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과정 개념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과정 개념지도
1.1. 개념지도 작성 배경
1.2. 핵심 문제 도출
1.3. 간호진단 도출
1.4. 간호중재 계획
1.5. 간호수행 및 평가
2. 정신장애 관련 영화
2.1. 카피캣
2.2.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2.3. 플랜맨
2.4. 뷰티풀 마인드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과정 개념지도
1.1. 개념지도 작성 배경
간호과정 개념지도 작성 배경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간호요구를 확인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다" 간호과정 개념지도는 간호문제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활용된다"" 개념지도는 대상자의 문제를 파악하고 간호진단을 도출하며, 이에 따른 간호중재 계획과 수행, 평가 등 간호과정의 단계를 시각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간호사는 개념지도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간호과정의 각 단계에서 얻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어 간호실무의 질을 높일 수 있다""
1.2. 핵심 문제 도출
대상포진 환자의 주요 문제는 감염의 위험, 급성통증,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고체온 등임을 알 수 있다. 환자는 대상포진 진단으로 코끝, 얼굴, 입천장에 물집이 생기고 안면부와 눈 주위, 코 끝에 허친슨 징후가 관찰되었다. 또한 세극등 검사 결과 좌안에 결막부종 및 충혈이 있고 각막에 병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염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들이다.
환자는 두통이 심하고 발열 증상이 있어 급성통증에도 시달리고 있다. 또한 피부병변으로 인해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이 있으며, 발열 증상으로 인해 고체온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대상포진 환자는 감염, 통증, 피부 문제, 체온 관리 등의 복합적인 간호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볼 수 있다."
1.3. 간호진단 도출
간호진단 도출에서는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간호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진단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 환자는 38세 한정석 씨로 강박증상과 관련된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시간 맞추기에 강박적이며, 사람 및 동물과의 접촉을 극도로 싫어하고 이런 경우 불안감과 공포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어머니의 사망 경험으로 인한 죄책감과 트라우마로 인해 행동이 매우 규칙적이고 계획적이다.
이에 따라 간호진단은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불안"이다. 대상자는 사람 및 동물과의 접촉, 계획이 틀어지는 것 등에 대해 극도의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이는 과호흡, 어지러움, 실신 등의 신체적 반응을 동반한다. 또한 "광장공포증"에 시달리며 13개월 간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의 불안 증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불안"이라는 간호진단이 적절할 것이다.
둘째, "비효과적인 대처"이다. 대상자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술, 진정제 복용, 강박적인 청결 행위 등의 부적절한 대처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효과적인 대처행동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비효과적인 대처"라는 간호진단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고립"이다. 대상자는 사람들과의 접촉을 극도로 싫어하고 혼자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2, 윤은자 외, 2019, 수문사
labtestonline, https://labtestsonline.kr/tests/cbc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이숙, 김순오, 김희정, 최윤정/ 정신건강간호학/ 신광출판사
네이버 지식백과 선택적 세로토닌 억제제 작용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29978&cid=61233&categoryId=61233)
네이버 시리즈온 영화 ‘플랜맨’
(https://serieson.naver.com/v2/mcode/103759)
김선아 외,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20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김성태,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제 2권』, 우리의학서적,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