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삼국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삼국지연의의 역사적 맥락
1.1. 삼국시대와 정사(正史)의 역할
1.2. 청담(淸談)의 문화와 경사(經史)의 한계
1.3. 근세(近世)로의 전환과 민간 이야기의 부상
2. 삼국지연의의 문학적 가치
2.1. 다양한 인간군상을 통한 인간성 탐구
2.2. 보편적 정서의 정확한 표현
2.3. 역사적 사실과 소설적 상상력의 조화
3. 삼국지연의의 문화사적 의의
3.1. 거리의 작은 이야기가 만든 고전
3.2. 정사(正史)와 소설의 상호작용
3.3. 중국 문화사에서의 위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삼국지연의의 역사적 맥락
1.1. 삼국시대와 정사(正史)의 역할
삼국시대와 정사(正史)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다. 삼국지연의의 시대적 배경이 된 삼국시대는 한나라 제국이 붕괴된 이후 위, 촉, 오 세 나라가 각축을 벌이며 대립한 격동의 시기였다. 이러한 복잡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진수(陳壽)가 편찬한 역사서 《삼국지》는 삼국시대의 핵심적인 사실을 기록한 정사(正史)였다.
정사란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각 왕조가 공식적으로 편찬한 정통 역사서를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이사기》, 《한서》, 《삼국지》 등 24사(二十四史)가 대표적인 정사이며, 한국에서는 《삼국사기》, 《고려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사는 공인된 역사적 사실과 기록을 제공하여 해당 시대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삼국지》 또한 당시 실제로 벌어졌던 사건과 인물들에 대한 기록으로, 삼국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한 자료였다. 특히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삼국지연의》의 내용은 근본적으로 《삼국지》의 사실적 토대 위에 구축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정사인 《삼국지》는 삼국시대에 대한 역사적 진실을 전해주는 중요한 텍스트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삼국지연의》와 같은 위대한 문학작품이 탄생할 수 있었다.
정사가 지니는 이러한 역할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고 보존하는 정사의 지위는 특히 중국에서 매우 중요하였는데, 이는 오랜 역사 속에서 발생한 왕조 교체와 치열한 권력 투쟁을 객관적으로 정리하고 정통성을 뒷받침할 필요가 컸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사는 국가의 공식적인 역사 해석을 제시하는 권위 있는 텍스트로 기능하였다.
한편 이러한 정사와 달리 개인이 저술한 《삼국지연의》는 소위 '야사(野史)' 또는 '패사(稗史)'에 해당하였다. 정사가 역사적 사실에 충실한 것과 달리, 소설은 현실에 기반하면서도 작가 개인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창작된 문학작품이었다. 따라서 정사와 소설은 역사 기록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역사서술과 문학창작이라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목적과 방법론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1.2. 청담(淸談)의 문화와 경사(經史)의 한계
학문에 이후에 유가 이념이 국가의 지배 이데올로기로 정립되면서 사대부는 수신제가하고 치국평천하로 하여 의식을 지녀, 세상에 나아가서 자기 능력과 소양을 펼쳐서 개인의 능력은 물론이고 가문의 명예를 드높인다고 하였다. 위나라는 내부의 정치적 불안정을 가중하는 풍전등화, 즉 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존망이 달린 매우 위급한 처지의 상황과 같았다. 섣부른 정견의 표명이나 군주에 대한 간언 같은 것은 곧 개인의 목숨은 물론이고 가문의 멸족으로 이어져서 점차 사인들은 교류의 장을 절제하고, 모여도 탈정치적인 학문을 논하여 때로는 선문답같은 대화를 나누곤 했는데 이러한 문화를 청담의 문화라고 하였다. 이것은 공허한 담론이 아니라 정론에 기초한 철학이며 학문적인 토론이어서 일종의 정치적인 논쟁일 수도 있다. 대화의 형식이 다초 추상적이...
참고 자료
평생에 한번은 꼭 삼국지를 읽어라 ㅣ 나관중 ㅣ 주변인의 길
나관중 저, 심규호 역,《나관중 삼국지》, 일빛, 2010.
정지호 저, 《진수의 삼국지, 나관중의 삼국지연의 읽기》, 세창미디어, 2020.
구인환 엮음,《동서고전3》, 신원문화사, 1998.
박영만 엮음, 문현철 감수,《세계명작 다이제스트》, 프리윌, 2011.
현공숙 엮음, 젊은역사연구회 감수,《인물세계사(동양편)》, 청아출판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