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십자가 위의 예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삼위일체론에 대한 신학적 성찰
1.1. 현대 신학계의 삼위일체 르네상스와 몰트만의 공헌
1.2. 서방교회와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
1.3. 삼위일체론의 왜곡과 재정립 과정
1.4. 몰트만의 생애와 삼위일체론에 대한 공헌
1.5. 몰트만의 관계적 삼위일체론
1.6. 페리코레시스적-관계적 삼위일체론의 의의와 실천적 적용
2.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특징 비교
2.1. 유대교의 핵심 사상
2.2. 그리스도교의 주요 특징
2.3.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차이점
3. 힌두교와 불교의 특징 비교
3.1. 힌두교의 세계관과 역사
3.2. 불교의 세계관과 역사
3.3. 힌두교와 불교의 공통점과 차이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삼위일체론에 대한 신학적 성찰
1.1. 현대 신학계의 삼위일체 르네상스와 몰트만의 공헌
현대 신학계의 삼위일체 르네상스와 몰트만의 공헌은 다음과 같다.
위르겐 몰트만은 현대 신학계에 '삼위일체 르네상스'시대를 맞이하게 한 주역(主役)으로, 삼위일체론 이외에도 그의 '희망의 신학'을 기저에 둔 활발한 저술활동을 통해 학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실천적-목회적 측면에서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몰트만은 삼위일체론을 전개하면서 서방교회의 전통적 삼위일체론과 동방(정)교회적인 삼위일체론을 자주 비교하며 자신의 삼위일체론을 설명하고, 그것에 영향을 주었던 이론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밝혀냈다. 또한 한국교회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과 세계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삼위일체론'이 사변적인 용도를 초월하여 실제적-실천적인 면에서 어떠한 공헌을 할 수 있을지를 논구하였다. 특히 몰트만은 서방교회의 일신론적 전통을 혹독히 비판하며,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이 하나님 안에 서로 연합하여 함께 구원사역을 이루어 가시는,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세 위격이 존재한다는 성경의 증언을 도외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일신론이 기독교 역사상 절대군주제의 권위주의적이고 위계질서적인 구조를 고착화시키는 데 악용돼 왔다고 비판했다.
몰트만은 동방정교회의 삼위일체론이 관계성 혹은 상호성의 범주를 사용하여, '하나님께서 성부-성자-성령 세 위격의 관계성 안에 존재하시며, 더 나아가 인간과 이 세계와 관계를 맺으시는 분으로 인식 한다'는 점에 관심을 두었고 이것이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 보다 더 성경적이라고 확신했다.
몰트만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통일성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연합에 있는 것이지 세 위격의 수적인 단일성에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세 위격의 친교에 있는 것이지 단 하나의 단일성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처럼 몰트만은 서방교회의 심리적 삼위일체론을 경원시하고 동방정교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을 지향하며, 나아가 서방교회 전반의 삼위일체론을 따라 삼위일체 하나님의 일체성을 신적 나 신적 안에서 이해하지 않고, 오히려 동방정교회의 삼위일체론에 의거하여 성부-성자-성령 하나님 세 위격의 영원한 페리코레시스 안에서, 세 위격의 상호관계 안에 있는 친교와 연합 속에서 발견하려 했다.
몰트만은 이처럼 가장 난해한 교리로 간주 되어왔던 삼위일체론을 이해 가능한 교리로 만듦으로써 오늘날 세계 신학계의 삼위일체론 연구에 중흥의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받는다. 그것은 성경의 전통과 신조에 근거하는 동시에 그리스도인을 실천적 삶으로 이끌며, 기독교 진리와 현대 사회의 연결점을 마련함으로써 사회를 변화시키는 역동적 원리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1.2. 서방교회와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
서방교회와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전통을 가지고 있다. 삼위일체론은 기독교 신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교리 중 하나이지만, 그 개념과 해석에 있어서는 서방교회와 동방교회 간에 뚜렷한 차이가 존재한다.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은 아우구스티누스로부터 계승된 전통에 기반하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삼위일체의 세 위격인 성부, 성자, 성령을 구분하되 동시에 하나의 신적 실체로 이해하였다. 그는 인간의 마음, 지성, 의지에서 삼위일체적 구조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심리적 삼위일체론은 서방교회의 전통을 형성하였다.
반면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은 카이사랴의 대 바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 닛사의 그레고리 등 소위 "카파도키아 교부들"의 전통에 근거한다. 이들은 성부, 성자, 성령을 개별적인 위격으로 강조하였고, 그들의 관계성과 상호내재성에 주목하였다. 즉 세 위격이 서로를 전제하며 상호 침투하는 페리코레시스적 관계를 강조한 것이다.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은 일신론적 경향을 지닌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과 구분되는 특징을 가진다.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은 성부, 성자, 성령 간의 관계성과 상호내재성에 초점을 맞춘다. 세 위격은 서로 구분되지만 동시에 불가분리적인 관계 속에 있다. 이를 통해 동방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론적 구조를 설명하고자 했다. 반면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은 인간의 심리적 경험에서 삼위일체의 구조를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동방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과 공동체성을 강조하는 반면, 서방교회는 하나의 신적 실체 안에 있는 세 위격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의 차이는 결국 신학적 전통과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이 보다 성경적이고 역동적인 것으로 평가받는 반면,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은 일신론적 경향이 강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전통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고유한 통찰을 제공하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다.
1.3. 삼위일체론의 왜곡과 재정립 과정
삼위일체론의 왜곡과 재정립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삼위일체 하나님 신앙은 터툴리안으로부터 출발하는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과 오리겐으로부터 출발하는 동방교회의 삼위일체론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삼위일체 논의는 동방교회의 아타나시우스와 카파도키아의 세 교부들에 의해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
참고 자료
안신·류성민, 세계의 종교,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한춘자, 복음서에 나타난 유대교와 예수그리스도교의 관계, 호남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손영광, 3대 계시 종교에서 바라본 예수,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류경희, 힌두교의 역사, 종교문화비평, 한국종교문화연구소, 1999
정승석, 힌두교의 세계관, 정신과학(8), 공주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1
홍익희, “[브라만교·불교·힌두교는 한 뿌리④] 불교 발상지 인도서 불교가 외면받는 까닭”, 아시아엔, 2017.05.10., http://kor.theasian.asia/archives/177637
외교부, https://www.mof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