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내막염 개요
1.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 약 320g 정도의 근육성 장기로, 4개의 방과 연결된 혈관들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의 상부에 위치한 2개의 방을 심방이라 하고, 하부에 위치한 2개의 방을 심실이라 한다. 혈액은 4개의 심장판막과 4개의 방을 통해 온몸과 폐로 연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심실과 심방은 동맥피와 정맥피가 섞이지 않도록 좌우가 분리되어 있으며, 판막은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심장의 주요 판막에는 삼첨판, 폐동맥판, 승모판, 대동맥판이 있다. 삼첨판은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폐동맥판은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대동맥판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한다. 각 판막은 2~3개의 판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승모판은 2개, 나머지 판막은 3개의 판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의 기능은 온 몸과 폐로 혈액을 보내기 위한 펌프작용이다. 우심방으로 들어온 정맥혈은 삼첨판을 거쳐 우심실로 들어가고, 우심실은 낮은 압력을 이용해 혈류를 폐동맥판을 통해 폐동맥으로 보낸다. 폐에서 산소를 공급받은 동맥혈은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 승모판을 거쳐 좌심실로 유입된다. 좌심실은 높은 압력으로 동맥혈을 대동맥판을 통해 대동맥으로 보내게 된다. 대동맥을 통해 보내진 혈액은 온몸으로 순환하게 된다."
1.2. 심내막염의 병태생리
심내막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심내막염의 특징적 병소는 심내막으로 둘러싸인 심장판막이다. 가장 많이 침범되는 판막은 승모판이며 다음은 대동맥판, 삼첨판의 순이다. 염증으로 인해 판막엽(valvular leaflet)이 짧아지거나 융합이 일어나서 판막에 변형을 초래하므로 결국 판막협착증이나 판막역류증이 발생한다. 또한 침범된 판막에는 섬유소와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세균의 침전이 생겨서 이곳에 불규칙한 병적결절의 증식을 나타낸다. 이러한 병적증식 상태는 항생제를 사용해도 그 속의 병원균 집락에 약물 도달이 어렵기 때문에 파괴하기가 매우 힘들며 가장 위험한 색전과 경색의 원인이 된다.""
1.3. 심내막염의 원인
심내막염의 원인은 크게 급성 세균성 심내막염과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포도상구균이며, 주로 신체의 화농성 병소(특히 피부)에서 심장으로 전파된다. 또한 오염된 바늘과 부주의한 투약으로 인해 세균이 침입할 수도 있다. 이는 급진전되는 양상을 보이며 균의 독성이 강하여 초기에 건강한 판막과 심근에 심한 손상을 초래한다.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은 발병이 느리고 임상경과가 비교적 길다.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의 약 90%는 용혈성 연쇄상구균(α-hemolytic streptococcus viridans or green streptococcus)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정상적인 구강 세균이므로 대부분 치과치료 후에 감염률이 높다.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은 재발률이 높아 손상된 판막에 반복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영구적인 판막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심내막염은 선천성 심질환, 판막질환, 인공혈관, 인공 판막수술을 받은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심장 수술 후에 오는 세균성 심내막염은 치사율이 높아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건강한 사람의 경우 치과치료나 수술 후 세균이 혈액 속으로 침입해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1.4. 심내막염의 증상
심내막염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급성 세균성 심내막염과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에서 차이를 보인다.
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은 고열, 심잡음, 색전, 패혈증 소견, 비장비대 등을 유발하는 심각한 전신성 질환이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포도상구균이며, 대부분 신체의 화농성 병소(특히 피부)에서 심장으로 전파되고,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이 강하기 때문에 질병의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다. 질병의 양상은 급진전되며 균의 독성이 강해 초기에 건강한 판막과 심근에 심한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오염된 바늘과 투약시의 부주의로 신체 내에 세균이 침입할 수도 있다.
반면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은 발병이 급격하지 않고 비교적 긴 임상경로를 취하기 때문에 신체에 주는 영향이 그리 심하지 않으며 임상증상도 국소적으로 나타난다.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은 재발률이 높아 손상판막에 반복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판막에 영구적인 손상을 가져온다. 원인균은 90%가 용혈성 연쇄상구균이다. 이는 정상적인 구강 세균이므로 대부분 치과치료를 받은 후에 감염율이 높다.
심내막염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처음엔 특별한 증상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