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제구 지역사회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09.17
9,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연제구 지역사회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개요
1.1. 연제구의 역사와 성장과정
1.2. 지리적 특성
1.3. 자연자원과 산업유형
1.4. 사회경제적 특성

2. 인구 현황
2.1. 총인구 및 가구 구성
2.2. 연령별 및 성별 인구 분포
2.3. 고령인구 비율과 추이
2.4. 교육수준별 인구 분포
2.5. 가족구조

3. 지역사회 건강 수준
3.1. 만성질환 유병률
3.2. 건강 행태
3.3. 사고율 및 안전
3.4. 삶의 질과 만족도

4. 지역사회 자원
4.1. 의료시설 및 인력
4.2. 보건 및 복지 시설
4.3. 교육 시설
4.4. 환경 및 기반시설

5. 지역사회 간호 진단 및 계획
5.1. 지역사회 간호 진단
5.2. 간호 목표 및 수행 계획
5.3. 간호 수행 및 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개요
1.1. 연제구의 역사와 성장과정

연제구의 역사와 성장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산동이란 지명은 낮은 늪지대로 수련이 많고 배산과 황령산쪽은 산지로 되어 연산이란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과 이 동네의 시작은 금련산이어서 "연산"이라 했다는 설이 있다. 연산동 고분군의 유적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이 지역에 사람이 살고 있었음이 입증되며 배산성지 또한 삼한시대 성축으로 추측되고 있다.

연산동은 1914년 동래군 읍내면 지역에 속했다가 1942년 10월 부산부 동래출장소 연산리가 되었고, 1946년 연산1동을 연산1,2동으로 분동, 1966년 1월 연산2동을 연산2,3동으로 분동, 1970년 7월 연산2동에서 연산4동이 분동, 1975년 10월 연산2동에서 연산5동이, 1979년 8월 연산3동에서 연산6동이 연산4동에서 연산7동이 분동되었다. 1982년 9월 연산1동에서 연산8동이 1985년 12월 연산8동에서 연산9동으로 분동되었다. 현재는 연산6,7동이 통합하여 연산6동이 되었고, 현재는 연산1,2,3,4,5,6,8,9동에 이르고 있다. 이로써 부산지역 단일 동으로서는 가장 큰 규모가 되었다.

그러다 부산 시가지가 북쪽 내륙으로 차츰 확장하면서 동래와 서면 사이의 이 지역을 원도심을 대체할 광역행정 중심지로 개발하기로 결정하였고, 시청을 비롯한 주요 행정시설이 1990년대 초반부터 이전 시작, 1995년에 연산동과 거제동을 분구하여 신설하였다. 연제구는 법정동이 연산동과 거제동 2개 뿐으로 전국의 구 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법정동으로 이루어진 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 중 하나인 연산동이 연산 9동까지 있을 정도로 부산의 단일 법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대형 동이다 보니 연제구의 인구 수는 20만이 넘으며, 부산 안에서도 서구, 중구, 동구, 영도구, 강서구, 기장군보다 인구가 많다.


1.2. 지리적 특성

연제구는 부산광역시의 중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동쪽으로는 해운대구, 서쪽으로는 부산진구, 남쪽으로는 수영구와 남구, 북쪽으로는 동래구와 접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청, 부산지방경찰청, 부산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부산지방검찰청, 부산고등검찰청, 부산지방국세청,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부산지방우정청 등 여러 관공서와 법조타운이 밀집한 부산의 행정 중심지이다. 금련산과 황령산은 이 일부가 구의 남부에 포함되는데, 이 지역과 연산동 1/8동과 망미동의 경계 역할을 하는 배산(높이 255m)을 제외하면 대체로 부산광역시치고는 평평한 편이다. 온천천이 구의 북서부를 통과하며 동래구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1.3. 자연자원과 산업유형

연제구의 자연자원과 산업유형은 다음과 같다.

연제구는 북동부를 온천천(溫泉川)이 서류하며 저평한 충적 지대를 이루고, 서쪽에는 금정봉·금용산(152m) 등의 낮은 산봉우리가 이어지는 구릉성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연제구의 지형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고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어 주거와 상업,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연제구의 주요 산업유형은 다음과 같다. 연제구의 사업체수는 총 7,053개소로, 이 중 도매 및 소매업이 2,329개소(33.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 1,236개소(17.5%), 제조업 779개소(11.0%), 교육 서비스업 677개소(9.6%) 순이다. 산업별로는 유흥주점 286개, 세탁업 96개, 숙박업 81개, 이미용업 836개, 게임제공업 63개, 안경업소 45개, 동물병원 17개, 아동복지시설 15개, 영화상영관 7개, 폐기물 수집운반업 23개, 의료기기 제조업 404개, 광제조업 123개, 체육시설업 192개, 출판·인쇄업 161개, 건설업 256개, 방문판매업 86개, 동물미용업 45개, 장애인 복지시설 9개 등으로 다양한 산업이 분포되어 있다.

즉, 연제구는 자연환경이 평탄하고 온화한 기후를 가져 도시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다양한 유형의 사업체들이 밀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1.4. 사회경제적 특성

연제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연제구는 부산광역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행정 중심지로, 부산광역시청, 부산지방경찰청, 부산지방법원 등 주요 관공서와 법조타운이 밀집해 있다. 이로 인해 유동인구가 많고 다양한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특히 연산교차로 주변에는 의료기관이 집중되어 있어 연제구가 부산의 의료 인프라가 좋기로 알려진 지역이다.

4개의 대형마트가 자리잡고 있어 쇼핑이 편리하며, 마을버스와 지하철 1호선 및 3호선이 운행되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편이다. 그 외에도 부산 도시철도 동해선 광역철도, 연산터널 등 지역 내 교통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다.

한편 주택 유형은 아파트가 가장 많고, 다가구주택, 단독주택,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후된 주택이 일부 분포하는 등 주거환경이 열악한 지역도 있다.

이처럼 연제구는 부산의 중심지역으로서 다양한 공공기관과 의료기관, 대형상업시설이 밀집해 있고 교통이 편리한 지역...


참고 자료

국가통계포털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
22.12월말 기준 / 출처:월별주민등록인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지역보건(부산)의료 현황
2021, 제27회 연제구 통계연보
연제구-나무위키
2022, 부산의 사회지표
자료원: 지역사회 건강 통계(2021)
자료원: 지역사회 건강 통계(2018-2021)
국민건강보험공단-지역별의료이용통계연보
행정안전주 주민등록인구통계
2022 중앙치매센터
2022, 제27회 연제구 통계연보
국가통계포털(KOSIS)
부산시 연제구보건소 마을건강센터 활동사례 : - 연산6동 건강마을만들기 - Program of community health center in Yeonje-gu, Busan : Translated Subtitle (en): -Making healthy community in Yeonsan-6-dong- 대한공공의학회지 2018년 2권 1호 p.147 ~ 152:
http://kmbase.medric.or.kr/Main.aspx?d=KMBASE&i=1142920180020010147&m=VIEW
행정안전부: http://www.prism.go.kr/homepage/lately/retrieveLatelyDetail.do;jsessionid=197F55AA1A215AF76770ECB95E0C5C96.node02?research_id=3370000-2014000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