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붕괴 교실붕괴등 굥교육 위기 현상의 원인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앞으로의 공교육 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교실붕괴의 개념과 실태
2.1. 교실붕괴의 개념
2.2. 교실붕괴의 실태
3. 교실붕괴의 원인
3.1. 교육정책적 요인
3.1.1. 교원 정년단축
3.1.2. 대학입시정책의 혼란
3.1.3. 공교육의 붕괴
3.2. 사회적 요인
3.2.1. 학력위주의 사회분위기
3.2.2. 과도한 사교육 의존
3.2.3. 가정의 역할 부재
4. 교실붕괴 극복을 위한 대안
4.1. 다양성과 창의성 중심 교육
4.2. 학습자 중심 평가 방식
4.3. 교사 전문성 개발 지원
4.4. 적극적 학생 참여 유도
4.5. 가정-지역사회-교육기관 연계 강화
4.6. 정책적 지원과 교육자원의 공정한 분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교육'이란 단어 앞에 무너지고 있다는 수식어가 붙는 순간, 우리는 무엇을 잃어가고 있는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학교와 교실의 붕괴 현상은 공교육 체계의 단순한 문제점을 넘어, 우리 사회 전반의 가치관과 체계에 대한 심오한 성찰을 요구한다. 학교교육의 붕괴는 단순한 교육 시스템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젊은 세대의 정체성 형성, 사회적 소속감, 그리고 미래 세대를 이끌어갈 인재의 양성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공교육의 위기를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은 미래 사회의 건강한 발전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적 과제로서, 교육이 단순히 지식의 전달을 넘어,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초를 다지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과제에서 교육의 위기를 단순히 통계와 현상의 표면적 분석에 그치지 않고, 교육이 인간과 사회에 던지는 근본적인 질문들에 답하고자 한다.
2. 교실붕괴의 개념과 실태
2.1. 교실붕괴의 개념
교실붕괴의 개념은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마땅히 지켜야 할 질서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교사의 지도 통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교사와 학생 간에 의미 있는 상호 작용이 불가능하게 된 상황을 의미한다. 과거와 달리 현재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기 힘들어 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실제로 OECD 교육지표 2002에 따르면 교사에 대한 불신과 학교 수업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의 불만이 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교실붕괴 수준을 짐작할 수 있다. 교실붕괴는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옆 친구와 잡담하거나 큰소리로 떠들거나 돌아다니기, 심하게는 서로 싸우기까지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교사는 이러한 행위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과거에도 이러한 현상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현재는 교실 전체가 그런 분위기에 휩싸여 있으며,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기를 포기하는 듯한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2. 교실붕괴의 실태
교실붕괴의 실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교과서를 펴지 않고 잠자거나 말썽을 부리며, 교사의 지도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 보편화되고 있다.
한 서울의 고등학교 교사에 따르면, 수업 중 집중하는 학생은 3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엎드려 자거나 잡담하며 수업에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고 한다. 심지어 수업 중에 화장실에 가겠다며 교실을 빠져나가는 학생들까지 있다고 한다.
이런 현상은 비단 일부 학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 중학교 교사에 따르면, 2학년 학생들의 수학 실력이 초등학교 4, 5학년 수준부터 고등학교 1, 2학년 수준까지 너무나 다양하지만, 교실에서는 이들을 한꺼번에 가르치고 있어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지루해하고, 학력이 낮은 학생들은 수업을 이해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한다.
교실이 이처럼 붕괴되다 보니 교사들은 더 이상 수업을 이끌어나가기 힘들어하고,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잃어가고 있다. 일부 교사들은 이를 '사보타지'라고 표현하며, 자신들의 수업 포기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요약하자면, 오늘날 교실 현장에서는 수업 질서가 무너지고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단절되는 등 교육의 본질적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향후 교육의 질적 수준 저하와 더불어 사회적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3. 교실붕괴의 원인
3.1. 교육정책적 요인
3.1.1. 교원 정년단축
교원 정년단축은 "예산절감, 교원 임용적체 해소, 교직사회 활성화, 일반공무원과의 형평성 유지, 학생과 교사와의 세대차 해소, 사회적 여론 적극 반영"이라는 이유로 정부에서 감행한 것이다.
그러나 교원 정년단축으로 인하여 교원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교원 수급상의 차질이 생겼다. 또한 고령교사의 무능론을 내세워 교원정년을 단축시킨 것은 교원의 경시풍조를 더욱 가속화시켰으며, 정년퇴임으로 부족해진 일손으...
참고 자료
허은주, 유현정 외 3명(2024). 현대 교육 사회학. 파주: 양서원.
보리(1997).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서울: 보리.
敎室崩壞에 關한 初等學校 敎師의 認識 比較 [朴鐘元 저]
학교교육 주체들이 지각하는 교실붕괴 현상의 원인 [박윤배, 김경식]
공동체 위기와 학교붕괴 [천보선]
http://blog.naver.com/lovinglaewon?Redirect=Log&logNo=40020433244 네이버블로그
네이버 교육관련 뉴스자료들
1. 김귀식, “교사는 진실을 가르치는 자유인”, 우리교육, 1999
2. 정범모 외, “21세기를 향한 교육개혁”, 민음사, 1999
3. “과열과외 실태 및 방지대책”, 부정방지대책위원회, 1994. 9(보고서 제 13집)
4.윤정일 외, “과외실태 조사연구”,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1997
“학교교육 붕괴의 종합적 진단과 대책”, 학교바로세우기실천연대
5.노응원, “한국 과열 과외교육의 메커니즘과 대책-정보-게임이론적 접근”, [경제발전연구], 1999년 6월
“한국의 교실붕괴의 원인과 대책”
6. 이인규, “무너지는 학교, 흔들리는 교단”, 창작과 비평, 27권 3호(1999,가을)
7. 이주호․우천식, “한국교육의 실패와 개혁”, 한국개발연구,1998
8. 전종호, “우리나라의 학교붕괴 현상의 원인”, 전교조 참교육 토론회 “학교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학교붕괴의 원인과 진단” 발표 원고, 1999.9.30
9. 정범모 외, “교육의 본연을 찾아서-입시와 입시교육의 개혁”, 나남, 1993
10. 조혜정,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1997
11. http://www. taegu-hc.ac.kr/-Icobojo/lecture.html
12. http://www. jooins.com(중앙일보)
13. http://www. inditv.hitel.net/skuniv/recture3.html
14. http://www. edunet4u.net/top.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