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의 개념
생활시설은 보호가 필요한 대상자를 24시간 일정 장소에서 보호하는 시설로, 아동복지시설, 모자복지시설, 정신요양시설 등이 있다. 이는 시설 내에서 숙식하며 생활하도록 하는 시설이다.
반면, 이용시설은 이용하며 통원하게 하는 시설로, 종합사회복지관, 청소년 수련관 등이 있다. 이용시설은 주민들이 이용하며 여가, 체육 등의 활동을 하거나 청소년들을 비롯한 주민들이 이용하며 여러 학습을 도모하고 소질계발을 하게 하는 시설이다.
즉, 생활시설은 시설 내에서의 보호와 돌봄을 중점으로 하는 반면, 이용시설은 직접 시설을 방문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이용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1.2. 사회복지시설의 특성 및 기능
사회복지시설의 특성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시설은 시설생활자의 생활을 유지하며 지원하는 역할, 가정생활을 지원하는 역할, 지역사회복지를 증진하는 역할, 주민에 대한 복지 교육적 역할을 수행한다. 와그너 위원회에 따르면 사회복지시설은 수용자에 대한 장기간 보호기능, 휴식 보호기능, 재활 기능, 평가기능, 요양 기능, 훈련 기능, 신축적이고 응급적인 보호기능 등을 수행한다.
사회복지시설은 시설의 설치 및 운영 근거, 시설의 유형, 운영 방식 등에 있어 특성을 가진다. 첫째, 사회복지시설은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설치 및 운영된다. 장애인복지법, 노인복지법, 아동복지법 등 개별 법령에 의해 설치 근거가 마련되어 있으며, 법령에 따라 시설의 유형, 인력 기준, 서비스 내용 등이 규정된다. 둘째, 사회복지시설은 생활시설과 이용시설로 구분된다. 생활시설은 24시간 보호와 지원을 제공하는 시설인 반면, 이용시설은 이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서비스를 받고 귀가하는 시설이다. 셋째, 사회복지시설은 공공 및 민간에 의해 운영된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운영하거나 법인, 개인 등이 운영하는 민간시설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시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생활지원 기능으로 시설생활자의 일상생활 유지와 자립을 지원한다. 둘째, 재활 및 치료 기능으로 장애인, 노인 등의 기능 회복과 유지를 돕는다. 셋째, 교육 및 문화 기능으로 이용자의 자아실현과 사회참여를 지원한다. 넷째, 상담 및 정보제공 기능으로 이용자의 복지 욕구를 충족시킨다. 다섯째, 지역사회 연계 기능으로 지역사회 내 자원을 연계하여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2. 사회복지 생활시설 사례 분석
2.1. 해야장애인자립생활센터
2.1.1. 소개 및 설치근거
해야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장애인의 자립과 권익옹호를 목적으로 하여 출발한 기관이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구분하지 않는 사회, 비장애인이 장애를 이유로 하여 불편이나 차별 등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설립되었다. 해야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설치근거는 장애인복지법 제54조이다. 장애인복지법 제54조에 따르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자립생활, 사회참여, 권익옹호 등을 위하여 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