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기화학 반응 메커니즘
1.1. 제거반응
1.1.1. E1 반응
E1 반응은 할로젠화 알킬(RX)에서 일어나는 탈제거 반응의 하나로, 1차 반응 속도론에 따르는 두 단계 반응 메커니즘을 갖는다. E1 반응은 RX에서 X- 이탈기가 먼저 빠져나오면서 불안정한 탄소 양이온(carbocation)이 생성되고, 이후 염기에 의해 양성자가 제거되면서 알켄이 생성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E1 반응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R-X 결합의 분해로 인해 R+ 양이온과 X- 이탈기가 생성된다. 이때, R+ 양이온은 3차 또는 2차 탄소 양이온이 되며 매우 불안정한 중간체이다. 이 단계가 반응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결정 단계(rate-determining step)가 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염기에 의해 탄소 양이온의 양성자가 제거되면서 알켄이 생성된다.
E1 반응에서는 염기의 세기가 약할수록 반응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는 약한 염기가 탄소 양이온을 안정화시키는 능력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용매 역시 E1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극성 양성자성 용매(polar protic solvent)인 물이나 알코올이 탄소 양이온을 안정화시켜주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E1 반응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RX의 구조 역시 E1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보다 많이 치환된 할로겐화 알킬일수록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이는 3차 또는 2차 탄소 양이온이 1차 탄소 양이온보다 상대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1 반응은 불안정한 탄소 양이온 중간체를 거치는 두 단계 반응 메커니즘을 가지며, 반응 속도는 염기의 세기, 용매의 극성, 그리고 RX의 구조 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1.1.2. E2 반응
E2 반응은 할로젠화 알킬에 강염기를 작용시켜 제거반응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이다. E2 반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E2 반응은 두 단계로 진행되는 단일 단계 반응이다. 우선 강염기가 할로젠화 알킬의 α-탄소에 있는 수소를 제거하여 H-X가 이탈되고, 그 다음 C=C 결합이 형성된다.
둘째, E2 반응의 반응속도는 염기의 세기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염기가 강할수록 반응속도가 빨라지며, 아세톤과 같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하에서 반응속도가 더욱 빨라진다. 이는 용매가 염기와의 상호작용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E2 반응에서는 자이체프 규칙에 따라 더 많은 치환기를 가진 알켄이 주생성물로 생성된다. 이는 더 안정한 카르보늄 이온 중간체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넷째, E2 반응에서는 이탈기 R의 특성에 따라 반응속도가 달라진다. 더 좋은 이탈기일수록 반응속도가 빨라지며, 치환된 할로젠화 알킬일수록 반응속도가 빨라진다.
종합하면, E2 반응은 강염기에 의한 할로젠화 알킬의 제거반응으로, 염기의 세기, 용매의 극성, 이탈기의 특성 등에 따라 반응속도와 생성물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1.2. 탈수반응
1.2.1. 2차, 3차 알코올의 탈수반응
2차, 3차 알코올의 탈수반응은 E1 메커니즘을 따른다. 이 반응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강산에 의해 알코올의 -OH기가 양성자 첨가를 받아 좋은 이탈기인 -OH2+로 전환된다. 이때 알코올의 구조가 2차 또는 3차이면 탄소 양이온 중간체가 안정화되기 때문에 이 단계가 속도 결정 단계(RDS)가 된다.
둘째, 이 불안정한 탄소 양이온 중간체에서 염기(HSO4- 또는 H2O)가 수소를 제거하여 이중결합을 형성한다.
셋째, 마지막으로 처음에 사용되었던 강산이 다시 재생되어 촉매로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2차, 3차 알코올의 탈수반응은 E1 메커니즘을 거치며, 탄소 양이온 중간체가 안정화되는 정도에 따라 반응 속도가 달라진다. 3차 알코올이 2차 알코올보다 더 안정한 탄소 양이온을 형성하므로 반응 속도가 빠르다. 또한 강산을 사용하고 높은 온도에서 진행되므로 제거 반응이 우선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1.2.2. 1차 알코올의 탈수반응
1차 알코올의 탈수반응은 E2 메커니즘을 따르게 된다. 1차 알코올은 2차, 3차 알코올과 달리 1차 탄소 양이온이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차 알코올의 탈수반응은 산 촉매하에서 일어나는데, 산에 의해 알코올의 산소 원자에 양성자가 첨가되어 좋은 이탈기인 -OH2+가 된다. 그 후 염기가 α-수소를 공격하여 양성자를 제거하고 동시에 물이 떨어져나가면서 알켄이 생성된다. 이때 염기의 세기가 강할수록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반응이 잘 진행되는데, 이는 용매가 음이온을 잘 용매화하지 못하여 염기가 반응물과 강하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차 알코올의 탈수반응은 E2 메커니즘을 따르며, 산 촉매와 강염기,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등의 조건에서 잘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2. 합성 실험: Methyl Benzoate의 합성
2.1. 이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