~1:12, 병원은 1:10~1:16으로 일반병동에 비해 ...
참고 자료
차정화, (2016).간병서비스 이용형태에 따른 간병 만족도 평가 중앙대학교. (석사) p.12-13, p. 57
이희진, 박은주, 박미희, 주혜영, 서주위, 전미양,(2020).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병인의 의료 관련 감염 관리 수행도 및 손의 미생물 오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3),78-82
고영심, 박보현(2016). 중소병원 간병인의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1(2), 7-10
홍나경, 강경자,(2020).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성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18(1),4-10
김삼수,(2015).간병인의 노동실태와 직업교육훈련. 한일경상학회,69(1),97-123
김진현 등, 2017,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운영성과 및 향후 정책 방향, 간호행정학회지 Vol 23, No 3, 312~322
박광옥 등, 2017,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를 적용한 병동 간호사의 환자간호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Vol 23, No 1, 76~89
박병규 등, 2016년도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사업 영향분석 및 제도발전 방안, 연구보고서 2016-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