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령전기 발달단계병 이슈에 대한조사, 잘적응하기위한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입원 아동 간호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입원 아동의 분리불안과 간호중재
2.1. 발달단계별 분리불안 특성
2.2. 분리불안에 대한 간호중재 계획
3. 아동의 정서적 요구 충족 간호중재
3.1. 치료적 놀이를 통한 간호중재
3.2. 동물 이용요법을 통한 정서적 안정 도모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과 자질
4.1.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적 능력
4.2. 중환자실 간호사의 태도와 자질
4.3. 중환자실 간호사의 다양한 역할
5. 아동과 성인 호스피스의 차이와 아동 임종 간호
5.1. 아동 호스피스와 성인 호스피스의 차이
5.2. 아동 임종에 대한 간호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입원 아동 간호의 필요성
입원 아동 간호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고위험 모아간호학 분야에서 입원 아동들, 특히 생명의 위험을 앞두고 있는 아동들에 대한 간호는 매우 민감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들은 일반 성인 환자와는 달리 자신의 의사표현을 정확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세심한 관찰과 간호가 요구된다. 특히 유아기나 어린 연령대의 아동들의 경우 분리불안, 통제력 상실, 심리적 혼란 등의 스트레스 요인에 취약하므로 이들의 발달단계와 특성을 고려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30개월 미만 아동의 경우 울음, 소리지르기, 대소변 가리기 실패 등의 행동으로 분리불안을 표현하므로 이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또한 유아들은 특별한 신체적 문제가 없더라도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이유 없는 고통을 느낄 수 있어 이에 대한 간호사의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따라서 입원 아동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발달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간호중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분리불안에 대해 아동의 발달단계별로 조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또한 아동의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각도의 간호중재 방법과 함께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적 능력, 태도 및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아동 호스피스와 성인 호스피스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아동 임종에 대한 간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입원 아동의 분리불안과 간호중재
2.1. 발달단계별 분리불안 특성
6개월부터 30개월까지의 아동들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분리불안은 해당 아동들의 입원과정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이다"" 특히, 8개월 미만인 영아의 경우 부모로부터의 분리에 대한 영향을 더욱 크게 받는데, 심각할 경우 분리 불안으로 인한 쇼크나, 과도한 두려움, 정서적인 충격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영아기 4~8개월 경에 시작하는 분리불안은 대상 영속성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양육자가 떠나면 매우 불안해하고 이러한 분리불안을 경험하면 위축되거나 눈살을 찌푸림 또는 울거나 매달리는 증상을 보인다"".
유아기 18개월~3세 아동에게 나타나는 분리불안은 분노발작이나 떼쓰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상황에 따라 모든 질문에 대하여 안된다고 하거나 하지 않으려고 하는 거부의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학령전기 만 7세 이전 아동에게 나타나는 분리불안은 언어지연이나 발음부전 또는 악몽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학령기에는 분리불안 장애가 많지 않으나 학교에서 귀가하였을 때 부모가 없어지는 것을 두려워하여 학교에 가는 것을 싫어하는 학교공포증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2. 분리불안에 대한 간호중재 계획
분리불안에 대한 간호중재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침착하면서 평온하고 신뢰를 주면서 진실하고 긍정적 관심을 나타내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아동이 불안감을 느끼는 상황에서 간호사는 긍정적이고 안정감 있는 태도로 아동에게 다가가야 한다.
둘째, 아동이 안전하다고 느끼게 하고 안정감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입원이라는 낯선 환경에서 아동이 안전하고 보호받고 있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아동과 부모가 서로 떨어...
참고 자료
이상미(2017). 고위험 모아간호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임선옥(2016). 2016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 수문사.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08084&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https://www.insight.co.kr/news/245608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708321
https://www.insight.co.kr/news/24429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0131018734311?did=NA&dtype=&dtypecode=&prnewsid=
http://www.koreatimes.com/article/1272657
[네이버 지식백과] 아동 [child, 兒童]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네이버 지식백과] 청소년기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이수연, 김태임, 류은경, 민해영, 윤희옥, 장군자 외, 수문사)