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손위생의 중요성
손위생은 병원체의 전파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환자의 피부와 점막에 있는 미생물은 의료기관 근무자, 병원 환경 및 다른 환자를 통해 전파될 수 있으며, 의료기관 근무자의 손이 미생물 전파의 수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병원 내 감염은 기구관련혈류감염, 요로감염, 수술부위 감염, 패혈증 등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망까지 이르기도 하므로, 모든 감염관리의 기본 중재가 되는 손위생 활동의 강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1.2. 문제 인식 및 접근 방향
병원 내 감염은 기구관련혈류감염, 요로감염, 수술부위 감염, 패혈증 등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망까지 이르기도 하므로 모든 감염관리의 기본 중재가 되는 손위생 활동의 강화가 필요하다"" 이다.
이에 따라, 손위생 수행률이 다소 저조한 서15병동을 대상으로 QI 활동을 통해 손위생 실천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간호사, 환경, 부서 측면에서의 개선 활동을 계획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간호사 측면에서는 지속적인 손위생 교육을 실시하고, 신규간호사에 대한 집중교육과 개별적 관리를 통해 손위생 실천율 향상을 도모할 것이다. 환경 측면에서는 손소독제 비치 상태를 점검하고 눈에 잘 띄는 곳에 손위생 관련 포스터를 부착하는 등 물리적 환경 개선을 추진할 것이다. 부서 측면에서는 의료진 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현장 맥락을 고려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환자의 손위생 관찰과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의 개선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15병동의 손위생 실천율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켜 병원감염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1.3. QI 활동의 필요성
QI 활동의 필요성은 병원체의 전파 위험을 감소시켜 감염을 차단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환자의 피부와 점막에 있는 미생물이 의료기관 근무자, 병원 환경 및 다른 환자를 통해 전파될 수 있으며, 의료기관 근무자의 손이 미생물 전파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또한 병원 내 감염은 기구관련혈류감염, 요로감염, 수술부위 감염, 패혈증 등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망까지 이르기도 하므로, 모든 감염관리의 기본 중재가 되는 손위생 활동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2. 본론
2.1. 의료기관에서의 손위생 관리
2.1.1. 손위생의 정의 및 주요 용어
손위생이란 병원체의 전파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손위생에는 '손씻기', '손소독', '손마찰' 등의 용어가 포함되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손씻기(hand washing)는 일반 비누나 항균비누와 물을 이용하여 손을 씻는 것을 말한다. 손소독(hand disinfection)은 피부소독(antiseptic) 제제를 이용해 손을 소독하는 것으로, 손세척, 손마찰, 오염제거, 미생물 제거 등을 포함한다. 손마찰(handrubbing)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손에 문지르는 피부소독제만 적용하여 미생물을 감소시키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수술 전 손소독(surgical hand antisepsis/surgical hand preparation)은 상재균을 감소시키고 일시적 오염균을 제거하기 위해 수술 전에 항균제제를 이용한 손세척이나 손마찰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손위생은 병원체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의료기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2.1.2. 의료기관의 손위생 관리 체계
의료기관의 손위생 관리 체계는 손위생의 수행을 위해 내부 규정을 마련하고, 모든 근무자에게 손위생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정기적으로 교육하며, 환자접점구역을 중심으로 손위생을 위한 시설 및 설비를 마련하고, 손위생 수행현황 및 시설설비에 대해 주기적으로 모니터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의료기관은 손위생 수행을 위해 내부 규정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손위생의 기준과 절차를 명확히 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한다. 또한 모든 근무자에게 손위생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근무자들의 손위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실천을 독려한다.
의료기관은 환자접점구역을 중심으로 손위생을 위한 시설 및 설비를 마련한다. 여기에는 세면대, 비누, 종이수건, 알코올 세정제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근무자들이 손위생을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관은 손위생 수행현황 및 시설설비에 대해 주기적으로 모니터하고 관리한다. 이를 통해 손위생 실천 수준을 확인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료기관의 손위생 관리 체계는 손위생 실천을 높여 병원감염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2.1.3. 손위생이 필요한 상황
손위생이 필요한 상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손에 혈액이나 체액 등 눈에 보이는 오염물이 묻은 경우와 화장실을 다녀온 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