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동차 산업의 경쟁환경 변화와 마케팅 대응
1.1. 국내 자동차 업계의 환경 변화
국내 자동차 업계의 환경 변화는 제도와 정책,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첫째, 자동차 산업은 환경 및 안전 규제 강화로 인해 전반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규제, 연비 기준 강화 등 환경 정책이 강화되면서 친환경 자동차 개발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또한 보행자 안전 기준, 자동운전 기술 관련 규제 등이 강화되고 있어 기술 혁신이 필수적이다. 둘째, 사회적으로는 교통 체증 문제, 고령화 및 여성 운전자 증가 등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 기술, 모빌리티 서비스 등 새로운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셋째, 경제적으로는 국내 자동차 시장 내 외국 업체들의 진출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수입 규제 완화로 인해 외국 브랜드들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국내 업체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넷째, 기술적으로는 자율주행, 커넥티드 카, 전동화 등 새로운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자동차 업계는 친환경 및 첨단 기술 개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도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2. H자동차의 외부 환경 분석
최근 환경문제, 안전 규제 강화 등의 문제로 인해 세계 자동차기업들은 신기술 개발 확보를 위해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업체들의 인수, 합병을 통한 대형화와 자본제휴, 합작법인 설립 등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의 세계점유율을 확인해보면, GM과 포드의 시장점유율은 감소하였고 도요타, 혼다, 현대, 기아차 등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요타는 2007년 971만대 생산으로 세계 1위 자동차 생산업체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점유율과 더불어 잠재적 경쟁자도 함께 증가하였다. 중국 토종 기업의 빠른 기술력 발전으로 중국 내 점유율이 높아져 감에 따라 현대자동차의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에 놓여있다. 이는 자동차 수요가 급등하고 있는 중국 내 판매율이 증가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3. H자동차의 내부 역량 분석
2020년 결산 현대자동차 매출액 103조 9,976억 100만, 영업이익 2조 3947억으로 확인되었다. 지난 2019년에는 사상 첫 매출 100조 원을 달성하였으며, 지속 가능 경영 대외평가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다. 현재 2025 전략 및 지속 가능 경영 활동을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19년 성과로는 코나 전기차, 북미 'SUV of the Year' 선정 및 워즈오토 '최고 10대 엔진' 선정, 신차 HEV 3종, EV 1종 출시, 2019년 친환경 차 총 18.3만 대 판매, 2019년 수소 전기차 0.5만 대 판매, 고속도로 주행 보조 II(HDA II) 신형 제네시스 SUV(GV80) 탑재, 스마트 모빌리티 법인 설립 (국내 모션(Mocean), 미국 모션랩(Moceanlab)), 인공지능 기반 'SCC-ML' 기술 세계 최초 개발, 3세대 플랫폼 개발 완료 및 8세대 쏘나타에 적용,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ADAS 센서를 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