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노루귀와 유기그릇에 대한 배경
노루귀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헤이룽강 등지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식물이다. 노루귀는 이른 봄에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의 꽃이 피고, 4월~5월 경에 꽃이 피며 긴 꽃대 위에 한 개씩 붙는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 나며 긴 잎자루가 있고 3개로 갈라지며, 잎몸의 길이는 약 5cm 정도이다. 노루귀는 진통, 진해, 소종의 효능이 있어 두통, 복통, 치통, 장염, 해수, 하리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한약재이다.
유기그릇은 구리(78%)와 주석(22%)을 합금해서 만든 전통 고급 그릇으로, 뜨거운 음식은 따뜻하게 차가운 음식은 시원하게 오랫동안 유지시키는 보온, 보냉의 효과가 있다. 또한 구리로 인해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고, 농산물에 묻은 농약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유기그릇은 사용할 때 무게가 무거우며, 보관 시나 세척 시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1.2. 연구 목적
유기그릇 세척 과정에서 생기는 긁힘으로 인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활용한 노루귀 잎 속에 숨어있는 다양한 과학적 원리를 탐구해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노루귀 잎을 이용한 유기그릇 내부의 오염물질과 잔류 세제 제거의 효과적인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여 다양한 분야에 노루귀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중요성
유기그릇은 세척이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긁힘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긁힌 부위에 금속 가루와 잔류 세제가 남아 유기그릇에 담긴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노루귀 잎의 어떠한 성분이 유기그릇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깊고 얕은 긁힌 부분에 있는 금속 가루와 잔류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긁힌 부분을 접착력이 강하며, 구리와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성분을 이용하여 메꿈에 의해 세척 후에 유기그릇에 남아있는 잔류 세제를 없애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노루귀 잎을 이용한 유기그릇의 효과적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2. 본론
2.1. 유기그릇의 긁힘 및 잔류 세제에 관한 탐구
2.1.1. 유기그릇의 긁힘 정도 측정
유기그릇을 보관 및 세척하는 과정에서 긁힘이 어느 정도 발생할까?
유기그릇은 다른 재질의 그릇에 비해 보관 및 세척하는 과정에서 긁힘이 많이 발생한다. 유기그릇의 주요 성분인 구리(78%)와 주석(22%)으로 제작되어 강도가 약해 긁힘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험 결과, 유기그릇의 경우 8㎠의 면적에서 긁힘이 관찰되었다. 반면 스테인리스, 사기, 유리, 플라스틱, 나무 재질의 식기는 0~2㎠ 수준의 긁힘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기그릇이 다른 재질의 그릇에 비해 세척 및 보관 과정에서 긁힘이 훨씬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루귀 추출물이 유기그릇의 긁힌 부분에 미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